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소대사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19초

개구리밥과 식물의 질소대사에 관한 연구: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과 좀개구리밥(Lemna aequinoctialis)의 NO3-와 NH4-의 동화작용 (A Study on Nitrogen Metabolism of Lemnaceae: Assimilation of Nitrate and Ammonia in Spirodela polyrhiza and Lemna aequinoctialis)

  • 장남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4호
    • /
    • pp.253-260
    • /
    • 1991
  • Spirodela polyrhiza and Lemna aequinoctialis often occurred at the sites of high ammonium concentration and at the sites of high nitrate concentration, respectively. We investigated the different distribution between two species in relation to the type of nitrogen sources and their concentrations. Our experiments showed that L. aequinoctialis grew faster than S. polyrhiza in nitrate media with lower than 15 mM concentration. The nitrate uptake was also faster in L. aequinoctialis than in S. polyrhiza. However, neither differences in growth nor in uptake patterns between these two species were observed in ammonium media. Glutamine synthetase (GS), glutamate dehydrogenase (GDH) and glutamate synthetase (GOGAT) activities were higher in L. aequinoctialis. In particular, nitrate reductase activity (NRA) in L. aequinoctialis was 12.1 times as high as that in S. polyrhiza.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two species responded varyingly to the types of nitrogen sources and their concentrations. Therefore, the difference in geographic distribution between the two species appeared to reflect the interspecific differences in enzyme activities and, subsequently, nitrogen absorption abilities.

  • PDF

Paramecium bursaria와 공생하는 Chlorella와 Chlorella ellipsoidea의 질소대사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Nitrogen Metabolism of Symbiotic Chlorella from Paramecium bursaria with Chlorella ellipsoidea)

  • 장남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3호
    • /
    • pp.145-156
    • /
    • 1986
  • The excretion of ammonia and glutamine synthetase activities were measured in aposymbiotic Paramecium and symbiotic Paramecium. The uptake of nitrate and ammonia, and specific enzyme activities of nitrate reductase, glutamate dehydrogenase and glutamine synthetase were investigated in symbiotic Chlorella from Paramecium bursaria and Chlorella ellipsoidea. The ammonia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media of aposymbiotic Paramecium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Paramecium but it was not changed in symbiotic Paramecium. Nitrate, the major nitrogen source, was taken up at a rate of 0.635 nmol/ 106 Chlorella/hr in Chlorella ellipsoidea. Most of ammonia was assimilated to glutamine by glutamine synthetase, of which acitivty was 1,467 $\mu$mol/mg protein/min in Chlorella elliposidea. Contrary to Chlorella ellipsoidea, ammonia and glutamine transported from the Paramecium were the nitrogen source of symbiotic Chlorella and ammonia was taken up at a rate of 3.854 nmo./106 Chlorella/hr into synmbiotic Chlorella. Most of ammonia were assimilated to glutamate by glutamate dehydrogenase in symbiotic Chlorella. The glutamate dehydrogenase (GDH/NADH) activity was 0.851 $\mu$mol/mg protein/min.

  • PDF

대두(大豆)의 영양생리(榮養生理)에 관(關)한 연구(硏究)(제(第)4보(報)) -시비시기(施肥時期)에 따른 가리(加里)의 영향(影響) (Studies on the Nutritional Physiology of Soybeans. -4. Relation between growth and potassium nutrition with the fertilizational period)

  • 강영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9-51
    • /
    • 1969
  • 시비기(施肥期)를 5단계(段階)로 구분(區分)하여 각시험구(各試驗區)마다 대두(大豆)의 생육과정(生育過程)에 따른 K의 흡수대사과정(吸收代謝過程)을 구명(究明)하였다. 함유율(含有率)은 시비기(施肥期)의 조지(早遲)에 관계(關係)없이 수확기(收穫期)에 있어서의 치(値)는 그다지 큰 차(差)를 볼 수 없었다. 그러나 비교적(比較的) 빠른 시기(時期)에 시비(施肥)한 시험구(試驗區)에서는 K의 공급(供給)은 전탄수화물(全炭水化物)의 합성(合成)을 촉진(促進)하고 있는 점(點)을 나타냈고 비교적(比較的) 늦은 시기(時期)에 시비(施肥)한 시험구(試驗區)에서는 가용성당(可溶性糖)의 감소(減少)는 물론(勿論), 가용성질소(可溶性窒素) 및 단백태질소(蛋白態窒素)의 감소(減少)도 나타냄으로서 K의 공여(供與)와 질소동화(窒素同化)와의 관계(關係)도 고찰(考察)하였다.

