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집단지성 플랫폼

Search Result 3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Collaborative Digital Storytelling Platform with Collective Intelligence (집단지성을 적용한 협업적 디지털 스토리텔링 플랫폼)

  • Cha, Sang-Jin;Park, Seung-Bo;Yoo, Eun-Soon;Jo, Ge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443-446
    • /
    • 2010
  •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기존의 콘텐츠를 소비하는 역할을 했던 대중들이 손쉽게 콘텐츠를 제작하고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최근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큰 화제가 되어 많은 곳에서 공모전 등을 통해 웹 환경에서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만들어진 스토리텔링 콘텐츠로 웹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단순한 저작 도구의 환경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변화일 뿐 집단지성을 표방한 웹 2.0 환경에는 동 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환경에서 집단지성을 적용하여 협업적으로 제작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콘텐츠에서 나타나는 절차 및 필요한 요소를 분석하고 이에 맞는 플랫폼을 제안한다.

  • PDF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Image Sheard Market Platform (ISMP: 집단지성 기반 이미지 공유 마켓 플랫폼)

  • Shim, Kyusung;Jung, Yongeun;An, Beongku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0 no.1
    • /
    • pp.45-53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image shared market platform to provide a high quality of image saring services compared to that of the conventional image shared market platforms.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posed platform provides the image sharing services with much more lower price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latforms since the price can be decided based on the buyers themself. Second, since the proposed platform provides very efficient web accessibility, the various buyer can access and evaluate the image efficiently. The results of performance evaluation show that the proposed image shared market platform can support the efficient image shared services efficiently.

Forecasting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in Korea :by Republic of Korea Army collective intelligence platform operating result (미래 한반도의 비전통적 안보위협 예측 :육군의 집단지성 플랫폼 운영 결과를 중심으로)

  • Cho, Sang Keun;Jung, Min-Sub;Moon, Sang Jun;Park, Sang-Hyu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1
    • /
    • pp.216-222
    • /
    • 2021
  • COVID-19 pandemic brings attentions to the nonmilitary and transnational non-traditonal security threats, as the scales of such damage by these threats are beyond expectation. The Republic of Korea Army tries to forecast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 which may be occurred in Korean peninsula by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platform. In coming years, climate change, social changes and technology development caus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diversify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 Considering urbanization, internet distribution rate, and geopolitical location where atmosphere from continent and ocean meet, Korea would may face the most lethal ones compared to those of other countries may face. Therefore, to predict such threats in pangovernment scale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platforms which embrace civil, public, military, industry, academy and research center is the most important than anyth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Tutoring Agent Platform Based on Collective Intelligence (집단지성기반 지능형 튜터링 에이전트 플랫폼 설계 및 구현)

  • Hong, Seong-Yong;Yi, Mun-Yong;Yoon, Wa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122-124
    • /
    • 2012
  • 최근 지식정보화 시대의 집단지성기반 교육 패러다임 변화는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융합적 학문을 근원으로 창의성 계발과 아이디어를 중요시하고 있으며, 창조적 교육방식을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영역에 지식전문가들과 학습자들 간에 지식을 공유하기 위한 플랫폼 공간이 제대로 제공되고 있지 못하며, 단순한 컨텐츠 제공을 목적으로 이러닝 서비스가 일부 제공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집단지성을 기반으로 지능형 튜터링 에이전트 시스템 설계를 제안하고, 새로운 에이전트(Agent) 개념을 통해 지식인들과 학습자들 간에 지식을 공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관리 및 유통할 수 있는 구조를 연구하였다. 또한 사용자들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와 정보들을 자동 분석하여 지능적으로 학습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튜터(Tutor)와 튜티(Tutee)간에 협력적인 학습 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미래 스마트 학습 플랫폼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A Study on Online Education applied Collective Intelligence (집단지성을 활용한 온라인교육 연구)

  • Shin, Ji-woong;Park, Jaechon;Lee, Ji-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908-910
    • /
    • 2007
  • As web environment receives web2.0, producer-oriented services are changing user-oriented. This trend is considered the collective intelligence made by users' knowledge. But in contrast with a change of web, structure of current education is composed of educators as producers.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reflect needs of educatees who are real users in education system. So we study online education for advance of its environment which is applied to collective intelligence.

