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소와 인 배설량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1초

Phytase 첨가가 임신돈과 포유돈의 분뇨 배설량 및 질소와 인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Phytase on Nitrogen and Phosphorus Excretion of Gestating and Lactating Sows)

  • 황보종;홍의철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4호
    • /
    • pp.291-297
    • /
    • 2012
  • 본 시험은 임신돈과 포유돈의 phytase 첨가 유무에 따른 섭취량, 분뇨 배설량 및 질소와 인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3원 교잡종(Yorkshire ${\times}$ Landrace ${\times}$ Duroc) 임신돈 12두와 포유돈 12두를 공시하였다. 처리구는 phytase의 첨가 유무(0, 750 FTU/kg)에 따라 임신돈 2 처리구, 번식돈 2처리구로 나누고, 처리구당 6반복, 반복당 1두씩 나누어 각각 12두씩 총 7일 동안 수행하였다. 시험개시시 임신돈과 포유돈의 체중은 각각 $208.9{\pm}13.8$ kg과 $190.5{\pm}22.9$ kg 이었다. 임신돈의 경우, 사료의 섭취량은 phytase 첨가구에서 높았으며(P<0.05), 음수량과 총 배설량은 phytase 첨가 유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포유돈의 경우, 사료 섭취량과 음수량 및 총 배설량은 임신돈과 마찬가지로 처리구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다. 임신돈의 질소 섭취량은 phytase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질소 배설율은 phytase 첨가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P>0.05). 포유돈의 경우, 질소의 섭취량과 배설량, 배설율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임신돈의 인 배설량과 배설율은 phytase 첨가구에서 크게 감소하였다(P<0.05). 포유돈의 경우, 인의 섭취량과 배설량 phytase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P>0.05), 인 배설율은 phytase 첨가구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낮았다(P<0.05). 따라서 임신돈과 포유돈 사료에 phytase 첨가는 인 배설량 감소에 효과가 있다.

사료 내 Phytase 첨가가 산란계의 분뇨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Phytase on the Excreta Excretion of Laying Hens)

  • 홍의철;나승환;유동조;김학규;박미나;정기철;추효준;박희두;정완태;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57-264
    • /
    • 2009
  • 본 시험은 사료 내 phytase 첨가가 산란계의 분뇨 배설량 및 질소와 인의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에 사용된 닭은 1일령 ISA Brown종 산란계(평균체중 $44.7{\pm}1.5\;g$) 360수이며, 65주령에 걸쳐서 분뇨 배설량 및 55주령에서 phytase의 첨가에 따른 총 배설량과 질소와 인의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 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육계 사료를 육성기와 산란기로 분류하고, 육성기는 초생추(0~5주령), 중추(5~12주령), 대추(12~16주령)와 산란 전(16주령~초란), 산란기는 산란 초기(초란~32주령), 전기(32~45주령), 후기(45~55주령), 말기(55주령~)로 나누어 급여했다. Phytase의 첨가에 따른 55주령의 산란계 총 배설량 및 질소와 인의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후기 기초사료에 phytase(0, 300, 600 FTU/kg)를 첨가하여, 총 3처리구, 처리구당 10수씩 대조구와 유사한 체중별로 선별하여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산란계의 전 시험기간 중 평균 체중과 사료 섭취량, 음수량 및 분뇨 배설량은 각각 1,622 과 105.7 g, 187.2 mL 및 124.7 g/수/일로 조사되었다. Phytase의 첨가에 따른 분뇨 배설량은 건물(33.2, 31.2, 30.5 g/일) 및 질소(0.46, 0.42, 0.40 g/일)와 인(0.51, 0.49, 0.48 g/일)으로서 Phytase의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phytase의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건물 분뇨 배설량에서 phytase 무첨가구와 300 FTU/kg phytase 첨가구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을 통하여 산란계의 총 배설량 및 질소와 인의 배설량을 조사하고, 단기간의 phytase 첨가도 산란계의 분뇨 배설량 및 질소와 인의 배설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에스트로겐/칼슘 혼합요법이 난소절제 쥐의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 II. 칼슘, 인 및 질소대사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Combined Estrogen/calcium Therapy o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II. A Study on Metabolism of calcium, Phosphorus and Nitrogen in Ovariectomized Rats)