  • PDF

하수처리수의 방류를 받는 하천감조부에서의 N2O생성 (Production of Nitrous Oxide in Tatara Estuary Receiving Treated Wastewater)

  • 이승윤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8호
    • /
    • pp.631-641
    • /
    • 2009
  • 본 연구는 부영양화되어 있는 하구감조역에서의 $N_2O$생성과 거동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시역에서의 N2O발생에 착안하여 그 중에서도 인위적 임팩트가 크다고 판단되는 하수처리수 생활폐수 등이 유입되는 도시하천감조역을 대상으로 현지 정점조사를 실시하여 수역의 사계절에 걸친 각 질소성분의 농도변화와 flux를 상세히 파악하고 저질간극수 중의 연직분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완혼합이고 염수쐐기설(楔)가 형성되는 Tatara천(川)에서 하수처리수는 해수의 혼합형태의 영향을 크게 받고 고농도수괴(水塊)로서 표층을 이동하고 있으며, 이 수역의 질소변환기구 및 $N_2O$생성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이 수역에서 관측된 $N_2O$농도는 1.8-20.9 $\mu M$로서 대기중의 포화농도와 담수중의 포화농도를 고려하면 항상 포화농도상태이며, 주발생원은 수역저토였다. 저질간극수 중의 각 질소성분의 농도분포는 호소와 인근해역에서의 분포와는 달리 분자확산 이외의 수송경로가 있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내비성(耐肥性)에 관(關)한 질소대사적(窒素代謝的) 개념(槪念) -I. 포장조건하(圃場條件下)의 내비성(耐肥性) (Concept of Adaptability for Heavy nitrogen in view of Nitrogen Metabolism -I. Adaptability for heavy nitrogen under the field)

  • 윤종혁;조성진;박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3-177
    • /
    • 1973
  • 장려품종이며 온대형질(溫帶形質)인 진흥(振興)과 열대형질(熱帶形質)인 다수성신품종(多收性新品種) IR667을 사용(使用)하여 포장조건(圃場條件)에서 질소(窒素) 수준(水準)에 따른 생산반응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여 본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1. IR667은 진흥(振興)에 비(比)하여 질소고수준(窒素高水準)에서 엽면적(葉面積) 및 수량(收量)이 높고, 2. 질소증시(窒素增施)에 따른 수수(穗數), 입수(粒數), 입종(粒重), 등숙율(登熟率)의 증가(增加)가 더 크며, 3. 단위시비질소당(單位施肥窒素當) 곡실(穀實) 및 엽면적(葉面積) 생산효율이 높으며, 4. 단위엽면적당(單位葉面積當) 곡실생산력이 높았으며, 5. IR667은 수수(穗數) 및 입수형(粒數型)인데 비하여 진흥(振興)은 입종형(粒重型)이었다. 6. 이상(以上)의 제특성(諸特性)은 IR667이 진흥(振興)에 비하여 포장(圃場)에서 강(强)한 생산성내비성임을 보여주었다.

  • PDF

옥수수주정박이 산란계의 생산성, 영양소이용율 및 분 암모니아 방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on Producti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ies and Fecal Ammonia Emission in Laying Hens)

  • 신명호;유한진;이학림;이수기;이봉덕
    • 농업과학연구
    • /
    • 제35권2호
    • /
    • pp.137-145
    • /
    • 2008
  • 본 시험은 옥수수 주정박(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의 산란계용 배합사료에 첨가시 산란계의 생산성 및 영양소 대사율, 계분의 암모니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3주령의 Hy-line Brown 계통의 산란계 216수에 DDGS를 0% 함유한 사료를 대조구(T1)로 하고, 대조구와 동에너지(TMEn 2,780 kcal/kg)-동단백질(17.0%)이 되게끔 DDGS를 각각 10%(T2), 20%(T3) 첨가한 3가지 사료를 10주간 급이하였다. 시험설계는 3처리 6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임의 배치법을 사용하였다. 조사항목으로 사료섭취량, 산란율, 난중 및 난생산 사료요구율, 영양소대사율 및 계분의 암모니아 발생을 측정하였다. 본 시험에서 사료섭취량, 산란율, 난중 및 난생산 사료요구율 등의 산란 생산성은 모든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영양소 대사율에 있어 건물의 대사율의 경우 DDGS를 첨가한 처리구들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조지방과 NDF의 대사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가용무질소물의 대사율은 DDGS 첨가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Ca과 P의 대사율은 DDGS 첨가구들과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계분의 암모니아 발생은 DDGS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암모니아 발생이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산란계사료에서 DDGS를 10~20%까지 옥수수-대두박을 대체하여 사용할 경우, 건물과 NFE 대사율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산란성적에 아무런 영향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섬오갈피나무의 부정근 배양시 질소농도 및 NH4+와 NO3- 비율이 부정근의 생육과 eleutherosides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on Eleutheroside production and Adventitious Root Growth in Eleutherococcus koreanum Nakai Bioreactor Cultures)

