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질소대사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9초

은행나무 묘목(苗木)에 대(對)한 시비(施肥)가 생장(生長) 및 엽내(葉內) 양분(養分)과 유용(有用) 추출물(抽出物) 농도(濃度)에 미치는 영향(影響) (Fertilization Effects on Growth, Foliar Nutrients and Extract Concentrations in Ginkgo Seedlings)

  • 손요환;김진수;황재홍;박정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1호
    • /
    • pp.98-105
    • /
    • 1998
  • 은행나무 3년생 묘목에 각기 다른 수준의 질소, 인, 질소와 인 복합비료를 시비하고, 묘목의 생장 및 엽내 양분과 유용 추출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시비 후 묘목의 잎, 줄기, 뿌리의 생체량은 고농도 질소와 인 복합비료 처리구 이외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엽내 질소와 인 농도의 변화 정도는 시비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엽내 질소와 인의 농도는 시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나, 질소 시비량이 400kg/ha인 경우와 인 시비량이 100kg/ha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묘목 생장량과 엽내 양분 농도를 고려할 때 묘목은 질소와 인이 결핍된 상태에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시비 후 엽내 이차 대사 물질인 Ginkgo flavon glycosides와 terpene lactones의 농도는 감소하였으며, 은행나무 묘목에서 생체량과 이차 대사 물질량 사이에는 부의 상관관계 (r=-0.739, p=0.036)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질소 및 저 칼륨 양액처리시 시금치내의 비타민C및 질소 대사의 변화 (Changes in the Nitrate Assimilation and Ascorbic Acid Content of Spinach Plants Treatmented with Nutrient Solutions Containing High Nitrogen and Low Potassium)

  • 박양호;서범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1-306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작물과 시들은 식물의 질소대사와 아스코리빈산 함량의 차이를 비교하는것에 있다. 시듬은 인공적으로 유도되었으며, 그방은 질소과다 시비 및 저칼륨 시비에 의한 것으로4개의 처리구를 두었다. 1N-1P-1K (control), 6N-1P-0K (0K), 6N-1P-0.5K (0.5K), and 6N-1P-2K (2K). 시듬 정도는 control, 0%; 2K, 10%; 0.5K, 40%; and 0K, 70%. 식물 생장에는 고질소 저 칼륨 처리구에서는 그리 큰 차이가 없었으며 질산태질소의 함량은 control 구와 비교하여 고 질소 처리구가 높았으며, 아스코리빈 산 함량은 고질소 처리구가 control구에 비하여 낮았음을 확인 할수 있었다.

비중선별(比重選別) 현미(玄米)의 배아(胚芽) 및 배유중(胚乳中) 아미노산(酸) 함량(含量) (Amino acids in Embryo and Endosperm of Brown Rice different in Specific Gravity)

  • 박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16
    • /
    • 1974
  • 진흥(振興)과 IR667의 비중선(比重選)된 현미(玄米)를 배아(胚芽)와 배유(胚乳)로 분리(分離) 비중등급별(比重等級別)로 전(全) amino산조성(酸組成)을 조사(調査)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미단백질함량(玄米蛋白質含量)이 높은 IR667은 배아(胚芽)에서 진흥(振興)보다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이 적었으며 질소당(當) lysine과 필수(必須) amino산함량(酸含量)도 낮았다. 2. 두품종 모두 amino산으로의 질소회수율(窒素回收率)이 중등비중(中等比重)에서 배아(胚芽)나 배유(胚乳) 어느 경우도 높아서 비중(比重)이 높은 경우는 전분(澱粉)에 의(依)한 가수분해중(加水分解中)의 파괴(破壞)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 보였다. 3. 배아(胚芽)나 배유(胚乳) 공(共)히 IR667에서는 Glu.>Asp.의 순(順)으로 많고 진흥(振興)에서는 Glu.>Arg.의 순(順)으로 많아 품종간(品種間) 질소대사(窒素代謝)의 차(差)를 보이는 것 같다. 4. 두 품종 공(共)히 배아(胚芽)에서는 His.