  • 이경화;오승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06-1015
    • /
    • 1996
  •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에게 식이 칼슘염 형태, 에스트로겐 및 에스트로겐/칼슘 혼합요법이 칼슘, 인 및 질소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난소절제쥐를 이용한 총 9군으로 분류하여 6주간 사육한 후,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였고, 이로부터 흡수율과 평형상태를 구하였다.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의 칼슘 섭취량은 비슷하였으나 소변으로의 칼슘 배설이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난소절제 후 estrogen투여 및 estrogen/칼슘 혼합 투여군에서의 소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대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난소절제 후 estrogen을 투여한 결과 대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은 감소하였다. 고칼슘을 투여한 군들 모두에서 대변으로의 칼슘 배설량이 현저히 높았다. 칼슘의 외견적 흡수율은 난소를 절제한 군에 비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난소절제 후 고칼슘을 투여한 군들에 비해 난소절제 후 estrogen을 투여한 군이 난소절제 군에 비해 외견적 흡수율이 증가하였다. 칼슘 평형은 난소절제 후 고칼슘을 투여한 군들에서 난소를 절제한 군 보다 유의하게 높은 양의 칼슘 평형상태를 보였다.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의 소변으로의 인 배설은 난소를 절제한 군이 다소 증가하였다. 난소절제 후에 고칼슘 투여, estrogen 투여, estrogen/칼슘 혼합 투여군에서의 소변으로의 인 배설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의 대변으로 인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이 많았으며 난소절제 후 estrogen 투여군에서는 대변으로의 인 배설량이 다른 군 보다 적었다. 난소절제 후 고칼슘 투여군에서는 대변으로의 인 배설이 다소 증가한 경향이었다. 인의 평형상태도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난소절제 후 고칼슘 투여, estrogen 투여, estrogen/칼슘 혼합 투여 및 estrogen점진적 감소와 고칼슘 투여에 의한 효과로는 인의 평형이 다소 증가하였으나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 비해서는 평형이 현저히 낮았다. 난소를 절제한 군과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서 소변으로의 질소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유의 하게 높았으며 난소절제 후 estrogen, estrogen/칼슘 혼합 투여, estrogen 점진적 감소와 칼슘 점진적 증가군에서 각각 배설량이 감소하였다. 대변으로의 질소 배설량은 난소를 절제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Estrogen투여에 의해 대변으로의 질소 배설이 감소하였다. 고칼슘 투여군들은 대변으로의 질소배설이 높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난소절제로 인해 칼슘, 인, 질소 평형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낮아졌다. 난소를 절제한 군에 비해 난소절제 후 고칼슘 투여, estrogen/칼슘 혼합, estrogen 점진적 감소와 칼슘 점진적 증가군에서 칼슘 평형을 증가 시켰다. 그러나 인과 질소 평형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사료내 Phytase 첨가가 육성비육돈의 생산성과 분뇨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Phytase on Growth Performance and Excreta Excretion of Growing-Finishing Pigs)

