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쪽방 지역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쪽방 거주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지 (An Ethnography on the Daily Life of the Residents in Jjok-bang)

  • 권지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4호
    • /
    • pp.131-156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쪽방 거주자들의 일상생활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문화기술지 접근을 시도하였다. 즉 1년 정도의 기간에 쪽방 지역과 쪽방 거주자들의 일상생활이 이루어지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참여관찰을 하고 쪽방 거주자들과 이해당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들을 문화기술지 접근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주체와 공간, 시간, 생활방식의 네 가지 차원으로 분석되었다. 쪽방 거주자들과 관련된 주체는 나, 우리, 그들로 파악하였다. 쪽방 거주자들이 살아가는 공간은 쪽방, 쪽방지역, 쪽방상담소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들이 존재하는 시간은 과거, 현재, 미래의 경험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쪽방 거주자들의 생활방식을 생존, 생계, 생활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생활방식을 생존계층, 생계계층, 생활계층으로 나누어 이해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정책과 행정, 실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 PDF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 of Elderly Men Living Alone in a Single Room Occupancy(Chokbang))

  • 허소영
    • 한국노년학
    • /
    • 제30권1호
    • /
    • pp.241-260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의 삶의 경험이 갖는 의미와 본질을 밝힘으로서 이들의 경험에 대한 좀 더 풍부한 이해를 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Y 쪽방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독거 남성 8명이다. 의도표집방법과 눈덩이 표집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포커스 집단 면담과 개별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Giorgi의 4단계에 의거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구성요소와 16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쪽방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들의 삶의 4가지 구성요소는 <마음 둘 곳 없어 외로운 신세: 아들, 남편, 아비구실 못해 가족을 지우고 살아옴, 몸은 머물지만 정들지 않는 쪽방 살이, 하루짜리 술친구에 머무는 사귐, 외로움을 안고가기>,<인색한 지원에 근근이 살아감: 쪽방처럼 사방이 막힌 인생살이에 우울함, 수급자라 휘둘리고 무시 받아 속상함>,<편견과 차별에 주눅 드는 삶: 아쉬워도 손 벌리지 못함, 가족을 꾸리지 못해 후회되고 냉대 받음, 다가가지 못하는 바깥세상 >,<사람노릇하며 살다가기: 홀로의 삶을 건사하여 독립을 유지하려함, 빚 갚는 마음으로 도움주기, 하릴없이 보내는 나날이 고역이라 일을 하고 싶음, 쪽방 사람들과 다르게 살아가기, 어른도리 하기, 마음을 다스려 현재의 삶을 수용함, 폐가 되지 않을 죽음을 준비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쪽방지역에 홀로 사는 남성 노인들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논의하고 사회복지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쪽방밀집지역의 주거환경과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GIS 활용 연구 (GIS-based Study on Residential and Neighboring Environment and Residents' Social Exclusion in Slum Area)

  • 김동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209-225
    • /
    • 2017
  • 대전시 쪽방밀집지역의 주거환경 문제점 및 주거환경이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GIS(지리정보시스템)기반 커뮤니티매핑 및 주민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주민들의 지리정보 및 기타 속성을 지도화한 결과, 여성과 고령자가 중심지역에 밀집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2009년과 2016년의 자료비교를 통해 빈곤밀집지역이 다소 분산되는 경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이 지역의 실내외 모습을 담은 252장의 사진을 대상으로 의미단위별 유목화, 범주화 작업을 실시, 주거환경문제를 미관-위생, 협소-주택기능미비, 안전-사생활노출, 낙인의 4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사진자료를 통한 커뮤니티매핑실시 결과 이 지역이 4곳의 구역으로 구분되며 주택형태, 주거형성의 역사, 비빈곤지역과의 접촉면, 폐쇄와 개방 등의 특징으로 주거문제가 달라진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 주민대상 설문조사를 실시, 구역별로 일자리참가여부, 이웃만족도, 낙인, 사회적 배제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결과, 주거만족도가 사회적 배제에 가장 큰 요인임이 드러났다. GIS기반의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이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에 있어서 구체적 접근과 문제별 대응이 이루어질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쪽방지역 주거기간과 우울증상 경험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period of living alone in a shabby one-room and depression experience)

