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참여이유

검색결과 533건 처리시간 0.022초

학습 프로그램 수요 및 요구도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Learning Capability according to the Demand and the Degree of Demand of Learning Program)

  • 최미순;조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795-803
    • /
    • 2020
  • 본 연구는 학습 프로그램 수요 및 요구도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대학교 재학 중인 1,738명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는 정보구성능력,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 자기개선 및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유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는 정보구성능력,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 자기개선 및 사회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는 정보구성능력,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 자기개선 및 사회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학습의 어려운 점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는 정보구성능력,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 자기개선 및 사회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향상시키고 싶은 학습 분야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정보구성능력과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자기개선 및 사회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역량중심 학습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궁극적으로 학습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대학생들의 융합형 문제 해결 활동에서 문제발견 및 과학기술 분야 활용 양상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Finding and the Aspects of Using Science and Technology of Undergraduate Students' Convergence Problem Solving Activity)

  • 백종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67-876
    • /
    • 2016
  • 지식과 정보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최근 사회의 변화에 의해 지식의 선택과 활용 능력을 신장해야 한다는 요구가 더 높아지고 있다. 이를 반영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문제기반학습은 구체적 맥락에서 문제를 해결하여 지식의 이해와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접근 방안임을 강조했다. 하지만,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만으로는 본래의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주어진 상황으로부터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목표와 방법을 결정하는 경험을 쌓게 하여 문제를 발견하는 능력을 강조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과학기술 분야를 어떻게 활용하여 문제를 발견하는지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선상에서 융합형 교수학습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 중, 과학기술 분야를 활용한 네 명의 참여자들의 사례에서 문제발견 과정과 과학기술 분야의 활용 방식, 활용 이유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문제 제안서, 중간발표인 포스터, 최종 보고서와 함께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초기의 비구조화된 문제로부터 구조화하여 결론을 구체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시켰다. 과학기술 분야는 문제의 구조화를 위한 구체적 사례로 활용되거나, 타 학문 분야와 연계하기 위한 분석 도구 혹은 배경 이론으로 활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과학기술 분야가 도입된 이유는 사전 경험에 근거한 개인적 흥미와 불만족 해소를 위한 기존 학문 분야의 대안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제기반학습에서 문제발견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직관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의 통합적 관점, 메타인지적 조절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의 STEAM 교육 운영 현황 실태조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TEAM Education)

  • 박현주;변수용;심재호;백윤수;정진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69-679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 중 고등학교의 STEAM 교육 실행 여부와 그 이유, 실행 빈도와 교과 시간, 예산 등 STEAM 교육 운영 현황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11,526개 초 중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실태조사로 진행하였다. 우리나라 초 중 고등학교의 56.8%에 해당하는 6,473개교가 참여하였다. 설문 자료는 응답에 참여한 자료만을 대상으로 학교급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학교들을 STEAM 교육을 실행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면, 우리나라 초 중 고등학교의 27.1%에 해당하는 3,127개 학교가 STEAM 교육을 실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STEAM 교육 시행 비율이 가장 높은 학교급은 초등학교(30.8%), 중학교(27.4%), 고등학교(17.5%)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STEAM 교육의 실행 비율 결과와는 달리, STEAM 교육의 만족도는 고등학교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TEAM 교육을 실행하는 주된 요인은 모든 학교급에서 '교사의 자발적 노력'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고, 두 번째 요인으로 '교육청 지원'이 많이 언급되었다. 넷째, STEAM 교육을 아직 실행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STEAM 교육에 대한 학교 교사들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STEAM 교육의 실행 여부에 있어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STEAM 교육의 정착과 확장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비정규 과학교육 활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the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 'Korea Junior Engineering Achievement' Case)

