• Title/Summary/Keyword: 창업 교육 영향

Search Result 50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개인의 특성이 창업만족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성격 5요인을 중심으로

  • An, Seung-Gwon;Jeon, Hye-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35-141
    • /
    • 2019
  • 신(新)산업 발굴 및 신(新)고용창출을 위한 대안으로 창업정책이 확대 및 확산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창업의 성공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나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직업을 선택하거나 새로이 창업을 하고 조직에서 각자의 역할을 진행하는 과정에 개개인이 타고나고 특성들에 대한 고민이 함께 되어야한다. 경제성장 및 정량적 고용창출의 목적을 넘어 창업가들이 직업적 가치를 위한 자아실현 관점에서 창업가 육성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만족스러운 직업을 갖게 하는 것이 진정한 의미에서의 국가의 역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창업가 육성에 관한 관점을 소유권과 시장보호 및 개척의 관점을 넘어 국민의 생애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창업교육과 정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 시 만족도와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창업가의 개인적 특성 중 성격 5요인(BIG5)을 중심으로 기업가정신과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서 개인의 어떠한 특성이 주요하게 작용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창업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 중 외식업, 의류업, 커피전문점, 미용업 등의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창업성과를 높이기 위해 성격 5요인이 모두 중요하게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방성과 친화성을 바탕으로 만족도를 높은 창업자를 육성하고 외향성과 성실성을 높인다면 실질적인 재무성과로 연결시킨다면 창업의 성공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창업교육과 정책 방향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창업자 개인의 특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Satisfaction Level with th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cognition of Support System, and Mentoring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대학생의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효능감을 조절효과로)

  • Yu, Young Cheul;Lee, Won Il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2
    • /
    • pp.187-200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start-up education, start-up support system, and start-up mentoring directly and indirectly conducted in universities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o present programs and directions that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start-up for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awareness of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 and entrepreneurship mentoring on entrepreneurial will, and then analyzed how entrepreneurship efficacy affects entrepreneurial will as a moderating effect. The recognition of the start-up support system was divided into the government start-up support policy and the university start-up support project, and start-up mentoring was divided into mentoring function (problem-solving function, networking function, communication function, motivation function) and mentor trust (cognitive trust, emotional trust).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satisfaction with colleg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erception of entrepreneurship support system, entrepreneurship mentoring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willingness to entrepreneurship as dependent variables. In addition, entrepreneurship efficacy was designated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start-up educ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ollege students'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Second, among the start-up support systems, university start-up support project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ollege students'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whether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art-up support projects and college students' willingness to start a business while recognizing the start-up support system, it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The following implications can be deriv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efforts to improve start-up education will be need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tart-up education. Secon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tart-up counseling center in the university, it will be possible to recognize the education system supported by the university, the university start-up support project that can carry out the indirect experience of start-up, and the government start-up support policy that supports funds. Third, It will be necessary to open a program that can provide start-up mentoring through connection with mentors in the start-up field, such as professors, employees, and senior start-ups in univers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orough education on the preparation process of start-ups, start-up special lectures where senior start-ups can indirectly experience the failure of start-ups, and programs for customized start-up education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major and individual tendencies.

  • PDF

독립창업자의 기업가정신과 환경요인이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Go, Byeong-Uk;Kim, Jong-Tae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53-61
    • /
    • 2017
  • 최근 창업분야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보면, 창업자에게 창업기회가 일생에 한번만 오는 것이 아니라 몇 차례의 창업을 시도한 창업자를 많이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창업자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과거의 창업 경험이 이후에 진행되는 창업의 성패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창업에 있어서 주된 현상으로 관찰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현상에 주목하여 1차 창업을 한 독립창업자가 사업을 더욱 성장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2차 창업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한다. 연구를 통해 1차 창업을 진행한 독립창업자가 2차 창업이라고 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창업을 성장전략으로 고려할 때, 어떤 요인이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 이 요인들 사이에는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 배경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독립창업자의 기업가정신과 환경요인을 독립변수로,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의지를 종속변수로, 창업자의 창업경험과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교육을 매개변수로 설정한 이후에, 각 변수 간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모델에 대하여 크게 4가지의 가설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 보면, 독립창업자의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의지가 높아지기 위해서는 1)독립창업자의 기업가 정신이 높고, 환경요인이 우호적일수록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2)독립창업자의 창업경험을 통해서 자기효능감이 높아짐으로써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3)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교육의 참여 기회를 통해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됨을 제시하고 있다.

