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창상(創傷)

검색결과 572건 처리시간 0.028초

기존의 창상봉합과 Histoacryl Blue®를 이용한 창상봉합의 비교 분석: 전향적 무작위 임상실험 (Comparing Conventional Suture Method Versus Wound Closure Using Tissue Glue(Histoacryl Blue®): a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

  • 최종우;현경배;김용욱;박병윤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1호
    • /
    • pp.19-23
    • /
    • 2005
  • Tissue adhesives have gained popularity for quicker and painless closure of lacerations. The use of tissue glue is currently popular for the closure of superficial lacerations, especially in children. Histoacryl $Blue^{(R)}$(2-N-butylcyanoacrylate) is a topical wound closure that precludes the need for foreign bodies to close wou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pplications of Histoacryl $Blue^{(R)}$(HAB) and conventional suture, regarding cosmetic outcome. To compare the short term and long term results of various repair methods, we designed the prospective, randomized, blind study. Patients with laceration undergoing repair were randomly allocated to conventional suture, subcutaneous suture plus HAB, and HAB only groups. The exclusion criterions were large wound that require large tension for repair or avulsion wound. An independent, blinded observer assessed cosmetic result at 7-10 days after repair and 3-9 months postoperatively. Physician's satisfaction with wound appearance was recorded on 100 mm Visual Analogue Scale(VAS)(0=worst, 100=best). The difference in VAS score between conventional suture method and subcutaneous suture plus HAB methods were not significant. Tissue glue being easy to use with no complications and still resulting in equivalent cosmetic outcomes has several benefits. Especially in the case of children, the wound closure with Histoacryl $Blue^{(R)}$ could be a good alternative for repair of laceration in emergency room.

두경부편평세포암에서 암-연관 섬유아세포가 암세포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과 암-연관 섬유아세포에서 과발현되는 CD44의 역할 (The Effect of Cancer Associated Fibroblasts(CAFs) and CD44 of CAFs on the Motility of Cancer Cells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심선희;하정훈;조수연;김태민;고영일;김동완;이춘택;허대석;성명훈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3-52
    • /
    • 2014
  • 배경 및 목적 암-연관 섬유아세포(Cancer-associated fibroblasts, CAF)는 종양미세환경의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하나다. 그래서 두경부편평세포암에 대해 CAF가 암세포의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CAF에 과발현되는 CD44의 역할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두경부암환자의 종양조직에서 CAF를 분리하고, 비종양성 조직으로부터 정상 섬유아세포(NHF)를 분리하였다. 창상치유분석과 상하 챔버를 이용한 3차원 세포 이동 분석을 이용하여, CAF가 암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CAF에서 과발현되는 CD44를 중화항체로 CAF를 차단했을 때 암세포 이동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NHF에 비해 CAF에서 CD44가 과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창상치유분석에서 CAF와 같이 배양된 암세포는 NHF와 같이 배양된 암세포에 비해 더 빠른 이동을 보였다. CD44 중화 항체를 처리했을 때는 암세포의 이동성이 저해되었다. 결론 CAF는 종양미세환경에서 암세포의 운동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인자의 하나일 것으로 사료된다. CD44는 CAF의 기능을 매개하는 중요한 표지자 중 하나로 생각된다.

$CO_2$ Laser를 이용한 점액종의 치료 (TREATMENT OF MUCOCELE USING THE $CO_2$ LASER : CASE REPORT)

  • 이인천;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85-489
    • /
    • 2000
  • 점액종은 점액소를 함유한 낭종으로서, 인접 조직으로 선분비물이 유출되거나 소타액선관이 폐쇄되어서 형성된다. 다른 질환과의 감별진단 후 완전히 낭종을 제거해야만 완전 치유가 이루어지며, 절개 배농이나 흡입은 단지 일시적인 방법일 뿐 반드시 재발한다. $CO_2$ Laser를 이용한 구강영역에서의 치료 시 장점으로는 우수한 지혈효과, 우수한 시야확보, 인접조직 손상의 최소화 뿐만 아니라, 작은 혈관과 림프관을 봉쇄하는 능력이 있어 창상치유시 나타나는 염증과정의 초기 증상들을 차단하기 때문에 술후 감염 감소, 술 후 종창 및 동통 감소 등이 나타나며, 반흔조직 및 창상수축의 감소 등이 있다.

