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alitative Study on the the Meaning of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Sexual Minorities

성소수자의 커뮤니티 참여 의미에 대한 연구 - Giorgi 현상학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6.05.01
  • Accepted : 2016.05.23
  • Published : 2016.05.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the essence of meaning through sexual minorities' participant experiences in a sexual minority community. This research intends to explore essential meaning structure revealed in sexual minorities' reasons for joining a sexual minority community and in their experience in community activiti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8 sexual minorities, and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Data analysis was described using Giorgi's analysis methodology in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result, the sexual minorities' participation was consisted of 13 meaning units, 6 derived topics, and 3 essential topics, which were 'An unquenchable thirst', 'Another world called oasis', and 'Real estrangement' Moreover, based on the essential topics, the study participants' common meaning of essence was analyzed as 'spiritual diaspora'. Sexual minority communities shall contribute to developments of own organizations through mutual compensations by vitalizing exchanges with other communities based on this study. Also, the communities should the variety in sexual minorities to allow various people's participation. People's awareness on sexual minorities must be transformed so that closed communities can change. Comprehensive knowledge on sexual minorities should be distributed in the social welfare fields so that sexual minorities may search solutions on issues through various access not limited to certain communities.

본 연구는 성소수자들을 대상으로 성소수자 커뮤니티 참여경험을 통한 의미본질을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진입하고자 하는 이유와 커뮤니티 활동경험을 통해 나타나는 본질적 의미구조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성소수자 8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심층 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성소수자들의 참여는 13개의 의미단위와 6개의 도출된 주제, 3개의 본질적 주제로 나타났으며, 그 주제는 '채워지지 않는 목마름', '오아시스라는 또 다른 세계', '나는 진정한 이반!'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본질적 주제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공통된 본질의 의미는 '영혼의 디아스포라' 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성소수자 커뮤니티의 발전 방향을 다음과 같이 모색해 볼 수 있다. 첫째, 성소수자 커뮤니티간의 상호 교류를 활성화함으로써 상호보완을 통해 커뮤니티 발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둘째, 커뮤니티 활동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고 그 욕구가 반영될 수 있도록 성소수자 중에서도 다양성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 현장에서 성소수자 커뮤니티가 소외된 집단으로 머물러 있지 않도록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대한 올바른 지식 바탕으로 한 관심과 지원 및 교류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철.하경희, 2006, "청소년 동성애자의 반동성애 폭력경험과 심리사회적 특성", 아동권리연구, 10(3): 425-440.
  2. 강병철, 2011, "사회적 낙인 인식이 성소수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3. 강호정, 2010, "온라인 공동체(on-line community)의 현황과 전망", 한국의 민속과 문화, 15: 155-172.
  4. 김성연, 2013,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형으로 본 동성애자 자살", 고려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5. 나영정.정현희, 2014, "성소수자 인구, 커뮤니티를 그리는 작업에서 마주치는 문제들-한국 LGBTI 커뮤니티 사회적 욕구조사를 중심으로", 여성이론, 32: 92-108.
  6. 남궁선, 2008, "성적소수자의 인권형성 과정과 사회복지의 역할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논문.
  7. 박임효, 2008, "동성애자의 성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교육학적 탐색",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석사학위논문.
  8. 성정숙.이현주, 2010, "동성애자인권활동가의 청소년기 경험과 탄력성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31: 173-204.
  9. 이남인, 2006, 후설의 현상학과 현대 철학, 풀빛미디어.
  10. 이서진, 2007, "게이남성의 장소형성-종로구 낙원동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11. 이영선.권보민.이동훈, 2012, "청소년의 동성애 경험, 성의식, 동성애 혐오, 우울의 관계", 재활심리연구, 19(1): 129-147.
  12. 이영식.전창무.김소연.고복자, 2005, "성주체성 문제 혹은 동성애적 성향을 보이는 청소년들의 자아 존중감과 성 개방성",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6(2): 231-238.
  13. 이호림, 2015, "소수자 스트레스가 한국 성소수자(LGB)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14. 이혜민.박주영.김승섭, 2014, "한국 성소수자 건강 연구-체계적 문헌고찰". 보건과 사회과학, 36: 43-76.
  15. 양민옥, 2012, "초등학생 자녀를 둔 미혼양육모의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16. 윤인진, 2004, 코리아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출판부.
  17. 한국게이인권운동단체 친구사이, 2014/6/14/토, "한국 LGBTI 커뮤니티 욕구조사 최종보고서", 서울청소년수련관 지하 1층 더기강당.
  18. 한은영, 2011, "'변태소녀'들의 커뮤니티를 통한 자기표현-이화변날 레즈비언문화제를 중심으로-", 현대사회과학연구, 15: 139-155.
  19. 한유석, 2013, "성소수자들의 공간 전유와 커뮤니티 만들기-이태원 소방서 골목 사례 연구-", 서울도시연구, 14(1): 253-269.
  20. Guba. G. and Lincoln. S, 1994, Competing Paradigms in Qualitative Research, in N, K Densin and Y. S Lincoln(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Thousand Oaks, CA:Sage. pp. 105-118.
  21. Meyer. I. H, 1995, Minority stress and mental health in gay me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6: 38-56. https://doi.org/10.2307/2137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