  • 장경애;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4호
    • /
    • pp.329-336
    • /
    • 2005
  • 최근 들어 학생들은 비정규 과학 활동을 접할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과학 공연과 경연에 참여할 수 있으며, 과학관을 방문하고, 대중매체를 통해 다양하고 풍부한 과학의 이미지와 영상자료들을 접한다. 또 과학자들로부터 직접 강연을 들을 수도 있으며, 여러 기관에서 진행하는 행사를 통해 과학 체험 활동을 하기도 된다. 2004년부터 한국공학한림원에서는 민간 기업과 기업의 연구소가 지역의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현대 과학기술과 관련된 제작활동을 지도하는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을 운영해왔다. 이 연구는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KJEA)' 프로그램에 참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비정규 과학 학습을 효과적으로 발전시키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 사업에 참여한 40개 초등학교 중 8개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6학년 학생 807명을 대상으로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비정규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도와 그 이유',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비정규 과학학습)에 대한 태도',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의 성과'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은 이와 같은 형태의 비정규 과학 학습 활동에 대해 매우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그 이유로 직접 해 볼 수 있는 참여과 프로그램의 신기성과 같은 프로그램의 특성이 중요하게 부각됐다. 이러한 결과는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 형태의 비정규 과학 학습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고 동시에 효과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양질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가장 중요함을 시사한다.

  • PDF

장애인의 미충족 치과치료 실태조사 (Survey of Unmet Dental Treatment Needs among Adult Disabled)

  • 진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501-7507
    • /
    • 2015
  • 이 연구는 장애인 대상 치과진료 필요자 중 치과의료 서비스 미충족율과 그 이유를 조사하고, 미충족 치과치료에 따른 구강상태를 분석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 대상 중 만 19세 이상 장애등록 응답자 444명을 선정하였고, 그 중 구강검진과 설문조사를 완료한 대상자 375명을 최종분석하였다. 장애유형은 6종류(지체장애, 뇌병변장애, 감각장애, 발달장애, 정신장애, 내분비장애)로 분류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미충족 치과치료 대상자는 128명이었으며, 최근 1년 동안 치과진료를 받지 못한 가장 주된 이유는 '경제적인 이유로'에 대한 항목이 49.2%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른 문제에 비해 덜 중요하다고 느껴서'에 대한 항목이 18.0%이었다. 치주질환과 영구치우식경험을 가진 장애인 중 미충족 치과치료 빈도와 진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치과진료 자원의 가용성 측면에서 장애인 수 대비 적절한 치과진료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여 치과진료 서비스의 원활한 이용이 요구된다.

유료 비즈니스 콘텐츠 시장 개선 방안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the Business Contents Market)

  • 최정섭;문현주;김희웅
    • 정보화정책
    • /
    • 제22권1호
    • /
    • pp.96-117
    • /
    • 2015
  • 정보통신기술 발전과 함께 무형제품인 콘텐츠의 수요는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비해 유료 콘텐츠 시장은 활성화 되어있지 않으며 특히 사업추진이나 업무에 필요한 비즈니스 콘텐츠를 거래하는 시장은 더욱더 저조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사업자 측면에서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함으로서 유료 콘텐츠 시장을 활성화 시키는 방안을 탐색했다. 본 연구는 이용자의 관점에서의 비즈니스 콘텐츠 거래 시장의 비활성화 이유를 찾아보고자 직장인, 자영업자 등 비즈니스 콘텐츠 이용자 125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비즈니스 콘텐츠를 구매하는 이유, 구매하지 않는 이유와 비즈니스 콘텐츠 시장의 문제점에 대한 심층 질의응답을 통해 비즈니스 콘텐츠 구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냈다. 본 연구는 유료 비즈니스 콘텐츠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각 요소에 제시된 문제들에 대한 개선방안 그리고 사업자, 관련 정부, 이용자등 각 유료 비즈니스 콘텐츠 시장 참여자들의 역할을 도출하였다.