  • PDF

백색 산란계의 단백질 및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성형 목탄가루, 목초액 및 양조식초 첨가사료의 영향 (Effect of Diets Containing Ground Charcoal Powder, Wood Vinegar and Fermented Acetic Acid on the Protein and Energy Metabolism in White Leghorn Strain Layer)

  • 고태송;최윤석;김동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5-95
    • /
    • 1991
  • 성형목탄가루 함유사료(CPD)를 급여한 밝은 대조에 비해서 분질소(FN)는 유의하게 (P<0.05)많이 요질소(UN)는 유의하게(P<0.05) 낮게 배설하였다. 단백질 소화율은 88∼92%였으며 대조에 비해서 CPD를 급여하면 유의하게(P<0.05) 낮아졌으나 목초액 또는 양조식초의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총질소섭취량(NI)에 대한 요질소(UN/NI)와 흡수질소(AN)에 대한 요질소(UN/AN)의 비율은 대조에 비해서 CPD를 급여하면 유의하게 (P<0.05) 낮아지나, 이에 비해서 목초액 함유사료(PWV)에서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양조식초 함유사료(PFA)에서는 유의하게 (P<0.05) 높았다. 총질소 섭취량에 대한 요산태 질소(UAN/NI) 및 UAN/AN도 대조에 비해서 CPD를 급여하면 유의하게 낮아지나, 이에 비해서 PWV에서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PFA에서는 유의하게 (P<0.05) 높아졌다. 그러나 총질소 또는 흡수된 질소에 대한 암모니아태 질소율은 대조에 비해서 실험사료를 급여하면 일반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PPA에서는 유의하게(P<0.05) 높았고, 크레아틴 및 요소태 질소의 배설은 실험사료의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에너지 소화율(DE/GE)은 80∼84%로 실험사료 사이에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대사율(ME/GE또는 MEn/GE)은 대조사료를 급여한 것에 비해서 CPD및 V를 급여하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고 PFA를 급여한 것에서는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ME/GE는 PFA를 급여한 것에 비해서 PWV를 급여한 것에서 유의하게 (P<0.05) 높았고, MEn/GE는 PFA를 급여한 것에 비해서 대조 및 CPD를 급여한 것에서 유의하게 (P<0.05) 높았다. 이러한 대사율의 변화에 미치는 분에너지의 비율은 실험사료에 관계없이 16∼23%가 되었고, 요에너지는 2.3∼3.0%로 적었다. 그러나 대사율에 미치는 실험 사료의 영향은 분에너지의 변화보다는 주로 요에너지 변화에 기인하였고 요에너지 변화는 주로 요산에너지의 변화에 기인한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 PDF

식용죽순의 질소대사에 미치는 아미노산의 페턴에 관하여 (PATTERN OF THE AMINO ACIDS INFLUENCED ON NITROGEN METABOLISM OF EDIBLE BAMBOO SPROUTS)

  • KWON, Oh Yong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6권4호
    • /
    • pp.5-10
    • /
    • 1963
  • 농촌에서 식용으로 사용하는 두종의 죽순에 대하여 함유하는 아미노산을 생장부위에 따라 정성분석하였다. 대체로 한 종류가 함유하는 아미노산은 5종 내지 15종이었으며 축순의 생장과정에 따라 함유된 아미노산의 종류는 명명 상위하였다. 식용 죽순에 함유된 필수 아미노산의 종류는 4종에서 9종임을 정성분석 할 수 있었다. 식용죽순에 잇어서도 다른 식물성 식품과 같이 영양가치가 있음을 알아 내었다. 선단부 보다 기부에 아미노산의 종류가 많이 분석된 것은 기부에서 부터 질소대사가 촉진되어 간다는 것을 추측케 하였다.

