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단 인증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7초

공과대학 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와 공학교육인증, 성별, 학년과의 관련성 -잠재집단분석의 적용- (The Relationship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Gender, and Academic Year with Attitude towards Convergence among Engineering Students: Application of Latent Class Analysis)

  • 이준기;신세인;아리프 라흐마툴라흐;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3-123
    • /
    • 2017
  • 이 연구는 국내 공학전공대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이수, 성별, 학년 변수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가 공학전공대학생들에게 신뢰롭고 타당하게 적용되는지 확인하였다. 둘째,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이수, 성별, 학년에 따른 융합에 대한 태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자중심 접근을 바탕으로 공과대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에 따라 분류되는 잠재집단을 탐색하였으며, 규명된 각 잠재집단과 변수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076명의 공과대학생들이 참여하였다.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은 요인분석, 내적 일관성 신뢰도, 라쉬분석을 활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분석결과 공과대학학생들에게 적용한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가 신뢰성과 타당함을 확인되었다. 또한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이수, 성별, 학년에 따른 융합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융합에 대한 태도는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 성별,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남학생이며 학년이 높을수록 융합에 대한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융합에 대한 태도에 따라 구별되는 잠재집단을 탐색하기 위해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수행한 결과, 다섯 가지의 잠재집단이 규명되었다. 또한 규명된 잠재집단과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선택여부와 성별, 학년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수행한 결과 세 변수는 모두 잠재집단 분포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특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공과대학 융합 교육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블록체인과 Rotten Tomato 방식을 활용한 이메일 집단 인증 API 설계 (Design of E-Mail Group Authentication API using Blockchain and Rotten Tomato Method)

  • 김세민;홍성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227-232
    • /
    • 2020
  • 이메일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확인되지 않은 발신자를 걸러내기 힘들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인증 수단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이메일 집단 인증 API를 설계하였다. 제안한 모델로는 관계 연관성 네트워크를 통하여 노드-노드 가중치 지수를 구하였고, 이메일 신뢰도 모형을 설계한 후 Rotten Tomato 방식의 신뢰도 계산 모델을 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 구조를 설계하고, 체인 코드 메소드를 정의한 후 API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메일 사용자 인증 뿐만 아니라 인증이 필요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향후 많은 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API를 사용하게 하여 집단 인증의 관계성을 증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13년도 어린이집 평가인증 운영체계 개선에 따른 성과평가와 개선안 (Performance Evaluation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2013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 제경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01-521
    • /
    • 2015
  • 본 연구는 2013년 평가인증 운영체계의 주요 변경내용 8개 항목에 대한 성과를 검토하고 보완점을 모색하고자 보육현장 종사자와 부모, 보육관계자를 대상으로 개선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비교를 하였다. 보육교직원 200명, 보육담당공무원, 심의위원, 현장관찰자 등 전문가집단 150명, 학부모 144명이 2014년 2월말에 시행된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자체점검의 상시화와 소요기간 단축, 기본사항 중 필수항목 확대, 현장관찰일 미고지, 관찰자 파견 수 조정, 재참여수수료 부과 및 참여대상 조정, 확인점검과 인증유효기간 연계 등 8개 항목으로 구성된 대상별 질문문항은 모두 동일하였으나 보육교직원 대상으로 3개 문항이 추가되었다. 빈도, 백분율로 일반적 인식수준을 알아보았으며, 집단별 비교를 위해 1차적으로 집단의 크기가 같은 전문가 세 집단 간 분산분석을 하였고, 통계적 유의차가 없는 경우 2차적으로 세 집단을 하나로 묶은 전문가집단, 보육교직원, 부모의 세 집단을 대상으로 분산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2013년 평가인증 운영체계 변경내용 각 항목별 집단차이는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여 주요개정사항들은 적절하고 필요한 조처였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법적준수를 요구하는 기본사항 확인내용 점검과정의 일원화, 유효기간 단축과 불인증, 재참여기회 제한 등 기준점수 미달기관의 관리방안과 현장관찰일 사전고지 및 불시방문에 대한 보육현장의 부담에 대해 좀 더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언하였다.