  • 김진성;차선화;김창수;박희정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7-51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bstantiate a correlation between the period of living alone in a shabby one-room and a depression experience.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data from the Korea Homeless Survey carried out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16. In the study, the data included 485 survey participants who resided in a single room. The period of single-room occupancy being divided into three groups: less than 1 year, 1 to 4 years, and more than 5 years was considered a primary independent variable. The outcome variable which represented a depression experience was measured by CESD-11(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We carried out a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o evaluate the association. Results: The rate of depression experienced in this population was 77.5%. Almost 83.9% of the participants were reported as being unable to receive the mental health counselling in the last 12 months.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subjects who were living in a single room occupancy for 1-5 years(OR=3.89; 95% CI=1.43-10.56) and more than 5 years(OR=2.71; 95% CI= 1.05-6.95)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living alone in a shabby one-room had a high correlation with experiencing depression. We proposed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strategy for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poor, vulnerable and deprived population.

지역사회기반 참여와 사회생태적 관점에서 본 국내 쪽방지역 주민의 건강증진 역량강화 방안 (Trends and implications of Jjok-Bang research in South Korea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mmunity-Based Participation and the Social Ecological Model)

  • 김진성;허현희;정혜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9-92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rends of jjok-bang research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and Social Ecological Model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future public health interventions, policy designs, and policy implementations. Methods: Studies used in the systematic review are published from 1999 to 2014 and searched using key words such as 'jjok-bang' and 'single room occupancy' us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electronic databases. However, there were no studies from abroad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Search in domestic databases such as KCI, KISS, RISS generated 119 studies. In this paper, 20 cases which meet the criteria of the systematic review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The contents of research included are the life of jjok-bang inhabitants(9 cases), the demand for welfare services(4 cases) and welfare need(2 cases), mental health(1 cases), and the history of jjok-bang formation(4 cases). Fourteen cases of empirical study were analyzed focus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and Social Ecological Model. Some of research was carried out forming a partnership with various community partners and this trend increased since 2008. There are high frequency of intrapersonal level and interpersonal level studies. However, studies looking at the organization, community or policy level were relatively few. Conclusions: Future studies of jjok-bang area should consider the various social determinants which affect the health delivery system, community organization and policies, as well as individual or community level.

소수민족집단체류지역(Ethnic Enclave)으로서의 옌볜거리의 장소성 형성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s in Yen-Ben Street That Form a Sense of Place as an Ethnic Enclave)

  • 한성미;임승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1-90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전형적인 소수민족집단체류지역(ethnic enclave)의 형태를 보이고 있는 가리봉동 "옌볜거리"의 장소성 형성 요인을 분석하고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찾음으로써, 국내 외국인 거주자 및 주거지역의 증가에 의한 문화적 다양성을 수용하고 그러한 다양성이 긍정적으로 발현될 수 있는 도시경관 형성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소수민족집단체류지역(ethnic enclave)으로서의 옌볜거리의 장소성을 형성하는 요인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장소성을 형성하는 물리적 환경 요인으로 나타난 쪽방촌과 열악한 공간적 환경은 외부자의 부정적 인식과는 달리 거주자에게는 그들의 경제여건에 부합하는 긍정적인 의미를 보였다 둘째, 연길에서의 그것과 유사한 색채 및 한글과 한문이 혼용된 간판은 옌볜거리에서의 장소성을 형성하는 물리적 환경 요인으로서, 내부인인 조선족에게는 구성원들 간의 내적 소통의 수단으로 조선족 문화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요인으로 해석되었다. 셋째, 옌볜거리에서는 물리적 건축 환경 요소보다는 집단적 삶의 일상성을 충족시키는 구매활동, 여가 및 정보교환 활동이 장소성 형성에 더욱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넷째, 공간적 전유(appropriation)현상과 주변과의 격리현상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격리현상은 외부인에게 부정적 장소성을 형성하고 있었다. 다섯째, 조선족의 고향에 대한 인식, 문자 및 언어, 음식문화 등에서의 문화적 이중성(dualism) 및 혼재(mingling) 양상은 현재 옌볜거리의 장소성을 형성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옌볜거리의 장소적 현상에 있어서 임시성(temporariness)이 두드러졌으며, 이러한 임시성은 불법체류라는 조건 하에서 더욱 강화되고, 이는 주거환경에 대한 무관심 등의 부정적 결과를 야기할 수 있으나, 동시에 그러한 임시성으로 인한 불안감을 완화시키고, 내부자간의 협력과 유대를 강화함으로써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장소성 형성 요인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