  • PDF

Collaborative Digital Storytelling Platform with Collective Intelligence (집단지성을 적용한 협업적 디지털 스토리텔링 플랫폼)

  • Cha, Sang-Jin;Park, Seung-Bo;Yoo, Eun-Soon;Jo, Geun-Si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10
    • /
    • pp.19-26
    • /
    • 2010
  • Due to the development of new digital technologies in recent years, consumers play different roles with compared to the past. Though they used to consume various existing contents, nowadays they have opportunities to use in user-friendly environment which can make them create and share their own contents. Under this circumstance, the digital storytelling has become a big issue in large area, and the web-based contents have been produced with diverse contests. In fact, the digital storytelling means a kind of storytelling method which is made by digital technologies and has been created under various circumstances. However, many researches concern that the digital storytelling is just applied for moving from analog to digital in terms of a tool, but in the reality it is far from the web 2.0 with collective intelligenc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b-based collaborative digital storytelling platform that analysis user's action processes and components applying collective intelligence.

'Collective intelligence Structure' Analysis (지식 생산 방식에 따른 집단지성 구조 분석 -네이버 지식IN과 위키피디아를 중심으로-)

  • Han, Chang-Ji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363-1373
    • /
    • 2009
  • 본 연구는 두 집단지성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인 네이버 지식iN과 위키피디아의 구조적, 경험적 차이를 바탕으로 생산의 차원에서 생산 주기, 생산 참여자, 생산물의 모델을 설정하고, 새롭게 탄생하는 지식을 중심으로 검증함으로써 최종 지식 소비 행위를 반영한 각각의 종합모델을 도출하였다. 우리는 웹에서 집단지성의 일상화를 확인할 수 있다. 지식 획득 매체가 매스미디어에서 인터넷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포털 및 검색사이트는 지식의 생산이 전문가패러다임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재편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생산 방식의 변화는 '지식'의 개념 역시 변화시키고 있다. 즉, 집단지성이라는 새로운 웹2.0의 현상이 지식생산방식을 변화시키고 변화된 지식생산방식은 '지식'자체를 변화시킨다는 이론적 가설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현상들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다 엄밀하게 집단지성의 개념을 규정할 필요성에 출발하였다. 현재 집단지성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면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위키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와 지식검색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를 비교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집단지성의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위키형 집단지성과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의 차이점은 경험적으로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험적 차이와 기존의 문헌에서 밝혀진 사실들을 바탕으로 두 서비스의 지식생산 방식을 생산플로우, 생산참여자 성향, 생산물(지식)의 성향과 같이 세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가설 모델을 설정하고 이 모델을 선정된 질의어를 바탕으로 검증한 뒤에 최종적인 모델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은 '질문-답변-채택'의 구조이고, 그 구조 속에서 '질문기-답변기-순서화기'를 거쳐 하나의 지식 덩어리인 'K-let'을 생산한다. 생산된 'K-let'들은 지식검색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고, 이는 공통된 질의어를 기준으로 소비자들에 의해서 검색되어 소비된다. 하나의 질문에 대해 여러 개의 답변들이 존재하고, 답변자의 성향은 크게 전문성과 체계성을 바탕으로 한 전문가형 답변자와 경험적이고 의견지향적인 대화형 답변자로 나눠진다. 다수의 네티즌들의 참여에 의해서 지식의 생산이 진행되므로 질문의 성향 역시 사실, 의견, 경험 등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모델로 설정하였다. 반면에 위키형 집단지성은 개방형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 백과사전의 형식이며, 이러한 형식 속에서 최초의 개념어 등록과 다수의 편집활동을 거치면서 완성되지 않는 하나의 아티클인 'W-let'을 생산한다. 이러한 'W-let'은 생성 초기에 소수에 의한 활발한 내용 입력 활동으로 어느 정도의 안정화를 거친 후에는 꾸준한 다수의 수정활동을 통해서 'W-let'의 생명력을 유지함으로써 지식의 실제적인 변화를 반영한다. 