  • 황보종;홍의철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sup호
    • /
    • pp.35-42
    • /
    • 2011
  • 본 시험은 사료내 phytase 첨가가 육성비육돈의 생산량과 분뇨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3원 교잡종 (Yorkshire ${\times}$ Landrace ${\times}$ Duroc) 육성비육돈 80수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는 phytase 첨가 유무에 따른 2처리구, 처리구당 5반복, 반복당 8수씩을 육성비육돈의 체중 (50, 80, 110 kg)에 따라 3단계로 나누어 phytase 첨가 유무 (0, 500 FTU/kg)와 육성 비육돈 성장 3단계 (육성I기, 육성II기, 비육기)의 $2{\times}3$ 복합요인으로 7일간씩 수행하였다. 육성비육돈의 성장 단계에 따른 개시체중은 각각 $58.6{\pm}3.9$, $83.2{\pm}3.8$$111.4{\pm}5.4kg$ 이었다. 증체량은 phytase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높았으며 (P<0.01), 성장 단계별로 보면 육성II기의 증체량이 가장 높고, 비육기의 증체량이 가장 낮았다(P<0.05). 사료요구율은 phytase 무첨가구가 첨가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비육기의 사료요구율이 가장 높았다 (P<0.05). 사료섭취량과 음수량은 성장 단계와 phytase 첨가 유무에 따른 섭취량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05). 분의 배설량은 성장 단계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p<0.05), phytase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p<0.01). 뇨의 배설량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질소와 인의 섭취량은 phytase 첨가 유무와 성장 단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질소의 배설량은 phytase와 성장 단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인의 배설량은 phytase 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 질소와 인의 배설율은 phytase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P<0.05).

사료내 Phytase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분뇨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Phytase on Growth Performance and Excreta Excretion of Broilers)

  • 황보종;홍의철;강보석;김학규;허강녕;추효준;김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5-263
    • /
    • 2011
  • 본 시험은 사료 내 phytase 첨가가 육계 암수의 생산성과 분뇨 배설량 및 질소와 인의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공시계는 1일령 Ross종 육계(평균체중 $44.7{\pm}1.5$ g) 192수를 선별하였으며, 육계의 성별(male, female)과 phytase 첨가 유무(0, 300 FTU/kg)에 따라 $2{\times}2$의 총 4처리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2수씩 체중별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사료는 육계 초기(0~2주), 전기(2~4주)와 후기(4~7주)의 기초 사료에 phytase를 첨가하였다. 증체량은 수컷이 암컷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phytase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다(P<0.05). 사료 섭취량은 수컷이 암컷에 비해 높았으며, phytase 첨가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P>0.05). 사료 효율은 phytase 첨가구의 수컷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분뇨 배설량은 수컷이 높게 나타났으며, phytase 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P<0.05). 질소와 인의 배설량은 수컷이 높았으며, phytase 무첨가구가 첨가구에 비해 높았다(P<0.05). 따라서, 사료 내 파이타제 첨가 시 육계의 생산성이 개선되고, 분뇨, 질소 및 인의 배설량이 감소된다.

Phytase 첨가가 산란계의 생산성, 난질, 질소와 인의 배설량 및 회장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hytase on Performance, Egg Quality, Excretion of N and P, and Ileal Digestibility in Laying Hens)

  • 황보종;안정현;정완태;오상집;이현정;김학규;이선업;홍의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9-128
    • /
    • 2007
  •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 품질, 질소와 인의 흡수량과 배설량 및 회장 소화율에 미치는 파이타제의 첨가 효과를 구명하고자 사료에 0, 300, 600 FTU/kg의 파이타제를 첨가하여 4주간 사양 시험 종료후 1주간 대사실험을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산란율이 유사한 55주령 White Leghorn 산란계 162수$(1.6{\pm}0.3\;kg)$를 공시하였으며, 처리구는 첨가 수준에 따라 P0(대조구), P1(300 FTU/kg), P2(600 FTU/kg)의 3처리구로 나누고, 처리구당 6반복, 반복당 9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산란율은 파이타제 첨가 수준에 따라 증가하였다. 계란 품질은 난중, 난각 두께, 하우유니트와 난황색 모두 처리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난각 강도는 파이타제 처리구에서 4주째에 각각 3.86 $kg/cm^2$와 3.85 $kg/cm^2$로 나타나 파이타제 첨가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05). 질소 배설량과 흡수량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p>0.05), 인 배설량과 흡수량은 파이타제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배설량이 크게 감소하고 흡수량은 증가하였다(p<0.05). 파이타제 첨가에 따른 영양소와 아미노산의 소화율은 조섬유, 조회분, 칼슘과 인, 필수 아미노산 중 lysine, methionine, phenylalanine, 비필수 아미노산 중 alanine, cystine, glutamic acid, glycine, tyrosine의 소화율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p<0.05). 이 실험 결과 산란계에 미생물유래 파이타제 급여는 산란율을 향상시키고, 인 배설량을 낮추며, 흡수량을 증가시키지만,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고, 소화율에 대한 영향은 추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시판 사료를 먹인 틸라피아( Oreochromis nijoticus) 의 질소 및 인 부하량 (Nitrogen and Phosphorus Excre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Fed Commercial Diets)

