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차원 모델링

Search Result 2,30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ssessment of flood hazard using 1D and 2D modeling in Rio Narcea, Spain (스페인 Rio Narcea 유역에서의 1D 및 2D 모델링을 이용한 홍수범람 평가)

  • Kim, Woo-Jin;Han, Hyeong-Jun;Choi, Gye-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31-431
    • /
    • 2011
  • Rio Narcea 는 스페인 북부에 위치한 Astuias 지역을 흐르는 Nalon River 의 한 지류로서 총연장 102km 유역 면적 1,135 m이며. 사행천으로 홍수 시 범람하기 쉬운 곡류천의 특성상 잦은 홍수피해를 받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2010년 6월에는 일주일 사이에 홍수 피해가 두 번씩이나 발생함에 따라 수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였고 사회 SOC 시설이 큰 타격을 입는 등 상당한 피해를 야기하였다. 이에 1D 및 2D 수리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행천에 수리특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홍수범람도를 작성하여 1D와 2D 모델링을 비교분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홍수 피해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1D 모델링은 HEC-GeoRAS 및 HEC-RAS를 이용하였으며, 2D 모델링에는 IBER를 이용하였다. Arc-GIS 툴을 이용한 HEC-GeoRAS 기능을 사용하여 강의 단면을 구성하고 HEC-RAS를 이용하여 1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2D 모델링에는 스페인의 CIMNE에서 개발한 2차원 수리해석 프로그램인 IBER를 사용하였는데, 이 프로그램은 부정류 해석과 난류 해석, 유사이동 및 Dam-break 등의 해석이 가능하다. 1D 및 2D 모델링의 결과 값으로 얻어진 수심 및 유속을 토대로 1D는 Arc-GIS를 이용, 2D는 IBER 프로그램 내에 기능을 이용하여 바르셀로나에서 주로 사용되는 Catalan Water Agency 기준에 의한 홍수범람도를 작성하였다. 각각의 1D 와 2D 모델링으로 작성한 홍수범람도를 비교분석해 본 결과 거의 유사하게 표현됨을 알 수 있었으며, 두 모델링 기법 모두 홈수범람도를 표현함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대상지역의 관련 자료의 유무에 따라 구분하여 1D 혹은 2D 모델링 기법을 선택 사용할 수 있으며. 유역의 홍수발생시 인명과 재산 피해에 대비한 홍수범람 지도 및 홍수재해지도 제작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ression of the Rules of Producing Phonetic Values (음가 생성 규칙의 압축)

  • 이계영;임재걸;김경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201-203
    • /
    • 1999
  • 음성합성에서 자연스러운 합성음을 생성하기 위하여 표준 발음법을 페트리넷 근저행렬로 모델링하는 방법으로 표준 발음법을 음가 생성 규칙으로 만들 수 있다. 본 논문은 페트리넷으로 모델링된 음가 생성 규칙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압축하기 전의 음가 생성 테이블의 크기는 719*107의 2차원 배열이었으며 구현된 시스템으로 압축한 결과 41*40의 2차원 구조체 배열로 압축되었다.

  • PDF

컴퓨터를 이용한 분자모델링

  • 김용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11a
    • /
    • pp.105-110
    • /
    • 1994
  • 분자 모델링은 Molecular Mechanics 라는 empirical force field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분자들의 3차원적 구조를 구하고, 이로부터 이 분자들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들을 계산하고, Computer Graphics를 사용하여 형상화하는 전반적인 연구활동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활동의 출발점은 실제의 분자와 가장 가까운 3차원적 분자구조를 얻는 것이다. 여러 가지 가능한 방법을 통하여(양자역학적 계산 혹은 X-ray Database 검색등) 최적의 구조를 얻은 후, 이 구조를 사용하여 관심 있는 여러가지 물리적, 화학적 성질들을 계산할 때, 비로소 실험결과를 설명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새로운 분자의 Design 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ree-Dimensional Modeling Using KOMPSAT-1 Strip Images (KOMPSAT-1 스트립영상의 3차원 모델링)

  • Yoo, Hwan-Hee;Kim, Uk-Nam;Kim, Dong-Kyoo;Jeong, Ju-Kwo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3a
    • /
    • pp.137-14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KOMPSAT-1호 EOC 위성영상으로 구성한 스트립영상과 영상의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위치결정 모델링을 수행하여 그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스트립영상은 동일한 패스를 촬영한 단영상들을 연속적으로 접합시켜 구성하였다. 이 방법은 접근가능지역에서 기준점으로 오차보정을 실시한 후 비접근지역으로 연결되는 스트립영상을 기준점 필요 없이 위치결정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비접근지역에 대한 지형정보 취득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하였다.

  • PDF

A Partitioning Method of Octree for CLOD (CLOD를 위한 옥트리 분할 기법)

  • 이승욱;박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06a
    • /
    • pp.564-569
    • /
    • 2001
  • 본 논문은 기존의 3D게임엔진에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3D MMORPG(Massive Multi-play Outline Role Playing Game) 게임에 적합한 가상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필요한 기술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려 한다. 기존의 머드 게임에 3차원 기술적용하고, 3차원 물체를 모델링하는데 있어서 메쉬나 버텍스, 혹은 폴리곤으로 사실적인 지형처리와 렌드링 속도향상을 위하여 3차원 개체의 폴리곤을 동적으로 생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Height field처리 기법과 거리에 따라 다르게 모델링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LOD(Level of Detail)처리기법과 가시성 판단이나 충돌 검출을 위한 입체 컬링 방법으로 옥트리를 이용하여 가상공간을 분해 하기 위한 자료 구조로 사용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3차원 공간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옥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공간을 분할하고, 이를 세부수준으로 나누어 처리하기 위한 LOD 개념을 이용하여 외부지형을 폴리곤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처리 기법을 제시하려고 한다.