  • PDF

Pulsed Nd:YAG 레이저로 유발된 백서 설점막 창상의 조직학적 변화-수술칼에 의해 형성된 창상과의 비교 실험 (Histological Changes of the Wound in the Tongue Mucosa of White Rats by Pulsed Nd:YAG Laser - A Comparative Experiment with the Scalpel Incision)

  • 박준상;박미희;박봉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2권1호
    • /
    • pp.125-135
    • /
    • 1997
  • The Author examined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changes on the dorsal tongue mucosa of the adult rats after lasing by pulsed Nd:YAG laser and incising with scalpel. The dorsal tongue was lased through 320$\mu\textrm{m}$optic fiber moving 2.5mm/second to make linear incision 5mm. The five conditions of lasing were three application with 1.0W, 1.75W, 3.0W and 3.0W under saline cooling, and single application with 3.0W at 20Hz. With scalpel, linear incisions through the surface epithelium were performed to 5mm in length. After observing the clinical changes of the incised wounds, the animals were sacrified and the tissues were excised to make the tissue specimens. The stained microscopic tissue slide were observed histologically under the microscop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While incision with scalpel causes severe bleeding, lasing does not cause bleeding. 2. In three applications with 1.75W and 20Hz, tissue ablation was limited to areas contacted with optic fiber. 3. In three applications with 3.0W and 20Hz, deep incised wound, extensive destruction of the adjacent epithelium and charring were observed. 4. In three applications with 3.0W and 20Hz under saline cooling, tissue ablation was limite to the superficial mucosa and charring was not observed. 5. In single application with 3.0W and 20Hz, the shape of the incised wound was similar to that of the scalpel incision.

  • PDF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 세포를 이용한 피부 창상 치료시 세포 투여 방법에 따른 창상치유 효과의 비교 (Effective Delivering Method of Umbilical Cord Blood Stem Cells in Cutaneous Wound Healing)

  • 박상은;한승범;나동균;유대현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519-524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cell therapy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level of wound healing after various cell delivery methods. Methods: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were administered using 5 different methods on full thickness skin defects which were deliberately created on the back of 4 - week old mice using a 8 mm punch. Different modes of administration, cell suspension, local injection, collagen GAG matrix seeding, fibrin, and hydrogel mix methods were used. In each experiment group, $4{\times}105$ mesenchymal stem cells were administered according to 5 deferent methods, and were not for the corresponding control group. Results: The wound healing rate was fastest in the local injection group. The wound healing rate was relatively slow in the collagen matrix group, however, the number of blood vessels or VEGF increased most in this group. Conclusion: For rapid wound healing through wound contraction, it is advantageous to administer MSC by the local injection method. For the healing process of a wide area, such as a burn, the seeding of cells to collagen matrix is thought to be effective.

외상성 횡격막 파열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Traumatic Diaphragmatic Ruptures)

  • 조재민;김은기;이종국;박승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57-1262
    • /
    • 1996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89년 1월부터 1996년 2월까지 외상성 횡격막 파열로 진단되어 수술을 시행하였던 환자 50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녀 성비는 4:1이였다. 연령 분포는 2세부터 80세까지로 평균 연령은 37세 였다. 외상의 종류로는 둔상이 39례였고 관통상이 11례로서, 둔상인 경우 교통사고가 29례, 추락사고 7례, 경운기 사고가 3례였으며, 관통상인 경우에는 자상 9례, 총상 1례, 유리에 찔린 경우가 1례 였다. 가장 빈번한 증상은 호흡곤란, 흉통 및 복통이었고, 파열 부위는 둔상인 경우 좌측이 30례, 우측이 9례였으며, 관통상인 경우에는 좌측이 8례, 우측이 3례였다. 수술 접근 방법은 18례에서 개흉술을 시행하였고 3례는 개흉 및 개복술을, 29례는 개복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합병증은 15례로서 둔상인 경우에는 창상 감염이 5례, 호흡 부전이 3례 ,수흉 및 장폐쇄가 각각 2례였으며 농흉, 신부전 및 패혈증이 각각 1례였다. 관통상인 경우는 창상 감염이 2례, 농흉이 1례였다. 사망은 3례로서 사망 원인은 패혈성 쇼크, 뇌손상 및 호흡 부전이 각각 1례였다.