  • 김유희;조재윤;정관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5-175
    • /
    • 1994
  • 육상에서 틸라피아를 양식할 때 문제가 되는 질소 및 인의 부하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판되는 상품 사료로 치어와 미성어를 사육하여 사료 중 영양 성분의 소화율과 분의 배설량 등을 통해 환경수계에 미치는 오염 부하량을 추정하였다. 시판되는 틸라피아 사료의 단백질 함량은 평균 $33.8\%$ (질소 함량 $5.4\%$)였고, 인 함량은 평균 $1.4\%$였으며, 사료 공급후 24 시간내에 총 분 배설량의 $60\%$가 배설되었다. 틸라피아 치어 (평균 어체중 65.2g) 및 미성어 (평균 어체중 389g)좌 단백질 소화율 및 인의 소화율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의 소화율은 치어가 높았다. 질소 수지는 치어와 미성어의 경우, 공급한 질소의 $7.1\%$$9.9\%$를 분으로 배설하였고 뇨와 아가미를 통하여는 각각 $55.5\%$$62.3\%$를 배설하여, 어체에는 각각 $37.4\%$$27.8\%$를 축적하였다. 따라서 성장함에 따라 질소의 축적량은 줄면서 배설량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치어 1 톤 생산당 질소 및 인 부하량은 평균 49.5 kg과 6.3 kg 이였고 미성어의 경우 61.3kg과 13.4kg으로 어체 크기가 클수록 오염 부하량도 많아졌다.

  • PDF

일일 및 격일 습사료 공급방법이 육성 넙치의 성장과 영양소 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ily and Alternate Day Feeding Regimens on Growth and Food Utilization by Juvenile Flounder Paralichtys olivaceus)

  • 김정대;신승훈;조구긴;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21
    • /
    • 2002
  • 관행의 일일공급체제를 격일공급체제로 전환할 경우 넙치의 사료 섭취량과 증체량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조사하고 습사료의 공급에 따른 질소와 인의 배설량을 측정 하기 위하여 펑균 체중 90 g의 넙치를 이용하여 양어장에서 8주간 사육실험을 수행하였다. 일일공급 (ED)구의 건물 섭취량은 펑균 107.7g으로 격일공급 (EO)구의 평균 섭취량 89.8 g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사료전환효율은 각각 1.51 (ED) 및 1.47 (EO)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리당 증체량은 섭취량이 높았던 ED구에서 마리당 71.6 g으로 EO구 (61.1 g)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P>0.05). 질소 증가량은 질소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던 ED구가 2.13g으로 EO구 (1.76 g)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증체단위당 질소 배설량은 두 처리구 공히 약 113 g으로 동일하였다. 인 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어체내 인 증가량은 공히 0.5 g으로 동일하였다. 증체 단위당 인 배설량은 ED구가 27.6 g으로 EO구 (26.0 g)에 비해 약간 높았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에너지 섭취량은 ED구가 2523 kJ로 EO구 (2116 kJ)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그 결과 체내 에너지 증가량도 ED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에너지 축적효율은 각각 20.6% (ED) 및 18.9% (EO)로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관행의 일일공급체제를 격일공급체제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저공해성 산란계 사료 개발을 위한 영양소 균형 평가 (Evaluation of Nutrient Balance for Development of Low-Pollution Layer Diets)

