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질소 흡수

Search Result 70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 배양세포의 생육 및 질소 흡수에 미치는 Ammonium Citrate와 Ammonium Succinate의 영향 (The Effects of Ammonium Citrate and Ammonium Succinate on the Growth of Cells and Nitrogen Absorption in Korean Ginseng Suspension Cultures)

  • 김홍성;김명원;소상섭;강영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4권1호
    • /
    • pp.13-19
    • /
    • 1981
  • Ammonium citrate와 ammonium succinate가 고려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배양세포의 생육 및 질소성분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Murashige and Skoog 배지에서 ammonium nitrate 대신에 농도를 달리하여 ammonium citrate와 ammonium succinate를 첨가한 MS배지에 인삼 callus를 액체 진탕배양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Ammonium citrate 10mM과 ammonium succinate 10mM을 첨가한 배양기에서 생육량, NO$_3$-N 흡수량 및 전질소량이 control보다 많았고, NH$_4$-N 흡수량은 control과 같았다. 또한 각각 5mM씩 첨가한 경우에는 거의 모두 control과 별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ammonium citrate 10mM과 ammonium succinate 10mM첨가한 배양기에서는 NO$_3$-N 등의 흡수를 촉진하여 배양세포의 대사를 촉진시켜 생육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하여 ammonium citrate 또는 ammonium succinate의 농도를 조절 공급하면 인삼 배양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중량식 라이시미터에서 콩 재배시 물관리 방법에 의한 양분의 용탈과 작물 흡수 (Nutrient Leaching and Crop Uptake in Weighing Lysimeter Planted with Soybean as Affected by Water Management)

  • 이예진;한경화;이슬비;성좌경;송요성;이덕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47-153
    • /
    • 2017
  • 본 연구는 기상 조건 및 관개 여부가 양분용탈 및 콩의 양분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중량식 라이시미터에서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콩을 재배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콩 재배기간인 6월부터 10월까지의 증발산량은 무관개구의 경우 강우에 따라 변동되었으며, 2016년 7월 중순부터 8월 말까지 지온상승 및 강우 빈도의 감소로 증발산량이 감소하다가 9월 중순 강우에 의해 유효수분 함량을 회복하여 생육 후기에 증발산량이 증가하였다. 질산태질소의 지하 용탈량은 2016년 7월 초 5일간 강우가 지속되었을 때 가장 많았으며, 그동안 지하배수가 거의 없었던 무관개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개화기 및 착협기인 7월 중순부터 8월까지 한발로 인하여 무관개구의 토양 수분함량은 7월 초의 50%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콩 수량은 적습관개구의 25% 수준이었다. 적습관개구와 무관개구의 양분 흡수량을 비교한 결과 질소 흡수량이 적습관개구에서 20~50% 더 높았으며, 인산, 칼리 흡수량 차이는 미미하였다. 토양 수분함량은 콩의 질소 흡수에 영향을 미치며, 적정 수량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관개를 통한 적정 수분 공급이 필수적이었다.

대두(大豆)의 Sr-90 흡수(吸收)에 대한 시비(施肥)의 영향(影響) (Effect of Fertilization on Sr-90 Uptake of Soybean Plants)

  • 김재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1-36
    • /
    • 1993
  • Sr-90으로 처리(處理)된 토양(土壤)에서 질소(窒素), 인산(燐酸), 석회질(石灰質) 비료(肥料)의 시비조건(施肥條件)에 따른 대두(大豆)의 생육(生育)과 Sr-90 흡수양상(吸收樣相)을 조사하였다. 1.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으로 나타낸 대두수량(大豆收量)은 $NO_3-N$보다 $NH_4-N$에서 다소 높았고,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감소(減少)되었으며, 인산(燐酸)과 석회(石灰) 시비(施肥)는 수량증가(收量增加) 효과가 있었다. 2. 생육시기(生育時期)에 따른 대두(大豆)의 Sr-90 흡수(吸收)는 질소시비(窒素施肥)에 의해 억제(抑制)되었는데 그 효과는 $NO_3-N$보다 $NH_4-N$에서 더 높았다. 3. 대두(大豆)의 Sr-90 흡수(吸收)에 대한 $NO_3-N$$NH_4-N$ 증시효과는 인산(燐酸) 혼용시(混用時)에 더욱 억제효과가 있었다. 4. 인산(燐酸)과 석회시비(石灰施肥)는 대두(大豆)의 Sr-90 흡수억제(吸收抑制)에 상당한 효과가 있었고 시험구(試驗區) 중 인산(燐酸)+석회(石灰)+$NH_4-N$구(區)에서 가장 낮은 흡수(吸收)를 보였다.

