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짝의 t-검정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불완전한 짝자료에 대한 검정법 (Tests for Incomplete Paired Data)

  • 이승묵;박진경;박태성
    • 응용통계연구
    • /
    • 제12권2호
    • /
    • pp.415-432
    • /
    • 1999
  • 짝자료(paired data)에서 결측값이 발생했을 때에 이 자료를 처리할 수 있는 여러통계검정 방법들을 고찰해보았다. 결측값들을 어떻게 처리하는 지에 따라서 다섯 가지 방법으로 분류해 보았고, 이 방법들이 짝 t-검정에 미치는 효과를 모의실험을 통해 비교해 보았다. 결측값들에 대한 세 종류의 메카니즘을 고려하여 검정크기와 검정력을 구하였다.

  • PDF

한국임상수의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의 통계분석 검토 (Statistical Issues in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박선일;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0-174
    • /
    • 2010
  • 본 연구는 2006-2007년 한국임상수의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자료 분석과 보고방법의 오류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총 129편 중 94편이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통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세 집단 이상 비교 (53편, 56.4%), 두 독립표본 검정 (40편, 42.6%), 짝지은 표본 검정 (9편, 9.6%) 순으로 나타났다. 94편 중 62편 (66%)의 논문에서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통계적 오류가 발견되었다. 주요 오류로는 짝지은 표본에 대한 독립표본 검정, 세 집단 이상에 대한 t 검정의 반복, 카이제곱 검정에서 연속성 보정 무시, 분산분석에서 정규성 검토와 다중비교 방법 선택의 오류, 반복측정 자료에 대한 의존성 가정 무시, 통계분석 방법에 대한 부적절한 설명, 적용한 분석기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부재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회차원에서 통계처리와 기술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시급히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경영학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법 적용 사례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Applying Flipped Learning and Team-based Learning in University Subject, Business Communication)

  • 최승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26-13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학 교과목인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 플립러닝과 팀 기반 학습법을 적용하여 과목의 특성에 맞게 운영하고 이에 따른 성과를 확인해 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대학의 경영학 수업에서 학습자 중심 교수법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에서 문서작성능력은 현대산업사회의 필수역량으로 인식되며, 이러한 역량을 제고시키기 위한 교과목 운영 성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2018년에 본 교과목을 수강한 64명을 대상으로 학기 초와 학기말에 짝지은 표본의 형태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윌콕슨 부호 순위검정과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두 검정 모두에서 학기 초 대비 학기말의 커뮤니케이션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교과목 운영 및 전반적 사항에 대한 만족도 역시 학기말에 더욱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해당 교수법 시행 이전인 2017년과 비교할 때 학생들의 강의만족도 역시 확연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가 요구하는 실전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경영학과 교과목 운영사례 연구로서, 교과목의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학습자 중심 교수법의 적용방향을 설정하여 운영하고, 그 성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는 동안에 움직임의 속도가 최대 지면반발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eed of Movement on Maximum Ground Reaction Force During the Sit-to-Stand Transfer)

  • 이상협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0-29
    • /
    • 1998
  • 연구의 배경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는 일상생활동작중 흔한 동작중의 하나이다. 노인들을 포함한 많은 환자들은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에 어려움이 있고 속도가 감소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른 두 속도로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는 동작을 실행할 때 최대 지면반발력의 세개의 요소를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자 22명의 건강한 성인 (20-36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방법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동작 수행중 최대 지면반발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힘판을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은 메트로놈을 이용하여 각각 느린 속도 (3초: 총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동작 수행시간)와 빠른 속도(1.5초)에서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를 수행하였다. 느린 속도와 빠른 속도중 최대 지면반발력을 비교하기 위해 짝비교 t-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빠른 속도시 최대 지면반발력의 수직(p<0.05), 전-후(p<0.05), 내-외(p<0.05) 요소에서 느린 속도시와 차이가 있었다. 최대 지면반발력의 모든 요소가 움직임의 속도의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토의 및 결론 빠른 속도의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최대 지면반발력의 수직, 전-후요소의 추진력이 요구된다. 최대 지면반발력의 내-외요소는 상전방으로 작용하는 모멘트의 증가에 대한 제동력으로 생각된다. 또한, 빠른 속도로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추진력은 일어서는 순간의 모멘트에 대한 지면반발력의 내-외요소에 영향을 미친다. 이라한 결과들은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동작에 어려움을 갖는 노인이나 환자들의 노력을 덜기위해 느린 속도의 움직임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PDF