잠재집단분석방법을 통한 공과대학 학생들의 성별, 학년별, 공학인증제 프로그램 선택에 따른 공학 창의성 유형 탐색 (Exploring the Patterns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Engineering-Related Creativity by Gender, Academic Year, and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through Latent Class Analysis)

  • 이준기;신세인;아리프 라흐마툴라흐;하민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1호
    • /
    • pp.16-35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공과대학생들의 공학 창의성이 성별, 학년, 공학교육인증 참여 여부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을 살펴보면 첫째, Rasch 분석을 사용하여 연구에 사용된 공학 창의성 검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둘째, 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성별, 학년별, 공학교육인증 참여 유부별로 공학 창의성의 수준을 비교하였다. 셋째, 공학 창의성 요소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넷째, 잠재집단분석(poLCA)을 활용하여 공학 창의성에 따라 구분되는 잠재집단들을 규명하고, 규명된 잠재집단과 성별, 학년별, 공학교육인증 참여가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에는 2098명의 공과대학 재학생이 참여하였으며, 4개의 하위 구인으로 이루어진 공학 창의성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라쉬 분석결과 공학 창의성 검사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삼원분산분석 결과 공학창의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학년의 경우 창의적 인지 외의 모든 구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공학교육인증제 프로그램은 공학 창의성의 선택 여부는 유의미한 차이가 타나나지 않았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공학 창의성 요소들은 상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공학 창의성 요소를 근거로 잠재집단을 확인한 결과, 공과대학 학생들에게는 3가지의 공학 창의성 잠재집단이 발견되었으며, 1학년과 여학생일수록 공학 창의성이 가장 낮은 잠재집단에 소속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과대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er Efficacy and Level of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on Interaction of Teachers and Children)

  • 권미성;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77-296
    • /
    • 2013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대 교사보다 30대 이상의 교사에게서 교사효능감, 전문성 수준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평가인증경험에 따라서는 교사효능감과 전문성 수준이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은 평가인증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평가인증경험이 2회 이상인 집단이 높게 나타났고, 교사의 전문성 수준은 평가인증경험이 없는 집단과 1회인 집단보다 평가인증경험이 2회 이상인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 전문성 수준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교사효능감은 전문성 수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교사의 전문성 수준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교사의 연령, 경력, 평가인증경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언어적 상호작용에, 교사의 경력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행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연령과 교사효능감, 전문성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지성 콘텐츠에 적합한 저작권 인증 기법 (The Method of Digital Copyright Authentication for Contents of Collective Intelligence)

  • 윤성현;이근호;임희석;김대룡;김정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185-193
    • /
    • 2015
  • 지혜 콘텐츠는 사람의 경험과 아이디어로 구성된다. 지혜 마켓은 [1] 지혜 콘텐츠를 거래하는 온라인 상거래 모델로 일반인들도 쉽게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지혜 콘텐츠는 그 자체가 사람의 생각이기 때문에 유사하거나 중복된 콘텐츠가 많이 존재하게 된다. 기존의 저작권 보호 기법은 주로 원저자의 권리 보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집단지성 콘텐츠는 여러 사람의 도움으로 만들어진 콘텐츠이기 때문에 개별 저작권을 통합 및 제거할 수 있는 동적인 저작권 보호 기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집단지성 콘텐츠에 적합한 집단 저작권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집단 저작권 등록, 추가 그리고 검증 프로토콜로 구성된다. 유사한 콘텐츠를 통합하거나 또는 개별 콘텐츠에 대한 집단 권리가 필요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한.중 저작권 상호인증과 통상협력과제 (A study on Mutual Authentication of Copyright between Korea-China and Trade Cooperation)