  • PDF

남한 삼림의 질소와 염기성 양이온의 흡수량 추정 (Estimation of the Nitrogen and Base Cation Uptake of South Korean Forest)

  • 심재면;박순웅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1호
    • /
    • pp.51-59
    • /
    • 2001
  • 1995년부터 1999년까지의 임업통계 자료를 사용하여 남한 삼림에서의 연순생산량과 질소(N) 및 염기성 양이온 (BC=K, Mg, Ca)의 흡수량을 추정하였다. 줄기와 가지의 연순생산량은 약 1.8 ton DM h $a^{-1}$ y $r^{-1}$이었으며 침엽수림에 비해 활엽수림의 연순생산량이 높게 나타났다. 삼림 전체 면적인 6.246$\times$106 ha에서 전 연순생산량은 약 1.13$\times$$10^{7}$ ton DW/yr 이었다. 1999년의 용재생산량으로 추정한 남한 삼림에서 줄기와 가지의 수확량은 약 6.1$\times$$10^{5}$ ton DW/yr 이었으며 단위 면적당 수확량은 98 kg DM h $a^{-1}$ y $r^{-1}$이었다. 한편, 생장에 의한 N과BC의 흡수량은 각각 350 mol h $a^{-1}$y sup -1/와 296 mol h $a^{-1}$ y $r^{-1}$이었고, 수확량에 포함된 N과 BC의 양은 각각 20mol h $a^{-1}$ y $r^{-1}$와 16 mol h $a^{-1}$ y $r^{-1}$로 BC에 비해 N의 흡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남한의 전 삼림에서 생장과 수확에 의한 N과 BC의 총 흡수량은 각각 2.309$\times$$10^{9}$ mol/yr와 1.953$\times$$10^{9 mol}$yr 이었다.

  • PDF

경운과 무경운 조건에서 벼 건답휴립직파재배의 질소분시비율 (Nitrogen Split Application of Direct-seeded Rice in Tillage and No-tillage Systems)

  • 이석순;홍승범;백준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05-412
    • /
    • 1992
  • 경운과 무경운 조건에서 수도를 건답휴립직파할 때 질소분시비율이 수도의 생육과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직파재배용으로 육성중인 밀양 9005의 건조종자를 6kg / 10a 수준으로 1990년 5월 17일 산파하고, 맥류휴립산파기로 복토하였다. 질소-인산-가리를 15-10-10kg /10a 수준으로 시용하였는데 인산과 가리는 모두 기비로 시용하였다. 질소는 기비 : 담수직후 : 담수 2주후 : 출수 25일전 : 출수기에 요소를 10 : 20 : 30 : 20 : 20%, 20 : 30 : 20 : 20 : 10%, 30 : 40 : 0 : 20 : 10%로 분시하였고, 완효성시비료는 질소가 40%이고, 비효특속기간이 120일인 latex 피복한 요소를 전량기비로 시용하였다. 경운에서는 무경운에 비하여 출수기가 1일 지정되었고, 출수기의 엽면적지수가 컸으며, 도복지수가 적었을 뿐 입묘수, 수량, 수량구성요소, 도복관련형질 및 간기부의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질소분시비율간에는 완효성비료 전량기비구에서 간장, 유효경비율, 간기중, 천립중, 수확지수가 더 컸으며, 무경운의 완효성비료 전량시비구에서 수량이 더 높았다. 완효성비료 시용구에서는 생육 초기에는 질소함유율과 흡수량이 가장 낮았지만, 출수기 이후에는 질소함유율과 흡수량은 다른 질소분시구보다 높았다. 분얼수는 완효성비료 시용구에서 가장 낮았고, 생육초기에는 질소의 기비비율이 높을수록 많았으며, 생육중기에는 20 : 30 : 20 : 20 : 10%의 분얼수가 가장 높았지만 유효경비율이 달라 수수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생식생장기 냉수온이 벼의 Source와 Sink관련형질 및 양분흡수에 미치는 연구 II. 냉수관계가 벼의 엽신, 지경, 영각의 무기성분 조성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owth Characters and Nutrient Uptake Related to Source and Sink by Cool Water Temperature at Reproductive Growth Stage II. Influence of Cool Water Irrigation on the Inorganic Element Content of Leaf Blades, Rachis Branches and Chaff of Rice)