  • PDF

대두(大豆)의 영양생리(營養生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2보(報)) -시비시기(施肥時期)에 따른 질소(窒素)의 형태변화(形態變化) (Studies on the Nutritional Physiology of Soybeans -2. Morphological Variation of Nitrogen with the Fertilizational Period)

  • 강영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1-87
    • /
    • 1968
  • 대두(大豆)의 탄수화물집적과정(炭水化物集積過程)에는 일정(一定)한 rhythm이 있다는 것을 명확(明確)히 하였지만 질소대사(窒素代謝)도 이에 따라 큰 변동(變動)이 있다는 것도 명백(明白)하여졌다. 시비시기(施肥時期)의 조만(早晩)에 불구(不拘)하고 상술(上述)한 결론(結論)은 이용(利用)될 수 있으나 만기시비(晩期施肥)의 경우는, 수확기(收穫期)까지의 시기(時期)가 짧아 정상적(正常的)인 발육(發育)이란 볼 수 없이 생애(生涯)를 끝마친다는 뜻이 되어 수량(收量)에도 매우 큰 영향(影響)을 주는 결과(結果)가 된다. 일반적(一般的)으로 생육(生育)의 전반(前半)은 질소동화기(窒素同化期)이고 후반(後半)은 탄수화물동화기(炭水化物同化期)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시비(施肥)의 조만(早晩)은 이 기간(期間)의 구별(區別)을 비교적(比較的) 지연시켰다. 즉(卽) 전반기(前半期)에 있어서의 탄수화물(炭水化物)의 부족(不足)은 단백질합성(蛋白質合成)의 과정(過程)을 조해(阻害)시켰고, 후반기(後半期)에서의 체내단백질(體內蛋白質)의 부족(不足)은 왕성(旺盛)하여야 할 광합성(光合成)을 감약(減弱)시켜 가하(加何)튼 수량(收量)을 저하(低下)시키는 결과(結果)를 냈다. 따라서 착협기(着莢期)에 있어서의 체내단백질(體內蛋白質)의 부족(不足)은 결정적(決定的)으로 후반기(後半期)에서의 생육부진(生育不振)은 초래(招來)시켰다. 따라서 수량(收量)을 증가(增加)시키기 위(爲)해서는 역시 비교적(比較的) 빠른 시기(時期)에 시비(施肥)하여야 할 것이다. 또 생육과정중(生育過程中)에서의 각종형태(各種形態)의 질소(窒素)의 소장(消長)을 가용성질소(可溶性窒素)로 종합(綜合)하여 질소대사(窒素代謝)의 과정(過程)도 추정(推定)하였다.

  • PDF

급격한 염분변화에 따른 황복의 산소소비와 질소배설 (The Optimum Salinity and the Effects of the Rapid Salinity Change on Oxygen Consumption and Nitrogen Excretion in River Puffer, Takifugu obscrus)

  • 이정열;김덕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1
    • /
    • 2005
  • 황복 치어를 대상으로 염분과 수온이 변화되었을 때 나타나는 생리적 변화를 대사지표인 산소 소비율과 암모니아 질소 배설률을 측정하여 그 영향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염분 2, 12, 22 및 32 psu에서 2 개월간 순치 사육한 황복(체장 9.5$\pm$0.9 cm, 체중 18.7$\pm$5.4g)의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 질소 배설률은 사육염분에 대하여 포물선식으로 나타낼 수 있어서 각각 $Y=-0.0873X^2+0.6384X-0.690$$Y=-2.1667X^2+7.1672X+31.999$로 표시할 수 있었다. 산소소비율과 질소배설률은 사료섭취과 관련하여 일주기성을 나타내어 산소소비는 사료섭취 3시간 후에, 암모니아 질소 배설은 사료섭취 4시간 후에 각각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염분 2, 12, 22 및 32 psu에서 사육하던 황복을 갑자기 염분을 달리하였을 때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 질소 배설률은 저염분(2. 12 psu)으로 옮긴 경우가 정상염분(32 psu)으로 옮긴 경우 보다 각 염분별 사육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염분변화에 대한 생리적 보상으로 에너지 소비 경향을 산소소비량 대 암모니아 질소 배설량간의 원자비(O:N비)로 대사 기질을 판단할 때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료효율 및 성장으로 본 황복에 적정 염분은 22 psu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