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집단중재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24초

아동의 놀이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for Improving Play of Children : A Systematic Review)

  • 이선희;박혜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3-106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아동의 놀이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임상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ubmed, ProQuest, EBSCOhost, Scopus, RISS, KISS, 국립중앙도서관을 통하여 2007년 1월부터 2017년 4월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용어는 "Play AND Occupational Therapy AND(Intervention OR Treatment)"를 사용하였다. 2차 분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총 11편의 논문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결과 : 분석 대상 연구의 근거 수준은 단일 집단 비무작위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중재 방법은 중재 목표로서의 놀이 중 놀이 중심 중재를 가장 많이 적용하였다. 중재가 적용된 환경은 가정과 치료 세팅에서 동시에 적용된 것을 가장 많이 시행하였다.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평가도구는 Test of Playfulness(ToP)를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놀이와 동시에 측정된 종속변인으로는 언어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 의사소통 및 화용 기술, 문제-해결 기술, 양육자 반응성, 부모-아동 상호작용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아동의 놀이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해 종합적으로 알아봄으로써 작업치료에서의 놀이 사용의 현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추후에 놀이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인식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Program on the Stress Recognition and the Stress Coping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광수;김미선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2호
    • /
    • pp.141-158
    • /
    • 200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지능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인식과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경기도 S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스트레스 인식 수준은 높고, 정서지능과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낮은 아동대상 중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아동 24명을 각각 12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매주 2회씩 총 10회에 걸쳐 방과 후 시간에 50분씩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무처치 하였다. 실험처치후 집단간 정서지능 검사와 스트레스 인식 검사, 스트레스 대처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실험집단 아동의 프로그램 평가 및 소감문, 교사의 관찰내용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정서지능은 통제집단에 비해 의미있게 향상되었으며 정서지능의 하위변인인 정서인식 및 표현과 사고촉진, 정서조절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인식 수준은 통제집단에 비해 의미있게 감소되었으며 스트레스 인식 수준의 하위영역 중 부모, 가정환경, 친구, 학업의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마지막으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는 참여아동의 소감문, 프로그램 평가결과, 교사의 관찰기록 내용 분석에 의해 지지되고 보충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정서지능이 스트레스 경험과 적응과의 관계를 중재하는 변수임을 시사해주며, 정서지능 향상을 통한 아동의 스트레스 인식과 대처에 변화를 가져오는 구체적 한 방안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Group Reminiscence Program for Elderly with Dementia)

  • 홍기훈;주아영;구성민;김윤완;정혜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7-64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김해시에 소재한 K복지관의 주간 보호시설을 이용하는 29명의 치매노인을 실험집단(14명)과 통제집단(15명)으로 나누어 매주 2회 40분씩 총 12회로 회상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평가도구로는 한국형 노인 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in Korea; GDS-K)를 사용하여 중재 전 후의 우울 수준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실험집단의 GDS-K 점수는 집단회상프로그램 전 $20.7{\pm}1.4$점, 후 $13.5{\pm}1.7$점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z=-3.30, p<.05), 통제집단의 GDS-K 점수는 집단회상프로그램 전 $20.9{\pm}2.3$점, 후 $21.0{\pm}2.6$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사전 사후검사를 분석한 결과 집단회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우울의 감소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회상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손쉬운 접근과 적용이 가능한 집단회상프로그램을 치매노인의 우울 감소 치료의 한 방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판 아동용 거부민감성질문지의 심리측정적 속성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 (K-CRSQ))

  • 홍상황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3호
    • /
    • pp.351-369
    • /
    • 2012
  • 본 연구는 거부에 대한 반응의 개인차를 측정하기 위한 한국판 아동용 거부민감성질문지(K-CRSQ)의 심리측정적 속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CRSQ와 10개의 타당도 지표를 초등학생 286명에게 실시하여 기본적인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내적 합치도는 .85~.92,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75~.82의 범위이었다. 그리고 거부민감성질문지와 10개 타당도지표 점수와 상관을 구한 결과 첫째, 거부민감성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지거나 가정되고 있는 정서적 학대와 또래괴롭힘과는 의미있는 정적 상관 둘째, 거부민감성과 다른 심리적 문제와의 관계에서 중재 또는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진 자존감, 자기유능감,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 상관 셋째, 우울, 불안, 분노, 공격성과 같은 부정적인 심리적 문제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부민감성 점수를 고저집단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거부민감성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의도귀인, 우울, 불안, 공격성 점수가 높고, 거부민감성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보다 자존감, 자기유능감, 사회적 지지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하고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PDF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 피아노 연주 활동 사례 연구 (Effects of Group Piano Playing on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s Self-Efficacy; A Case Study)

  • 우현정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7권2호
    • /
    • pp.1-22
    • /
    • 2010
  • 본 연구는 심리 정서적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집단 피아노 연주 활동 프로그램이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N 다문화 지원 기관에서 국제결혼 이주여성 5명을 대상으로 10주간 주 1회 10회기의 집단 피아노 연주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에는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이 함께 사용된 혼합적 연구 방법 설계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대상자들의 자기효능감 척도 검사 평균 점수는 비모수 검증 결과 유의도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나타냈으며, 질적 내용 분석에서도 세션 초기보다 세션 후기에 대상자들의 자기효능감이 언어적 행동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 결과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에 집단 피아노 연주 활동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중재도구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 PDF