  • 최수일;황창주;이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
    • /
    • 1986
  • 냉수관계일수가 엽신, 지경, 영곡의 무기성분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분석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엽신, 지경, 영각의 무기성분조성은 냉수관계일수가 길어질수록 전질소함량은 증가하나 인산, 가리, 규산함량조은 낮았으며 숙기별로는 전질소와 인산은 출수기 가리는 엽신과 지경에서는 출수기, 영각은 성숙기, 규산은 성숙기에 많았고 지경의 무기성분함량은 엽신보다는 영각과 유사한 양식을 나타냈다. 2. 냉수에 의해 도체가 저질소흡수과정장해를 받으면 인산, 가리, 규산도 흡수장해를 받으며 그 경향은 지경보다는 엽신과 영각의 영양장해가 현저하였으며 도체에 전질소함량이 높고 규산함량이 낮으면 지경과 영화의 퇴화 및 불임이 증가되고 지경의 영양장해가 엽신과 영각보다 퇴화 및 불임에 밀접하게 관여하였다.

  • PDF

고에너지 질소 이온 주입된 CdS 박막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igh Energy Nitrogen ion Implanted CdS Thin Films)

  • 이재형;홍석주;양계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712-718
    • /
    • 2003
  • 진공 증착한 CdS 박막의 질소 이온 주입 효과를 X-선 회절 검사, 광 투과율, 라만 산란 특성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질소 이온 주입하지 않은 CdS 박막은 (0 0 2)면으로의 우선 방위를 가지고 성장하였다. 질소 이온 주입한 시편의 경우 metallic Cd가 형성됨을 XRD 분석 결과 알 수 있었다.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율은 질소 이온 주입 양이 많아짐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또한 질소 이온 주입 양에 따라 CdS 박막의 흡수 계수는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였고, 밴드 갭은 감소하였다 CdS 박막의 라만 peak 위치는 질소 이온 주입 양에 관계없이 299 cm-1로 거의 일정하지만, peak의 FWHM은 이온 주입 양이 증가함에 따라 커졌고, peak 면적은 감소하였다.

유수분화기 식생지수와 SPAD값에 의한 벼 질소 수비 시용량 결정 (Determining Nitrogen Topdressing Rate at Panicle Initiation Stage of Rice based on Vegetation Index and SPAD Reading)

  • 김민호;부금동;이변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386-395
    • /
    • 2006
  • 목표 수량과 단백질함량을 얻기 위한 질소 수비처방을 위해서는 유수형성기 전후 생체정보의 정확한 진단뿐만 아니라 유수형성기 이후 작물의 질소 축적 및 이에 따른 수량 및 미립 단백질 함량 반응이 정량화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수분화기 생육 및 질소영양상태를 잘 대표하는 RVI green과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SPAD값의 유수분화기와 유수분화기 1주일전의 측정치 및 유수분화기부터 수확기까지 즉 생식생장기 지상부 질소 축적량(PNup)을 변수로 하는 수량 및 단백질함량 예측 중회귀 모델과 PNup 예측 회귀모델을 작성하여 이들의 수비 처방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유수분화기 및 유수분화기 1주일전의 RVIgreen과 SPAD값, 그리고 PNup을 이용하여 얻은 수량과 단백질함량의 중회귀모형은 어느 경우에나 모델의 결정계수($R_{2}$)가 0.9 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2. 수량을 최대로 하는 생식생장기 질소흡수량(PNup)은 유수형성기 전후 RVIgreen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본 연구의 유수형성기 전후 RVIgreen 범위로 보면 $9{\sim}13.5kg/10a$ 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PNup은 유수형 성기 전후 SPAD값과는 무관하게 $10{\sim}11kg/10a$ 범위로 나타났다. 3. 미립의 단백질함량을 7% 이하로 하는 유수형성기 질소흡수량은 유수형성기 전후 RVIgreen과 SPAD값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어느 경우에나 $6{\sim}8kg/10a$로 추정되어 최대수량을 위한 생식생장기 질소흡수량 $9{\sim}13.5kg/10a$ 보다 크게 낮았다. 따라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수비 처방을 위해서는 수량보다도 단백질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처방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 본 실험결과 수비질소의 회수율은 $53{\sim}83%$의 변이를 보였는데, 생식생장기 생육량이 많을 수록 회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수비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생식생장기 천연질소공급량은 $3{\sim}4kg/10a$ 범위였으며 유수분화기 생육량이 많을 경우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수비 질소시비량 및 유수분화기 생육 및 질소 영양 지표들을 예측변수로하는 PNup 예측모델을 작성하였으며 이 모델들은 적합도가 매우 높았다. 5. 영양생장기 생육 및 질소영양 상태의 비파괴적 측정치를 이용하여 목표 수량과 단백질함량에 달할 수 있도록 수비질소 시용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제시한 모델들이 광범위한 조건에서 이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품종, 토양, 기상 조건에서 모델의 검증과 보완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