핵심간호술 강화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간호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s of Core Nursing Skills Improvement Program on Nursing Skills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하영옥;안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23-231
    • /
    • 2017
  • 본 연구는 핵심간호술 강화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간호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융합적으로 검증하여 간호학생의 수행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첫 임상실습을 앞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7개 핵심간호술(활력징후 측정, 경구투약, 근육주사, 피하주사, 단순도뇨, 배출관장,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을 선정하여 2015년 1월 19일부터 23일까지 5일간 핵심간호술 강화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158명의 자료는 서술적 분석과 짝비교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핵심간호술 강화프로그램 후 간호학생의 간호술 수행능력 점수는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자신감과 문제해결능력에서 사전보다 사후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총 수행능력과 관련변수들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간호술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슴 가동성 제한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에게 가슴 가동성 운동이 가슴가동성, 호흡패턴 및 호흡량에 미치는 효과: 사례 시리즈 (Effects of Thorax Mobility Exercise on the Thorax Mobility, Breathing Pattern and Respiratory Capacity in Subject With Restricted Thorax Mobility: A Case Series)

  • 하성민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2호
    • /
    • pp.99-107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가슴 가동성 제한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에게 가슴 가동성 운동이 가슴 가동성, 호흡 패턴 및 호흡 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3명의 가슴 가동성 제한을 가진 남/녀 대상자를 대상으로 가슴 가동성 운동(갈비뼈 가동성 운동)을 시행하여 가슴 가동성, 호흡 패턴 및 호흡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가슴 가동성 운동 전/후에 연구 참여 대상자의 가슴 가동성(들숨-날숨 간 가슴 확장 길이 측정), 호흡 패턴 형태(가슴 움직임 수직 이동거리 측정) 및 호흡량(forced vital capacity,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을 측정하였다. 가슴 가동성, 호흡 패턴 및 호흡 용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짝-검정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05였다. 결과 : 가슴 가동성과 호흡 패턴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호흡 용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갈비뼈 가동화 기법을 이용한 가슴 가동성 운동은 가슴 가동성 개선과 가슴 올림이 유발되는 비정상적인 호흡 패턴을 정상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라고 여겨진다.

물류활동에서 RFID와 바코드 시스템의 효용성 비교를 위한 통계분석 도구(RUSAT) 개발 (The Development of RFID Utility Statistical Analysis Tool (RUSAT) in Comparison to Barcode for Logistics Activities)

  • 하헌철;박흥선;김현수;최용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37-146
    • /
    • 2012
  • 공급사슬망(Supply Chain Management: SCM)은 비용을 최소화시키고, 불확실성을 줄이며 전체적인 최적화 과정을 통해 고객만족을 달성하려는 일종의 경영 패러다임이다. 이는 모든 거래 파트너들 사이의 원료, 부품뿐만 아니라 정보, 자금, 지식의 흐름을 통합적으로 관리운영하기 때문에 SCM의 RFID 도입은 전체 SCM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불확실한 환경 하에서 객관적인 분석 없이 RFID 시스템 도입여부를 판단하는 의사결정과정에는 한계가 있고 리스크도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RFID 시스템의 유효성을 바코드와 비교하고자 할 때 사용될 수 있는 통계적인 분석 모형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비전문 통계인도 이를 쉽게 사용하여 자료를 입력 및 분석할 수 있는 RUSAT(RFID Utility Statistical Analysis Tool)라는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RUSAT는 향후 RFID 시스템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효과적인 의사결정 도구로써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비탄력 고정식 벨트가 노인 여성의 균형능력과 낙상예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a Non-Elastic Fixation Belt on the Balance Ability and Fall Prevention in Elderly Women)