  • PDF

내시경을 이용한 요골동맥 수확법의 수술 방법과 결과 (Endoscopic Radial Artery Harvest: Techniques & Results)

  • 정영균;이종태;조준용;김규태;장봉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호
    • /
    • pp.35-41
    • /
    • 2006
  • 배경: 관상 동맥 우회로 조성술에서 요골동맥 이식편의 사용빈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저자들은 전통적 획득방법에 따른 미용상의 문제와 신경학적 증상 등을 줄이고자 내시경을 이용하여 요골동맥 이식편을 획득하였고, 그 사용 방법과 조기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5년 4월까지 관상동맥우회로 조성술을 위해 내시경을 통한 요골동맥 수확을 시행한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요골동맥은 비우성의 팔에서 수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손목의 요골부에 2 cm절개를 시행하여 내시경을 삽입 후 요골동맥을 박리하고 전주와 부위에 5 mm 절개를 시행하여 요골동맥을 매듭 후 절제하였다. 결과: 표재 요골 신경 지배 부위의 감각 이상이 23예 있었으며 가쪽 아래팔 피부 신경 지배부위의 감각 이상은 없었으며 수부의 기능 저하 역시 없었다. 창상 내 국소 부위 혈종이 있던 1예를 제외하고는 창상 문제는 없었다. 술 후 7.9$\pm$3.6개월 후 전화 문진을 통해 추적 관찰하였으며 감각 이상을 보이던 23예 중 4예에서 증상이 지속되었으며 창상의 미용적인 측면에서는 모두 만족하였다. 술 후 요골동맥의 조기 개통성 평가를 위해 66예에서 다검출기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고, 원위부와 근위부 모두 협착이 2예(3.0$\%$), 폐색이 1예(1.5$\%$)가 관찰되었다. 결론: 내시경을 이용한 요골동맥 수확법은 전통적 개방식 수확법에 비해 수부의 기능 장애 없이 신경학적 합병증의 빈도는 낮았으며 창상의 미용학적 만족도는 매우 뛰어났다. 그리고, 이식편의 단기 개통률도 전통적인 방법과 차이가 없어 적극적으로 추천할 수 있는 우수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2년과 4년 누적 생존율은 A군이 95.4$\%$, 79.9$\%$, B군이 95.4$\%$, 90.1$\%$였다(p=ns). 결론: 70세 이상 고령 환자에서의 관상동맥우회술은 낮은 사망률과 만족할 만한 합병증 발생률로 시행될 수 있어 환자 나이만으로 수술 여부를 결정해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한다.rtening Fraction)은 평균 23.6$\pm$4.7$\%$에서 37.4$\pm$7.9$\%$로 호전되었고, 좌심실의 수축기말의 용적지수(LVEDDI: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dimension index to body surface area)는 수술 전100.8$\pm$25.6 mm/$m^{2}$에서 79.3$\pm$ 15.8 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흉골절개술을 이용한 개심술 후 발생한 흉골 감염 및 종격동염의 위험인자 분석 (Analysis of Risk Factors in Poststernotomy Sternal Wound Infection and Mediastinitis after Open-heart Surgery)