  • PDF

Effects of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Factors on Satisfaction with Start-up Education and Start-up Intention (창업 멘토링 교육 요인이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Ki-Hong;Kim, Young-Ta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9 no.5
    • /
    • pp.33-41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ose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factors in this society where any systematic and practical start-up educational contents as well as experts in the start-up education are being asked for in order to meet the demand for the start-up. Not only to build up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how to make the best use of the start-up mentoring education as in the start-up educational programs but also to understand any possibilities of that education, the study divided the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factors into features of the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contents, a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system and an ability of a mentor in charge of start-up mentoring educ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regard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start-up education and the start-up intention, the study determined them as dependent variables. The study, then, designed a research model and formulated hypotheses. In order to verify those hypotheses, the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ose who have finished the start-up educational course in JST, Incheon, which has been actively engaging in the start-up mentor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first, of all the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factors, the features of the contents and the mentor's ability were observ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as the features of the start-up mentoring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system appear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tart-up intention.

  • PDF

대학생들의 개인특성과 창업의지의 관계 속에서 창업관련지식, 창업교육, 창업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 Jeong, Yu-Seon;Jeong, Hwa-Y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41-43
    • /
    • 2017
  • 본 연구는 창업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교육기관에서 대학생들에게 올바른 창업교육의 방향성과 올바른 창업교육을 시행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여주고 청년창업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개인적 특성 중 성취욕구, 통제위치, 위험감수성향에 대해 창업관련 지식과 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고, 연구모형은 개인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창업관련지식, 창업교육, 창업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창업의지를 종속변수로 도표화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대상은 충청권 4년제 국립 대학교 중 대학창업지원 사업을 시행하는 2개 대학과 대학창업지원 사업을 준비하는 본인이 근무 중인 4년제 국립 대학교 총 3곳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312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통계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22를 활용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고 실증 분석한 연구결과를 통해 시사점과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Pre-entrepreneur's Individual Norm and Start-up Preparation Level on a Start-up Intention: Focusing on a Moderation Effect in Start-up Education (예비창업자의 개인적 규범과 창업준비 수준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Seo Ho;Byun, Sang hea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1
    • /
    • pp.11-21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which influence the pre-entrepreneurs' individual norm and start-up preparation level have upon a start-up intention, and analyzed a moderating effect in start-up education as for a relationship of individual norm and start-up preparation level with a start-up intention. For the purpose of offering useful data so that the pre-entrepreneurs of planning start-up can do more successful start-up through this, it carried out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13, 2017 to November 14, 2017 targeting pre-entrepreneurs who received start-up education at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a university that are located in K region. As a result, excluding 11 copies with a difficulty in the application to statistics among totally 211 copies, 200 copies were chosen as the final samples. Data were conducted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20.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 nor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 start-up intention. Second, the start-up preparation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 start-up intention. Third, the start-up education had a moderating impa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norm and the start-up intention. Fourth, the start-up education had a moderating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rt-up preparation level and the start-up intention. However, this study limited the sampling region to K area, thereby having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findings all over the country. Moreover, there is a suggestion that a continuous research will need to be performed in terms of an influential factor in pre-entrepreneurs' start-up intention as well as in individual norm and start-up preparation level.

The Effects of BizCool of Vocational High School on the Understanding of Enterprise Commencement and BizCool Outcomes (전문계 고교 창업교육(BizCool)이 창업인식 및 창업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 Cheon, Soo-Kyung;Jung, Hwa-Yo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4 no.4
    • /
    • pp.89-114
    • /
    • 2009
  • BizCool is an entry-level business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with a purpose of enhancing the entrepreneurial disposition and capability of the youth through enterprise commencement educ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developing them into economic pillars of future to alleviate the labor shortage crisi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revitalize enterprise commencement. In this study, the factors were deduced and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proposing a revitalization plan through an effectiveness analysis of enterprise commencement education for the youth.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BizCool has effects on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enterprise commencement, and enterprise commencement knowledge also has effects on the understanding of enterprise commenceme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nterprise commencement knowledge and the understanding on enterprise commencement have effects on the intention of enterprise commence. In the result of verifying the hypothesis that the understanding of enterprise commencement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nterprise commencement inten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risk resignation disposition and patience for ambiguity are having effects but accomplishment desire is not playing a moderating variable role. Through the above path analysis, a conclusion was obtained that the enterprise commencement education has effects on the outcome of enterprise commencement educ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n enterprise commencement. Additionally, the nation needs to actively lead systematic enterprise commencement education within the policy of job creation upon realizing the need for enterprise commencement educ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a revitalization plan was proposed on the five kinds of a conversion of social perception on vocational high school, establishment of institutes specializing in BizCool and cultivation of BizCool specialists,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expansion of BizCool program, field-centered lessons, revitalization of enterprise commencement club and personnel and resource support by companies.