학업 성취가 뛰어난 고등학생들의 과학 활동, 자아 개념, 과학 전공 (High-achieving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Activities, Self-concept, and Choice of a Science Major)

  • 허미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885-89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 성취가 매우 뛰어난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이 이공계 진로를 선택하거나 또는 선택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며 성별차를 탐구하는 것이다. 과학고등학교와 국제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들이 참여하여 과학 활동, 과학 학습을 위한 자신의 강점, 과학 전공을 선택하거나 선택하지 않는 이유를 묻는 개방형 문항에 응답하였다. 학업성취가 뛰어난 고등학생들의 과학 전공 선택 이유로서는 내적 흥미가 가장 비중이 크며 다음으로 자기효능감의 비중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과학을 전공으로 선택하지 않으려는 것에는 흥미의 부족보다는 자기효능감의 부족이 더 큰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외에 과학 학습에 대한 자아개념과 정규 수업 외의 과학 활동을 분석하고 비교하였으며 교육적, 정책적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성소수자의 커뮤니티 참여 의미에 대한 연구 - Giorgi 현상학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 (A Qualitative Study on the the Meaning of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Sexual Minorities)

  • 손소연;이지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2호
    • /
    • pp.233-256
    • /
    • 2016
  • 본 연구는 성소수자들을 대상으로 성소수자 커뮤니티 참여경험을 통한 의미본질을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진입하고자 하는 이유와 커뮤니티 활동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본질적 의미구조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성소수자 8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심층 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성소수자들의 참여는 13개의 의미단위와 6개의 도출된 주제, 3개의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으며, 그 주제는 '채워지지 않는 목마름', '오아시스라는 또 다른 세계', '나는 진정한 이반!'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질적 주제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된 본질의 의미는 '영혼의 디아스포라' 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성소수자 커뮤니티의 발전 방향을 다음과 같이 모색해 볼 수 있다. 첫째, 성소수자 커뮤니티간의 상호 교류를 활성화함으로써 상호보완을 통해 커뮤니티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둘째, 커뮤니티 활동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고 그 욕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성소수자 중에서도 다양성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 현장에서 성소수자 커뮤니티가 소외된 집단으로 머물러 있지 않도록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대한 올바른 지식 바탕으로 한 관심과 지원 및 교류가 필요할 것이다.

  • PDF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공모전 참여동기를 매개변수로- (An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hip of Undergraduate Student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Start-up Idea Contest as a Mediator)

  • 김정곤;양동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77-487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찾고, 창업공모전 참여동기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의 요인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 감수성이며,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모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둘째,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와의 영향관계에서 창업 공모전 참여동기의 매개 효과 검증 결과, 기업가정신의 혁신성이 창업의지와의 관계에서 공모전 참여동기의 성취감과 유의적인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 외 공모전 참여동기 요인인 금전적보상, 경력적보상과는 유의한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은 기업가정신이 높은 대학생은 창업의지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대학생들이 창업공모전에 도전하는 이유는 금전적보상이나 경력적인 보상을 얻기보다는 도전을 통한 성취감을 느끼기 위함이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 조성과 자신감을 고취시켜 대학생들의 창업공모전 참여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토론식 수업에서 온라인 토론의 참여적 차원과 상호작용 차원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the Levels of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in Online Debate of the Classes with Discussion Session)

  • 이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63-7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 대학 일반 교과목 토론식 수업의 온라인 토론과정에서 학습자들의 논제유형에 따른 참여적 차원과 상호작용 차원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토론방의 메시지 수와 양상을 양적으로 분석하였고 사후 설문을 추가로 진행하여 토론의 상호작용 요소들과 효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제시된 두 논제유형은 의견제시형 논제와 목표 제시형 논제였다. 각 논제에의 참여적 차원을 살펴본 결과, 선행 연구와는 달리 의견제시형 논제 참여도가 높았다. 그 이유를 설문으로 탐색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수자가 온라인 토론의 논제를 제시할 때 참여자들의 성향을 참고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사후 설문을 통하여 상호작용에 대한 보다 심화된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설문에서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강의와 강의자료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을 보여주었고 토론을 준비하면서 다양한 자료들과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토론은 학습자들의 논증적 사고, 글쓰기, 해당 교과목 지식의 습득과 심화에도 도움을 주는 요소라는 인식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교수자의 교육적 역할을 강조하고, 원격교육의 시대에 온라인 토론의 교육적 효과가 각 교과목마다 활성화되기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