  • 이찬도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1호
    • /
    • pp.3-24
    • /
    • 2014
  • 저작권인증제도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되는 권리인증과 권리자로부터 받은 이용허락인증 두 가지로서 한류콘텐츠에 대한 건전한 유통질서를 확립하고 이를 통하여 저작권리자의 재산적 이익을 보호하며, 수출경쟁력을 제고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한국저작권위원회가 북경사무소를 통해 실시하고 있는 한 중간의 저작권인증시스템은 양국간 협력적 차원에서 운영되고 있지만 향후 이를 국가적 차원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서는 법 제도적 연동과 정책, 기술 및 운영상 등에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이 있다. 본 연구도 이러한 맥락에서 양국간 저작권상호 연동을 위한 유의미한 분석결과를 얻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전문가집단면접(FGI)을 통해 저작권인증운영상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GI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법 제도적 개선방향으로서 저작권법 제56조(권리자 등의 인증) 및 저작권법 시행령 제36조(인증기관이 지정 등), 제37조(인증절차 등)에서 보완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둘째, 통상 실무적인 차원에서는 저작권인증 확산을 위한 협력강화, 상호인증에 대한 효력발생, 기술적 연동성 확보, 국내외홍보, 기술적 표준화 등이 주요한 현안 과제였다. 중국과의 저작권인증서비스가 국가적 차원으로 확대 발전된다면 이를 토대로 향후 주요 한류 수출국인 일본, 동남아 및 미국, 유럽 등의 국가들과의 저작권리 연동체계의 구축에도 좋은 선례가 될 것이다.

  • PDF

공인인증제도 개선방안 시나리오 연구 (A study of the scenario for improvement of NPKI system)

  • 박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4호
    • /
    • pp.59-71
    • /
    • 2010
  • 본 논문은 한국의 전자거래용 공인인증서 NPKI 정책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자상거래 인증 방식과 관련하여 여러 문제점이 부각되어 왔으나 그 중에서도 정부가 관리하는 NPKI 제도 및 시스템과 관련하여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연구하였다. NPKI 운영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전문가 집단 간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시스템 개선에 대한 여러 대안들을 검토하고 향후 적용 가능한 시나리오들을 도출하였고, 그 중에서 공인 인증키 인프라와 관련하여 최적의 정책을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 논하였다.

  • PDF

교육시설의 안전인증 평가절차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Procedure for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 한승훈;최승주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1호
    • /
    • pp.99-114
    • /
    • 2023
  • 본 연구는 2021년부터 시행된 교육시설 안전인증제도의 적정성 및 적용성을 검토하고 개선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기존 인증제도 분석 및 해외 교육시설 안전 및 환경평가제도 사례 탐구, 인증 수행 전문가 대상 FGI를 통한 보완 및 개선점 도출, FGI 분석결과를 적용한 새로운 인증절차 모델 제시, 전문가 자문 기반 인증수행 모델 검토 및 객관성 부여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제시한 모델은 기존 제도에서 수행되었던 인증절차를 예비, 심사, 사후관리의 3단계로 세분화하여 운영되도록 구성했다. 인증절차의 각 단계에는 이론검토 및 FGI 과정에서 도출된 개선점을 보완한 피드백 시스템을 적용하여 평가 과정 및 평가자 구성상 발생할 수 있는 실제적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절차를 구성했다. 연구결과에 따라 제시된 인증수행 모델은 인증제도 운영위원 자격을 갖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자문을 수행했으며, 심사자 및 중재자 선정기준 등 인증수행 모델의 세부기준에 대한 명시를 권고했으며, 전반적인 평가체계의 구조에 치명적인 결함이 없다는 자문결과를 도출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증수행 모델 개선안의 객관적 검토를 함께 수행했다.

로봇 친화형 건축물 인증 지표 개발 : 초점집단면접(FGI)과 분석적 계층화 과정(AHP)의 활용 (Developing an Evaluation System for Certifying the Robot-Friendliness of Building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이관용;구한민;이윤서;정민승;윤동근;김갑성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2권2호
    • /
    • pp.17-34
    • /
    • 2022
  • 4차 산업혁명의 진전으로 로봇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건축물의 설비와 시스템에도 로봇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저자들은 로봇 친화형 건축물 인증 지표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다. 해당 지표는 세계 최초로 개발되는 것이므로 업무용 건축물로 대상을 한정하고, 초점집단면접(FGI), 분석적 계층화 과정(AHP) 등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탐색적으로 연구를 수행한다. 먼저 초점집단면접을 통하여 로봇 친화형 건축물을 개념적으로 정의하고, 건축 요건을 운영 설비 및 체계의 적절성, 건축·로봇 운영 시스템 및 네트워크의 적절성으로 분류하였다. 그다음, 분석적 계층화 과정을 통하여 전체 23개의 평가 항목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배점은 평균 4.4 그리고 최소 2.0, 최대 11.3의 범위로 계산되었다. 본 연구는 과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세계 최초의 로봇 친화형 건축물 인증 지표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