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단 치료놀이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4초

교사의 집단치료놀이가 유치원 종일반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유능감 및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led Group Theraplay on Ego Resilence, Peer Competence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Among Full-day Kindergarteners)

  • 김경은;한유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299-32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종일반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유능감 및 교사-유아 관계의 증진을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유아 14명이며 7명은 실험집단, 7명은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 유아에게 매회 50분씩 10회기에 걸쳐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집단치료놀이 실시 전과 후를 비교하고자 자아탄력성 척도, 또래유능감 척도, 교사-유아 관계 척도(STRS :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를 교사가 평정하였다. 자료분석은 각 집단별 사전-사후검사를 분류하여 채점한 후 맨휘트니(Mann-Whitney)검증과 윌콕슨(Wilcoxon)검증을 실시하였다.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집단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유능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교사-유아 관계에서 친밀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반면에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아무런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 또래상호작용 및 뇌파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hild-Centered Group Play Therapy Program on the Withdrawal of Children's Daily Stress, Anxiety, Peer-Interaction and EEG Variation)

  • 이유선;한유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9-267
    • /
    • 2015
  • 본 연구는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 또래상호작용 및 뇌파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 교사에 의한 아동행동평가척도인 K-CBCL에서 임상범위에 해당되는 만 3세-5세의 위축유아 12명이었다. 이 유아들은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으로 나눈 뒤 실험집단 유아에게 주 2회 35분씩 총 12회기의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의 전과 후를 비교하기 위해 프로그램 사전-사후에 일상적 스트레스척도, 불안척도, 또래 상호작용척도 및 뇌파검사를 한 후 결과처리를 위해 맨 휘트니(Mann-Whitney-U)검증과 윌콕슨(Wilcoxon)검증을 실시하였다.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종료 후 실험집단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불안은 감소하였고 긍정적 또래상호작용과 뇌파의 정서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통제집단 유아에게는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는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가 위축성향을 보이는 유아의 정서적인 어려움을 다루는데 효과적인 접근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치료놀이를 활용한 집단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 변화 과정 (The Effect of a Group Program Using Theraplay on Prosocial Behavior of 2-year-old Infants and Process of Infants' Prosocial Behavior Change)

  • 김태은;전아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3-197
    • /
    • 2019
  • 본 연구는 치료놀이를 활용한 집단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그램 과정에서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 변화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W시의 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아 1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정하였고 실험집단에 주 2회씩, 총 11회의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적응적 사회적 행동 척도(Hogan et al., 1992)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고 Wilcoxon rank-sum test로자료를 분석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전 회기를 녹화하고 Padgett(2001)의 제안을 따라 분석해 친사회적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친사회적 행동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친사회적 행동은 프로그램의 전 과정에 걸쳐 점진적으로 개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료놀이를 활용한 집단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집단 지도 ${\cdot}$ 감독 과정을 통해 본 초기 놀이치료의 기법과 과제 (TASKS AND TECHNIQUES IN THE INITIAL PHASE OF PLAYPSYCHOTHERAPY ILLUSTRATED BY GROUP SUPERVISION PROCESSES)

  • 홍강의;박민숙;남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4권1호
    • /
    • pp.142-163
    • /
    • 1993
  • 정서적인 문제로 갑자기 산만하고 공격적인 문제를 보였던 8세된 국민학교 남아의 놀이치료 내용과 이에 대한 집단 지도 ${\cdot} 감독(supervision)을 자세히 기술함으로써 놀이치료 초심자가 초기 놀이치료에서 경험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놀이치료 초기에 초심치료자가 흔히 범하는 잘못은 치료자 자신의 불안이나 성격적 특성 때문에 놀이를 환아가 선택하는 방향으로 보다는 자신에게 의미있는 내용으로 이끌려하고, 너무 적극적이거나 무반응, 과잉간섭, 과잉 및 부적절한 해석, 현실과의 직접적 인계시도이다. 놀이치료 초기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치료자가 환아의 긍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임으로 그리기 위해서는 환아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며, 환아가 이끄는 방향으로 놀이가 일어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치료자와의 관계를 통해 수정된 발달경험을 함으로써 문제와 갈등이 해결될 수 있다는 확신을 전해주어야 한다. 치료자는 놀이치료의 초기에는 모든 노력을 관계형성을 이루는데 촛점을 맞추어야 한다.

  • PDF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감소를 위한 집단놀이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장애인 주간보호센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To Reduc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roup Play Therapy Case Study-Focusing on the Daytime Protection Center Users with Disabilities)

  • 신준옥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76-184
    • /
    • 2020
  • 본 연구는 집단놀이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위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며 장애인 단기보호센터를 이용하는 장애아동 5명이다. 연구기간은 2018.1. 2. - 2. 28. 까지 겨울방학을 활용하여 매주 2회 4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문제행동 진단척도(K-CBCL)로 매 회기마다 행동변화를 질적으로 관찰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기별 과정에서 장애아동들은 공격성, 위축, 우울, 불안 등이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활동적이 모습이 증가하였다. 둘째, 집단놀이치료 개입 후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외현화 문제보다 내재화 문제에서 더 많은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놀이치료는 장애아동의 개별적인 특성에 따라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의미가 있으므로 실천현장에 적용하고자 한다.