  • 장원호;박한규;김현조;염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8호
    • /
    • pp.583-589
    • /
    • 2003
  • 흉골절개술 후에 발생하는 흉골 감염과 종격동염의 유의한 위험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 2년간 본원에서 개심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법 뜻 대상: 2001년 3월부터 2003년 3월까지 본원 흉부외과에서 정중 흉골 절개술을 이용하여 개심술을 시행받은 123명의 환자 중 12명의 환자에게서 흉골 감염 및 종격동염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한 위험인자들을 분석하였다. 환자들을 연령, 성별, 당뇨, 만성 폐쇄성 폐질환, 비만의 유무로 나누었고 입원 후 수술까지의 기간, 수술 술기의 종류, 응급 수술의 여부, 재수술의 여부. 수술 시간, 체외 순환 시간, 수혈량, 수술 후 출혈량, 응급 재개흉의 여부, 흉골 재봉합의 여부, 기계 호흡 보조 시간, 그리고 중환자실 재원일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환자의 나이, 성별, 당뇨의 유무, 수술 술기의 종류, 재수술의 여부, 수술 시간이나 체외 순환 시간, 그리고 입원 후 수술까지의 기간 등은 창상 감염과는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그 외 다른 변인들은 p-value가 .05 이하로 유의한 인자로서 나타났다. 조기에 응급 재개흉을한 경우, 흉골의 재봉합, 환자가 비만이거나 만성 페쇄성 폐질환을 진단 받은 경우, 수술 후 출혈량과 수혈량, 기계호흡 보조시간과 중환자실 재원일수 등의 나머지 인자들은 수술 후 감염과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결론: 창상오염은 수술 전, 수술 중 그리고 수술 후에 발생할 수 있으며, 수술 후 환자에게 부수적인 수술적 처치를 시행하는 것은 환자의 수술 후 창상 감염에 유발 인자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정중 흉골 절개 후 시행한 변형 Robicsek 흉골 봉합법이 수술 후 흉골감염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Modified Robicsek Sternal Wiring after Median Sternotomy on the Postoperative Sternal Wound Infection)

  • 장원호;염욱;김동현;오홍철;한정욱;김현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6호
    • /
    • pp.763-769
    • /
    • 2009
  • 배경: 통상적인 정중 흉골 절개를 이용한 개심술 후 흉골의 불안정성과 흉골 창상 감염은 대부분 동반되어 발생하며 수술 후 경과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흉골 봉합 방법을 사용함에 따른 흉골 감염 빈도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흉골 절개를 이용한 개심술을 시행 받은 성인 환자 1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86명의 A군 환자들은 통상적인 흉골 봉합법을 사용하였고, 나머지 71명의 B군 환자에게는 변형 Robicsek 흉골 봉합법을 사용하였으며. 두 군간의 수술 후 흉골창상 합병증의 빈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은 A군보다 B군이 더 높았다($61{\pm}10$세 vs $57{\pm}13$세). 수술 전 좌심실 구출 율 30% 미만의 좌심실 기능 부전, 만성 폐쇄성 폐질환, 투석이 필요한 신부전 및 당뇨의 빈도가 B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그 외 수술 전후 감염의 위험 인자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군 환자 중 2명에게서 표재성 흉부 창상 감염이 발생하였고 B군에서는 4명의 환자에게서 발생하였으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255). 그러나 A군 환자들 중 6명의 환자들에게서 흉골 감염이 발생한 반면 B군에서는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고위험 환자에게 변형 Robicsek 흉골 봉합법을 사용함으로써 흉골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흉골 감염 빈도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흰쥐의 외과적 창상에 대한 황기(黃耆) 추출액의 치료효과 (Healing Effects of Astragali Radix Extracts on Experimental Open Wounds in Rats)

  • 한동오;김건호;최용복;심인섭;이혜정;이용근;김장현;장규태;함대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2-97
    • /
    • 2005
  • Inhibition of inflammatory response, acceleration of basal cell growth, and balanced synthesis of extracellular matrix (ECM) are important in healing of cutaneous open wounds. In order to evaluate the healing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Radix Astragali (the root of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on open wound at early stage, the experimental open wounds were generated on the dorsal sides of SD rats under anesthesia. The boiled-water extracts of Radix Astragali $(100{\mu}l)$, soaked into an occlusive film dressing were applied once a day for eleven consecutive days. The healing process was assessed by measuring macroscopic appearance and wound areas of the open wounds. The molecular aspects of healing process by Radix Astragali extracts were also investigated by Hematoxylin-Eosin (H-E) double staining and immunohistological staining of collagen type I in the healed skin area, implying cell density and linear alignment of the granulation tissue, and ECM synthesis and its remodeling, respectively. The Astragali radix extract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ccelerate the cutaneous wound healing by suppressing the inflammation and stimulating the basal cell growth in wounded area, as compared to epidermal growth factor (EG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