  • PDF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to the Career Matur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Lee, Hye-Jin;Hwang, In-Ho;Kim, Jin-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4
    • /
    • pp.698-709
    • /
    • 2016
  • Career maturity and the acquisition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are important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youth, and the environments surrounding youths influence their mental state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an educational program and environment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youths on the mindset and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proper career decisions according to the education climate and entrepreneurial knowledge. A total of 21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creative and entrepreneurial tour of Incheon. After excluding 30 questionnaires with unreliable responses, 186 were empirically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show that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and education environment decide the education climate, and the entrepreneurial knowledg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because it strategically establishes directions for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as practical research for achieving outcomes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과 지원성과간 관계 연구

  • Byeon, Ji-Y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123-127
    • /
    • 2020
  • 4차산업 이래 급변하는 산업환경과 경기악화로 인해 청년실업율이 지속적 사회문제로 부상하고 있으며, 산업구조 변화로 사회에서 요구하는 진로역량에 영향도 변화하고 있다. 이에 일자리창출의 새로운 동력원으로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다 대학 창업교육은 양적 성장세를 이어 왔고, 더불어 주요 창업지원성과라 볼 수 있는 창업자수·고용인원수·매출액 성과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 창업교육이 어떠한 질적 성장을 이루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할 것이다. 창업교육은 주로 국내 교육 및 해외교육 현황이나 일부 역량관점으로 대학 창업교육을 다루는 선행연구가 있으나 아직 역량관점에서의 창업교육에 대한 연구는 도입단계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 지고 있다. 대학에서는 실질적인 창업지원 성과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창업교육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 또한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점들을 반영한다면 사회 변화와 요구에 따라 창업교육의 양적성장에 이은 질적 고도화를 위한 다각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창업교육의 질적 측면에서 살펴보자면 유럽에서는 수년간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기업가정신역량을 국민의 전생애역량으로 인식하고 평생교육에 적용해 오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대학 별로 3~5단계 내외의 교육체계를 세우고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씽킹이나 캡스톤디자인식 등의 창업교과목과 같은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도 다소 증가하고는 있으나 주로 창업스킬 중심의 교육으로 편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대학은 창업교육을 통해 사업가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기업가를 육성해야 하는 기관이다. 그러므로 대학별 특성에 따른 교육체계의 다양성에 더하여 이제는 국내 대학 창업교육의 체계성을 높이기 위한 통합적인 접근 또한 필요한 시점이라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량관점으로 창업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실질적인 창업지원성과 간 관계를 밝혀 창업교육 고도화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업가정신역량(Entrepreneurship Competence) 개념을 기반으로 4년제 창업선도대학의 역량별 창업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대학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여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과 지원성과 간 연관성을 밝혀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업교육 지원체계를 고도화 함에 더하여 대학에서의 기업가정신역량기반 창업교육을 통하여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역량을 제고시킴으로써 실질적인 창업지원성과를 높이고,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써 사명감을 가지는 바람직한 기업가를 발굴하고 육성함에 있어 좀 더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창업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Park, Jae-Hwan;Choe, Min-Jeo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201-204
    • /
    • 2016
  • 본 연구는 창업교육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특히 창업자기효능감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각각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하여 학문적 시사점은 물론 창업교육을 개발함에 있어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창의적 자기효능감은 창의성과 연관되어 있는 요인으로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요구하는 창업과정에 있어 꼭 필요한 요소이다. 해당 영향요인에 관해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설정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국내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업교육 개발의 필요성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