  • 홍종욱;김인호;권오석;이상환;이승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9-261
    • /
    • 2000
  • 본 연구는 사료내 인분해효소 phytase을 첨가하여 곡류내 유기태인의 이용성을 최대화하고 인의 배설량을 최소화하므로서 저공해성 산란계 사료 개발에 기초자료로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부화 후 64주령된 갈색 하이라인 24수(평균체중 1.9kg, 산란율 78.4%)를 공시하였다. 대조구는 옥수수-대두박 위주로 배합된 사료, 처리구는 대조구 사료에 각각 phytase를 200 unit/kg, 400 unit/kg 그리고 600 unit/kg 첨가한 구로서 4처리 3반복, 반복당 2수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건물과 질소 이용률을 보면 처리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광물질 중 회분과 칼슘의 경우 phytase를 200 unit을 첨가한 구에서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였다(P<0.05). 인의 이용률은 phytase를 600 unit 첨가한 구가 57.64%로 다른 처리구보다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칼슘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고려한 결과 칼슘의 축적량은 phytase를 200 unit와 400 unit 첨가한 구가 대조구와 phytase를 600 unit 첨가한 구보다 높았다(P<0.05). 산란계에 대한 각각의 인의 섭취량을 보면 phytase를 600 unit 첨가한 구가 대조구, 200 unit 첨가한 구, 400 unit 첨가한 구보다 많은 양을 섭취하였으나(P<0.05), 인의 배설량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P>0.05). 그로 인해 인의 축적량 또한 phytase를 600 unit 첨가한 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많이 축적되었다(P<0.05). 혈중 칼슘의 함량은 phytase를 400 unit 첨가한 구와 600 unit 첨가한 구, 대조구간에는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phytase를 200 unit 첨가한 구보다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에 phytase를 첨가할 때 환경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인의 배설량을 감소시키고 값비싼 무기태 인의 일부를 대체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사료이용율 증가에 따른 비반추가축의 분뇨에 의한 공해발생 감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ing Pollutants in Non-Ruminant Manure by Increasing Feed Utilization)

  • Nahm, K.H.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5-257
    • /
    • 2001
  • 가축사육이 집단화되면서 가축배설물의 축적은 집중화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고 또 계속적인 분뇨 분비물의 유출은 환경공해의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는 공공의 걱정거리로 대두되고 있다. 가축분뇨 중에서 질소와 인이 환경공해요인이 되는 가장 중요한 영양소이지만 가축이나 축산시설물에서 발생되는 냄새 역시 공해의 요인이 되고 있다. 급여되는 사료의 영양소효율을 높이는 길이 환경공해를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가장 많은 실험은 닭과 돼지를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사료첨가제의 이용, 사양방법의 수정 등으로 사료중의 영양소 이용성을 높임으로서 질소와 인의 배출감소는 물론 냄새와 분의 건물함량을 줄일 수 있었다. 1) 합성아미노산 제제를 사료 중에 첨가하고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켰을 때 육계의 경우 10∼27%의 질소배출을 기대할 수 있었으며 산란계의 경우 18∼35%, 돼지의 경우 62%, 돼지에서 생성되는 냄새를 9∼43%까지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었다. 2) 사료 중에 효소제를 첨가하였을 때 육계 분의 건물함량을 12∼15% 감소시킬 수 있었다. 3) phytase를 첨가할 경우 분으로 배설되는 인의 함량은 양계의 경우 25∼35%,돼지의 경우 9∼43%까지 감소가 가능했다. 4) 성장촉진제를 이용할 경우 돼지에서 질소의 배설 양을 5∼30%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냄새는 53∼55%까지 감소가 가능했다. 5) 사료배합을 요구량에 가깝게 하여 급여하였을 때 양계나 양돈의 경우 질소와 인은 각각 10∼15% 감소를 기대 할 수 있었으며 돼지의 냄새는 28∼79%까지 감소가 가능했다. 6) 기별 사양을 철저히 실시함으로서 양계와 양돈의 경우 질소는 10∼33%, 인산은 10∼13%, 그리고 성장 비육돈의 경우 49∼79% 감소를 기대 할 수 있다. 7) 닭이나 돼지의 사료를 배합시 소화율이 높은 곡류를 이용하면 질소와 인의 배설을 5% 감소시킬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