영향위험 농촌 노인집단에 적용한 영양중재 프로그램의 추후관리 효과(II) (The Effect of Follow-up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s Applied Aged Group of High Risk Undernutrition in Rural Area(II))

  • 박미연;천병렬;정구범;오현미;이정현;박필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3-204
    • /
    • 2007
  • This research has done for 67 undernutrition people of the aged men and women that are practiced follow-up nutrition intervention programs for 9weeks. The result of health related status, eating habit, food attitude and food intake for 2days is as following. 37.3% of objected old people are drinking, 20.9% of those are smoking and 29.9% of those are exercising. 55.2% of objected old people of the second intervention program about self-rated health say good. Sleeping hours of 25.4% of objected old people is from 6 to 8 hours. Meal amount and appetite above 98% of objected old people, compared to those of before sixty age, are decreasing and similar. 67.8% or 70.1% of the objected old people, compared to those of before sixty age, say same in sweet and salt taste.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food group in after intervention than before intervention is vegetables and animal foods.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anagement group and comparison group by ANCOVA analysis. DDS and DVS in management group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intervention and after intervention.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 적용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APAEL Smart Glove's on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 김요한;박시영;정재훈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85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가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라파엘 스마트글러브를 적용한 실험군 15명과 전통적인 인지재활을 적용한 대조군 15명으로 진행하였다. 두 집단의 중재 전 후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LOTCA, NCSE, MBI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적용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각 집단 내에서 중재 전 후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은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p>.05), 통계학적으로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기존 재활치료와 같이 라파엘 스마트 글러브를 적용할 경우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한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a Dual-task Virtual Reality Program for Senior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황정하;박미숙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92-500
    • /
    • 2018
  • 본 연구는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하여 인지기능, 균형과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중재한 실험군 집단과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중재한 대조군 집단은 1회 30분, 1주일 5회, 총 6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이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 중 기억력 항목과 균형 항목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이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에 비해 ${\beta}$파와 SMR파의 세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이중과제 병합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효과적인 치료방법이었고, 다양한 질환을 겪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의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3D프린터로 제작된 PLA재질의 도구와 기성품인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도구 사이의 연부조직 가동술에 의한 근활성도 차이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by IASTM between a tool made of PLA made with a 3D printer and a ready-made tool made of stainless steel)

  • 김충유;강종호;태원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18-223
    • /
    • 2020
  • 본 연구는 3D프린터로 제작된 PLA재질의 도구와 기성품인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 도구 사이의 연부조직 가동술에 의한 근활성도 차이를 관찰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성인 10명이 참석하였고, 모든 대상자는 각각 PLA재질의 도구를 사용하여 연부조직 가동술을 받은 PLA 집단과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도구를 사용한 Stainless 집단에 모두 참여하여 도구를 이용한 연부조직 가동술(IASTM)을 받았다. 모든 대상자는 중재 후 근활성도의 측정을 통해 %MVIC가 측정되었고, 이를 Mann-Whitney U검정을 통해 집단간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재 후 위팔 두갈래근의 %MVIC 값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IASTM의 적용에서 도구의 재질에 따라 근활성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이는 3D프린터로 제작된 PLA재질의 IASTM 도구가 스테인리스로 제작된 기성품과 신경근 조절 능력에서 유사한 결과를 도출해 냄으로 보인다. 이에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도구의 실효성에 대해 검증할 것이다.

말소리장애 아동이 산출한 이중모음의 음향학적 특성 (Acoustic features of diphthongs produced by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 조윤수;표화영;한진순;이은주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65-7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말소리장애 아동이 산출하는 이중모음의 특성을 파악하여 평가 및 중재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말소리장애 아동의 이중모음 산출 특성에 관한 음향학적 연구는 미비하였다. 이에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 간 이중모음 산출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10명의 만 4-5세 말소리장애와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무의미 2음절 '이중모음+다'를 모방하도록 하였다. 산출된 이중모음의 활음 구간 내 제1, 2 포먼트 기울기, 포먼트 변화량, 활음 지속시간을 Praat(version 6.1.16)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집단 간 /유/의 F1 기울기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말소리장애 아동이 일반 아동에 비해 전반적으로 작은 포먼트 변화량과 더 짧은 활음 지속시간을 보였다. 유의한 포먼트 변화량의 집단 간 차이는 /유, 예/의 F1과 /야, 예/의 F2에서 나타났으며, 유의한 활음 지속시간의 차이는 /유, 예/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말소리장애 아동이 이중모음을 조음하는 범위가 일반 아동보다 상대적으로 작아 그만큼 조음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줄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은 말소리장애 아동의 이중모음에 관한 평가와 중재를 할 때 말소리장애 아동의 조음 범위를 고려해야 하며, 이에 음향학적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함을 뒷받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