  • 안진권;이위영;박응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4호
    • /
    • pp.363-369
    • /
    • 2009
  •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섬오갈피 부정근 증식시 부정근의 생장과 유용 이차대사산물인 eleutheroside 류 생산에 미치는 ${NO_3}^-$${NH_4}^+$의 영향 및 배양기간에 따른 배지성분의 변화량을 분석하였다. 부정근 증식은 질소농도가 50 mM ${NO_3}^-$와 10 mM ${NH_4}^+$ 농도비율로 첨가된 처리구에서 최대(30.8 g FW/L)에 이르러 60 mM ${NH_4}^+$ 첨가에 비해서는 3.6배 증식되었다. 또한 ${NH_4}^+$의 첨가농도비율이 높아질수록 부정근의 증식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eleutheroside B는 총 질소량이 30 mM 처리에서 $57.3{\mu}g/g$ DW, E는 60 mM 처리에서 $188.4{\mu}g/g$ DW의 함량으로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반면에 eleutheroside $E_1$은 총 질소량이 15 mM 처리에서 $47.3{\mu}g/g$ DW로 생산량이 가장 많았다. 부정근 최대생장은 초기 접종량 대비 배양 9주만에 6.8배가 증식되었고, 배양기간별 배지 성분의 변화에서 ${NH_4}^+$, $K^+$, ${NO_3}^-$${PO_4}^-$는 배양기간이 경과할수록 함유량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부정근의 생장과 유용이차대사산물의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처리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lfalfa의 급여수준이 산양의 섭취량, 소화율과 질소 및 에너지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Levels of Alfalfa on the Intake, Digestibility, Nitrogen and Energy Utilization by Korean Native Goats)

  • 이인덕;이형석;김득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6
    • /
    • 1999
  • Alfalfa의 급여수준이 산양의 섭취량, 소화율과 질소 및 에너지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고자 재래산양을 공시하여 orchardgrass 100% 급여구, orchardgrass 80%+alfalfa 20% 급여구 및 orchardgrass 60%+alfalfa 40% 급여구 등의 3 처리를 두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P 함량은 orchardgrass 100% 급여구에 비하여 alfalfa의 급여수준이 증가될수록 높아졌다(P<0.05). 그러나 NDF, ADF, hemicllulose 및 lignin 함량은 orchardgrass 100% 급여구에 비하여 alfalfa의 급여수준이 증가될수록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건물섭취량과 건물, 세포 내용물 및 섬유소 소화율은 orchardgrass 100% 급여구에 비하여 alfalfa의 급여수준이 증가될수록 높아지는 양상을 보여 orchardgrass 60%+alfalfa 40% 급여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가소화 및 대사질소의 축적율과 생물가는 orchardgrass 100% 급여구에 비하여 alfalfa의 급여수준이 증가될수록 높아졌다(P<0.05). 가소화에너지 및 대사에너지의 이용성은 alfalfa 급여구에서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처리 간에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OG 100% 급여구에 비하여 AA 급여구(AA 20, 40%)는 건물섭취량, 소화율 및 질소 이용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으나 에너지 이용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보아 에너지원을 추가 공급하는 것이 좋다고 하겠다.

  • PDF

환상박피 처리에 의한 일본잎갈나무의 착과유도 효과와 질소 화합물 함량의 증가 (Stem Girding Increases Seed Production and Nitrogenous Compounds in Larix leptolepis)

  • 이위영;박응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129-135
    • /
    • 2013
  • 낙엽송(Larix kaempferi) 채종원의 종자생산을 증진하기 위하여 접목 32년생의 채종목에 환상박피 처리를 하였다. 환상박피처리에 의하여 무처리보다 4배에 이르는 착과량 증가 효과가 있어 환상박피 처리의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환상박피 처리에 의한 낙엽송 주간 수피조직내의 대사물질의 변화를 IR-MS, GC-MS 및 HPLC로 분석하여 무처리와 비교한 결과 전질소 함량, sucrose 함량 및 전체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증가되었다. 또한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화아원기가 형성되는 8월의 aspartic acid, glutamic acd, glycine, serine, cysteine, threonine 및 alanine이 환상박피 처리에서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물질과 착과량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착과량과 수피조직내의 전질소 함량(r=0.765, p<0.01)과 전체 유리 아미노산 함량(r=0.802, p<0.01)간에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화아원기 형성기인 7월 및 8월의 수피조직내의 aspartic acid, glutamic acd, glycine, serine 및 cysteine이 착과량과 정의 상관관계(p<0.05)가 있어, 아미노산의 질소화합물 인자가 낙엽송 화아원기 유도에 직,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Mycorrhiza 접종이 가뭄 스트레스하의 식물성장과 질소 대사산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ycorrhizal Inoculation on Plant Growth and N Metabolites in Relation to drought-stress Tolerance)

  • 이복례;정우진;김대현;김길용;손보균;김태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14-325
    • /
    • 2002
  • 페레니얼 라이그라스의 가뭄스트레스 저항성과 관련하여 균근균(mycorrhiza) 접종이 작물생장 및 질소대사 산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균근균 접종에 의한 잎의 수분퍼텐셜, 건물량 및 인의 함량의 유의적인 증가가 인정되었다. 가뭄스트레스 상태에서 뿌리의 질산염 농도는 증가하였으며, 균근균 비접종구가 접종구에 비하여 현저하였다. 잎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균근균 비접종구가 접종구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전 실험기간 동안 가뭄 스트레스 처리구의 암모니아와 proline의 농도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균근균 접종구에서는 증가가 현저히 완화되었다.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잎의 건물량 감소는 암모니아(p<0.01)와 proline(p<0.001) 농도의 증가와 부의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균근균의 접종 효과는 가뭄 스트레스 하에서 작물의 성장 억제를 완화시켰으며, 인의 함량과 질소의 동화 작용을 증가 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