ADHD 아동과 정상아동의 Rorschach반응 및 모래놀이치료 내용 비교 (COMPARATIVE STUDY OF CHARACTERISTICS IN RORSCHACH RESPONSE AND SANDPLAY BETWEEN ADHD AND NORMAL CHILDREN)

  • 조선미;최지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7권1호
    • /
    • pp.51-59
    • /
    • 2006
  • 목 적 : 본 연구는 ADHD 아동 집단의 로샤반응 특성을 알아보고 정상 아동 집단군과 비교하여 군집에서 나타나는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투사적인 심리치료 기법 중 하나인 모래놀이치료에서 나타난 특성들을 이들 집단 간에 비교한 후 로샤 뿐 아니라 모래놀이치료 작품에서의 차이점을 밝혀 보고자 한다. 방 법 : ADHD 아동 집단은 정서 문제와 inattention type을 배제하고 순수하게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가 있는 아동들로 제한한 10명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상 아동 집단은 같은 연령대로 지능을 통제한 아동군 유치원생 및 초등학생 1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로샤 반응들은 Exner 종합체계(1993)에 따라 실시, 채점되었고 분석되었다. 검사를 하고 난 후 모래놀이작품을 만들었으며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보기위해 t 검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ADHD 아동군은 로샤 반응 시간이 빠르고 반응에 대한 기억의 실패가 빈번하였다. 또한, 발달질이나 형태질에서 평범하고 일반적인 특성이 부족했으며 정상 아동 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3r+(2)/R, X-%, Xu%, (2), AG, Afr, SCZI, Wsum 6, FD, Zd, Blends, a와 같은 지표들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모래놀이작품에서도 작품 제작 시간과 전체 완구 수, 탈 것 종류, 통합성 영역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로샤에서 나타난 반응 수나 반응 시간의 차이와 흡사하며 자신이 사용하고 싶은 완구를 심사숙고하는 성향이 없이 나열하여 전체적으로 통합되고 조직화되는 부분이 매우 부족한 것을 의미한다. 논 의 : ADHD 아동 집단이 로샤에서 반응 시간이 빨랐던 것과 흡사하게 모래놀이작품의 제작시간도 유의하게 빨랐다. 이는 ADHD 아동집단이 외부 자극이나 과제에 대한 mental effort의 기여도가 부족하고 즉흥성이 높은 것을 반영한다.

  • PDF

유아-교사 친밀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a Group Theraplay Program for Enhancing Intimacy i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and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s)

  • 김태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221-24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친밀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만 2-3세 유아 1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매 회 45분, 주 2회씩, 총 10회기의 집단치료놀이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떤 처치도 제공하지 않았다. 유아-교사 친밀관계(Pianta, 2001) 및 어린이집 적응(Jewsuwan, Luster & Kostelnik, 1993) 척도를 사용해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맨 휘트니 유 검정과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여 자료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의 유아-교사 친밀관계는 동질적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유아-교사 친밀관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의 어린이집 적응 수준은 동질적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어린이집 적응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은 유아-교사 친밀관계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에릭슨의 발달단계 이론에 따른 4세 여아의 놀이치료에 나타난 놀이 분석 (Play Analysis of the Play Therapy conducted for a 4-year-old girl on the basis of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

  • 전혜진;유미숙
    • 한국놀이치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9-471
    • /
    • 2018
  • 본 연구는 도구적 사례연구로 만 4세 여아의 놀이치료 과정에 나타난 놀이를 분석하였다. 내담 아동은 어린이집에서 집단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낯선 사람이 말을 걸면 울어버리는 것을 주 호소로 하여 놀이치료에 의뢰되었다. 치료적 개입으로 아동에 대한 개별 놀이치료와 회기 후 10분 모(母) 상담이 제공되었고, 모 상담은 촉진적인 양육 기술과 양육 환경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매주 담임 교사가 아동의 어린이집 생활 모습을 관찰하고 매주 관찰척도를 작성하였다. 총 12회기(주 2회, 6주)가 실시되었으며 종료 후 한 달이 지난 시점에 추수 회기가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유아의 놀이치료 과정에 나타난 매 회기 치료 장면을 제시하고 Erikson의 발달 이론에 기초하여 놀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아의 놀이치료 과정을 이해하고자 할 때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모-아 상호작용증진을 위한 치료놀이 효과 : 저소득 가정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Theraplay on the Affection Improvement between Mothers and their Infants : Around Low-income Families)

  • 김경신;이영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23
    • /
    • 2013
  •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 영아의 발달에 위험이 되는 요인을 예방하기 위하여 영아와 어머니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모-아 상호작용의 변화와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사전, 사후 MIM을 분석한 결과, 구조, 도전, 개입, 양육 4가지 차원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모-아의 MIM을 분석한 결과 모든 사례에서 사전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상호작용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양육 효능감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양육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 학습지도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모-아의 집단 치료놀이 프로그램이 모-아의 상호작용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인을 위한 놀이치료 국내 연구 동향: 2009년부터 2019년까지 (Domestic Research Trends in Play Therapy for Adults: from 2009 to 2019)

  • 이민정;최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07-128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간된 성인 놀이치료 관련 학술 연구 경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 방향과 임상 실천, 그리고 상담자 교육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성인을 대상으로 한 놀이치료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실시된 다양한 연구들 가운데 성인을 위한 놀이치료의 발전적 실천 방안과 연구 방법에 대한 제안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성인을 위한 놀이치료를 주제로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 논문 총 73편을 선정하였다. 분석 대상 선별을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www.riss.kr), 한국학술정보(KISS),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NDSL)에서 주제어 검색을 통해 논문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성인을 위한 놀이치료 연구는 단기간에 양적으로 성장하면서 다양한 대상과 단위로 확대되어온 경향을 보였다. 다만 성인놀이치료의 확대 적용과 발전을 위해 보다 체계적이며 다양한 접근의 놀이치료 시도 및 방법론 측면의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성인을 위한 놀이치료가 집단에 국한하지 않고 개인과 커플, 조직 내 원활한 의사소통 촉진을 위한 다양한 실천 개입으로 보다 많은 연구가 시도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