  • 이장태;천승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98-40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여성의 약화된 천장관절 안정화를 위하여 비탄력 고정식 벨트를 적용하여 균형 능력과 낙상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 여성들은 출산과 폐경으로 천장관절의 약화 및 골반 주위근육들의 약화로 인하여 균형능력의 감소와 낙상위험률이 증가된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연구는 불충분하다. 연구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20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였으며, 비탄력 고정식 벨트를 실험군에게 적용한 후 균형 측정기를 사용하여 균형능력과 낙상 위험률을 평가하였다. 또한 비탄력 고정식 벨트를 적용한 실험군에서 하복부근육의 근두께를 초음파기기를 사용하여 실험 전후에 측정하였다. 통계방법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위하여 독립 t-검정, 균형 및 낙상지수를 위하여 $2{\times}2$ 반복 측정 분산분석 및 근두께를 위하여 짝비교 t-검정을 사용하였다. 두 그룹의 교호작용 효과는 안정성 지수(F1,38=47.24, p=0.001), 퓨리에 지수(F1,38=88.83, p=0.001), 체중분포 지수(F1,38=50.21, p=0.001) 및 낙상 지수(F1,38=21.59, p=0.001)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비탄력 고정식 벨트를 적용한 결과 실험 후 복횡근(p=0.001)과 내복사근(p=0.001)의 근두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노인 여성들의 약화된 천장관절의 강화 및 안정화 방법으로 비탄력 고정식 벨트는 균형 및 낙상 예방에 긍정적이며 용이성, 보편성 및 경제적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백색광 스캐너로 채득된 치과용 디지털모형의 정확도와 신뢰도 평가 (Evaluations of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s Made on White Light Scanner-based Dental Digital Models)

  • 김기백;김재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357-364
    • /
    • 2012
  • 치과용 스캐너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모형은 기존의 전통적인 석고모형을 대체할 만큼 발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모형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상악의 전악모형을 주 모형으로 설정하여 주 모형으로부터 석고모형을 제작하였고(N=10), 치과용 백색광 스캐너를 이용하여 10개의 디지털모형 데이터를 채득하였다. 제작된 두 실험군(석고모형, 디지털모형)을 1명의 검사자가 2회에 걸쳐서 6곳의 계측지점을 측정하였다. 짝 표본 t-검정과 급내 상관계수을 이용하여 통계적인 분석을 하였다. 실험결과 측정값의 검사자 내 신뢰도는 급내 상관계수 결과 두 실험군 0.75에서 0.87의 범위를 보였다. 석고모형과 디지털 모형의 평균 오차값은 0.11mm에서 0.23mm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모든 계측지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실험결과 모든 계측지점에서 적정수준의 정확성은 확보되지 않았으나, 선행연구에 비추어 볼 때 임상적인 효용성은 검증되었다. 추가적으로 임상적인 사례를 통해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해부용시신을 이용한 참관 해부실습 후 죽음에 대한 인식의 변화 (Changes of Recognition to Death Before and After Observation on the Cadaver Dissection to Paramedical Students)

  • 조근자;김수일
    • 해부∙생물인류학
    • /
    • 제31권4호
    • /
    • pp.159-165
    • /
    • 2018
  • 본 연구는 해부용시신을 이용한 참관 해부실습 전과 후에 보건의료계열 학생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 변화를 파악하여 죽음에 대한 바른 인식과 이해를 고취하도록 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보건의료계열 1학년 학생 472명이었으며, 죽음에 대한 인식은 36문항으로 구성된 설문 도구를 사용하여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4월 5일부터 6월 18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 t 검정, ANOVA, 짝비교 t 검정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참관 해부실습 전에는 직계가족 중 환자가 있는 경우(p=.016), 사망자를 직접 본 경우(p=.021)에 죽음에 대한 인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참관 해부실습 후에는 본인의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p=.036), 직계가족 중 환자가 있는 경우(p=.010), 사망자를 직접 본 경우(p=.011)에 죽음에 대한 인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죽음에 대한 인식은 전체적으로 참관 해부실습 전(3.06점)보다 후(3.19점)에 유의하게 죽음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p=.000). 특히 죽음에 대한 불안은 참관 해부실습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0), 죽음에 관한 관심 역시 참관 해부실습 후 유의하게 높아졌다(p=.000). 따라서 죽음에 대한 불안을 완화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이 동반된다면, 해부용시신을 이용한 참관 해부실습은 해부학적 지식을 향상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죽음에 대한 인식 수준을 높이는 데도 도움을 주는 경험이 될 수 있어 적극적으로 장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