생산된 'W-let'들은 위키형 집단지성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고, 이것들은 내부링크를 통해서 모두 연결되어 있다. 백과사전 형식으로 하나의 개념어를 설명하는 하나의 아티클은 오로지 사실적인 지식들로만 구성되나 내부링크와 외부링크를 통해서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모델로 설정하였다. 위와 같이 설정된 모델을 바탕으로 공통된 질의어 및 개념어를 선정하여 각각의 서비스에 노출시켰다. 이를 통해서 얻어진 각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모든 데이터들 중에서 일정한 기간을 기준으로 각각의 모델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에서는 '질문-답변-채택'의 생산 구조 속에 다수가 참여하여 질문-채택답변-기타답변으로 배열되어 있는 완성된 형태의 K-let들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며 비슷한 성향을 가진 K-let들이 반복적으로 생산되어 지식검색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다. 지식 소비자들은 질의어 검색을 통해서 다양한 K-let들을 선택하여 비교, 검토한 후에 선택된 K-let들의 배열은 해체되어 소비자들에 의해서 재배열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의해서 생산되고 누적된 지식들이 소비자의 검색과 선택에 의해 해체되어 재배열되는 지식의 맞춤화 과정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었다. 반면에 위키형 집단지성에서는 '내용입력-미세수정' 구조 속에서 생명력 있는 W-let을 생성한다. W-let은 백과사전처럼 정리되어 내부링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외부링크를 통해 확장되고, 지식소비자들은 검색을 통해 최초의 W-let에 도달한 후에 링크를 선택함으로써 지식을 확장시킴을 검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위키형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의해서 생산되고 정리된 지식들이 소비자의 검색과 링크에 의해 무한히 확장되는 지식의 확대 재생산되는 과정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결국, 현재의 집단지성이란 지식이 다수의 참여로 생산됨으로써 개인에게 맞춤화되고,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집단지성의 방식은 지식이라는 현재의 차원을 넘어서 정치, 경제를 비롯한 사회의 전 영역으로 점차적으로 확대되어갈 것이다. 앞으로 연구들은 두 가지 모델이 혼재되어 있는 현재의 집단지성이 어떠한 새로운 모델을 만들면서 다른 영역으로 확장되어갈 것인지에 대해서 초점을 맞춰 나가야할 것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mantic Search for POI Utilizing Collective Intelligence (집단지성을 활용한 POI 시맨틱 검색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Jaeeun;Son, Hwamin;Yang, Jonghyeon;Yu, Ki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4 no.3
    • /
    • pp.339-346
    • /
    • 2016
  • Semantic search recently been used in the search field. POI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information that make up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d many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as POI search function as a basic. In this study, we propose POI semantic search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For this, we designed and implemented service that constructs empirical information from tag and image, and provides an intuitive spatial navigation experience. For POI search, collective intelligence platform that many users can participate to collect variety information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A Study for Finding Applicable Areas for Collective Intelligence by Comparing Wikipedia and Normal Searches (위키피디아와 일반 검색 비교를 통한 집단 지성의 적용 영역 탐색)

  • Han, Jungsoo;Yoo, GilSang;Kim, Hye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1160-1161
    • /
    • 2013
  • 현대에 이르러 개인의 힘으로는 해결하기 난해한 문제들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의 유통 구조도 기존의 수직적이고 단방향적인 구조에서 수평적이고 양방향적인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맞추어 웹 2.0 플랫폼이 대두되었고 위키피디아, 지식 검색 등 집단의 힘을 빌려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집단의 힘에 기대어 정보를 생산하는 것이 언제나 옳고 효율적이라고 말할 수 없다. 누구든 참여할 수 있다는 특징으로 인해 악용되는 부작용도 있을뿐더러 전문적인 의견이 필요한 영역의 경우에는 일반 지식의 힘이 도움이 못 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중들에게 쉽게 사용되고 있는 검색 사이트와 집단 지성의 대표 사례 중 하나인 위키 피디아를 통해 집단 지성의 힘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문제의 영역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