  • PDF

The Application of Line Measurement Method for 3D Modeling of Construction (구조물의 3차원 모델링을 위한 직선측정기법의 적용)

  • 강준묵;김위현;강기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2.10a
    • /
    • pp.117-120
    • /
    • 2002
  • 일반적으로 많은 건축물들은 형태의 규칙성에 기인된 일련의 정의된 규칙을 이용하여 축조된다. 하지만, 기존 사진실측으로 건축물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기준점의 배치, 영상의 피복범위에 따른 촬영점 선점, 중복도 고려 등 다소 복잡한 절차가 수반된다. 본 연구에서는 평행, 수직성, 평면과 같은 대상물에 대한 사전정보가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건축물의 3차원 재건분야에 직선측정기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까다로운 조건을 탈피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3차원 모델을 재현해 본 후, 정확도 검증을 통해 건축물 사진측량 분야에 이러한 기법의 효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Three-Dimensional Placing of Lighting Devices and 3D Viewer Technology Using AR Foundation (AR Foundation을 이용한 조명기기 3차원 배치 및 3D뷰어 기술 개발)

  • Lee, Su-Young;Park, Chan-Hyung;Kwak, You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737-74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AR Founation을 이용하여 조명기기를 생활공간에 배치시키는 소비자 맞춤형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조명기기를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바닥, 벽면, 천장에 맞게 배치 시킬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우선 조명기기를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링을 한다. 그리고 모델링된 개체에 블렌더를 이용하여 받침대 및 부수적인 요소를 추가하여 3차원 조명기기를 완성한다. 완성된 조명기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3차원 공간상에 위치 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간단한 스마트폰 터치를 통해 손쉬운 공간 설계 지원이 가능하다. 구현된 시스템은 모바일 AR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하여 기존의 AR 어플리케이션의 가구 배치 프로그램에 비해 다양한 연출 효과를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생생한 현장감을 주는데 효과적이다.

  • PDF

Spray Modeling: An Augmented Reality Based Tangible 3D Modeling Interface (스프레이 모델링: 증강현실 기반의 실체적인 3차원 모델링 인터페이스 제안)

  • Jung, Hee-Kyoung;Nam, Tek-Ji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4 s.62
    • /
    • pp.119-128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n intuitive 3D modeling interlace based on a field study and prototype development. The process and tools of modeling were observed in workshops of professional design model making, day modeling, wood caning and glass crafting. The Spray Modeling interlace was developed from the observational analysis of the field study. It is a 3D modeling interface which combines particle spraying and day modeling in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space. Virtual volume particles are sprayed on frames in Augmented Reality space as day modeling. It adopts a real air spay gun as a tangible interface device which provides coherent sound and air-force feedback. The prototype development and a user study showed that the interface supports new patterns of form development and expression. Control interfaces and requirements of auxiliary devices were found to be improved. This study examines the potential of the new interlace for designers working in 3D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he new spraying interface is also expected to be used as an alternative interface in 3D computer workspace, games, education software and media art.

  • PDF

2 Dimensional TSP Modeling Using Finite Element Method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2차원 TSP 모델링)

  • Lee, Hong;Suh, Jung-Hee;Shin, Chang-Soo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6 no.1
    • /
    • pp.13-22
    • /
    • 2003
  • TSP (Tunnel Seismic Profiling) survey is a technique for imaging and characterizing geological structures ahead of a tunnel face. The seismic modeling algorithm and the synthetic data could be helpful for TSP surveys. However, there is few algorithm to describe the propagation of the elastic waves around the tunnel. In this study, existing 2-dimensional seismic modeling algorithm using finite element method was modified to make a suitable algorithm for TSP modeling. Using this algorithm, TSP modeling was practiced in some models. And the synthetic data was analyzed to examine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elastic waves. First of all, the modeling for the homogeneous tunnel model was practiced to examine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direct waves in the vicinity of the tunnel. And the algorithm was applied to some models having reflector which is perpendicular or parallel to the excavation direction. From these,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flected waves were examined. Furthermore, two source-receiver arrays were used in respective model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the two arrays. These modeling algorithm and synthetic data could be helpful in interpreting TSP survey data, developing inversion algorithm and designing new source-receiver arrays.

3D Shape Recovery based on Stereo Matching (스테레오 정합을 이용한 3차원 형상정보 복원)

  • 구본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151-15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정합기법을 이용하여 2차원 물체의 형상정보로부터 3차원 형상정보를 자동 추출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3차원 형상추출을 위해서 밝기값기반 방법과 특징기반 방법의 장점을 살려 두 방법을 통합 사용하였다. 또한, 오정합을 최소화하고 처리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Coarst-to-fine 방법을 적용하였다. 제안한 방법에 의해 도출된 변이영상(Disparity map)은 3차원 그래픽을 이용하여 모델링에 적용함으로써 3차원 형상정보 추출의 타당성 및 가상공간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