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해

Search Result 55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eawater Quality of Jinhae Bay and Adjacent Sea of Gaduk Island, Korea (진해만 및 가덕도 주변 해역의 수질 환경)

  • Kim, Kyung-Tae;Kim, Eun-Soo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9.06a
    • /
    • pp.137-143
    • /
    • 2009
  • 진해만과 가덕도 주변 해역에서 2007년 2회(하계와 추계)에 걸쳐 표층 및 저층수 조사를 실시하여 수질 환경 특성을 파악하였다. 수온은 표층이 저층보다 높았는데 여름이 가을보다 표 저층간의 차이가 컸으며, 염분은 가덕도 남쪽에서 낙동강 물의 유입 영향으로 저염분을 나타내었다. 부유물질은 표층수의 경우 진해만 및 연안에서 높고 외해에서 낮았으며, 과거의 조사 농도 범위에 속하였다. POC는 계절별로 분포 차이가 있지만 유기물 유입원에 대한 근접성과 기초 생산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COD는 표층에서 오염원의 영향이 많은 진해만에서 높고 외해로 가면서 낮아졌다. 여름에 진해만 일부 정점은 해역별 수질기준 III등급이었다. DO는 저층이 표층보다 낮았는데 특히 진해만 내완 외해의 깊을 수심 정점에서 차이가 크고, 하계에 성층에 의하여 수증간에 큰 자이를 나타내었다. 인산염-인과 규산염-규소는 저층수에서 용존산소가 낮아짐에 따라 높은 농도를 나타내는 경향이 강하였으며, 암모니아-질소도 내만의 저산소층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표층수의 용존 무기질소는 신항과 가덕도 주변에서 높고 진해만 서쪽 및 외해로 갈수록 낮아졌으며, 과거 조사 농도보다 낮고 좁은 변동 범위를 보였다. 총 질소와 총인도 외해역에서 낮은 농도였으며, 표층보다 저층이 높은 추세였고 여름에 더욱 뚜렷하였다. 총질소 평균 농도로는 해역별 수질기준과 I등급을 만족하였으나 정점별로는 $I{\sim}III$등급까지 변화가 컸는데 진해만 내의 저층 또는 외해의 깊은 수심을 갖는 정점에서 등급이 좋지 알았다. Chl-a는 진해만 내 또는 가덕수도에서 높은 분포였으며, 신항과 가덕도 남쪽에서는 과거보다 낮은 농도였다.

  • PDF

제 1회 진해시지부 경영세미나-생산시스템 변화로 위기를 기회로

  • Choe, Jae-Yeon
    • 베이커리
    • /
    • no.8 s.457
    • /
    • pp.137-137
    • /
    • 2006
  • (사)대한제과협회 경상남도 진해시지부(지부장 이선구)는 지난 7월 14일 제 1회 고객서비스와 경영 성공사례 세미나를 열었다. '훌륭한 제품은 효과적인 마케팅을 만날 때 빛을 발할 수 있다.'는 취지에서 시작된 진해시지부의 경영세미나를 통해 어려운 시대를 헤쳐 가는 지혜를 찾아본다.

  • PDF

진해만의 태풍 내습시의 정박지 이용현황 및 정박지 지정에 관한 연구(I)

  • Park, Yeong-Su;Park, Jin-Su;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
    • /
    • pp.9-11
    • /
    • 2006
  • 우리나라에는 매년 평균 $2{\sim}3$회의 태풍이 내습하고 있다. 이러한 태풍의 내습시 우리나라 남해 근방의 항만에 정박증인 선박과 항행중인 선박의 대부분을 진해만으로 피항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진해만 피항시 정박하고 있는 많은 선박들 사이로 정박지를 찾아 헤메는 선박들로 인하여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정박지 선정을 레이더를 통하여 진해만 정박지를 사전에 결정할 수 있으면 좋으리라 판단된다. 이 연구는 현재 정박지에서 선박간의 최소거리를 진해만 태풍 내습시의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화하고 이 모델을 통하여 선박간의 최소 정박지 거리제공으로 선박항자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정박지 선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VTS center에서 정박지를 사전에 지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 PDF

Abundance and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melid Bivalve, Theora fragilis A. Adams in chinhae Bay, Korea (진해만에서 아기반투명조개 Theora fragilis ( Mollusca : Bivalvia ) 의 분포)

  • 임현식;홍재상;제종길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1 no.1
    • /
    • pp.21-34
    • /
    • 1995
  • 1987년 6월부터 1990년 5월까지 진해만의 저서동물 군집에서 우점하는 아기반투명조개(Theora fragilis A. Adams)에 대한 개체군 생태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이 종의 주된 분포 구역은 진해만의 입구 정점이었으나 겨울철에는 내만의 안쪽으로 확장되었다. 이 종은 여름철과 겨울철의 2회에 걸쳐 치패의 착저가 관찰되었으나 주 착저시기는 여름철이었다. 진해만 입구의 정점에서는 이러한 대량착저로 인해 그 밀도가 2,116개체/m$^{[-992]}$ 에 달하였다. 그러나 착저한 치패의 초기 감모로 인해 가을철의 밀도는 급격히 낮아졌다. 한편, 이 종의 분포는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과 깊은 관계를 보여서 3.0-5.0%(평균 4.54$\pm$1.42%), 퇴적물의 평균 입도 8.97($\pm$0.62)$\varphi$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보였다. 그러나 퇴적물의유기물 함량의 증가와 함께 이 종의 밀도가 대체로 증가하지만 5.0% 이상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 종은 여름철 저층수의 빈산소 수괴가 사라진 후에는 다시 진해만의 안 쪽 내만정점에서 높은 밀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진해만에서의 본 종의 분포는 전반적으로 퇴적물의 유기물 함량. 퇴적물의 입도 조성 및 저층수의 용존 산소량 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판단된다.

  • PDF

Seasonal Circulation and Estuarine Characteristics in the Jinhae and Masan Bay from Three-Dimensional Numerical Experiments (3차원 수치모의 실험을 통한 진해·마산만의 계절별 해수순환과 염하구 특성)

  • JIHA KIM;BYOUNG-JU CHOI;JAE-SUNG CHOI;HO KYUNG HA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9 no.2
    • /
    • pp.77-100
    • /
    • 2024
  • Circulation, tides, currents, harmful algal blooms, water quality, and hypoxic conditions in Jinhae-Masan Bay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However, these previous studies primarily focused on short-term variations, and there was limited detailed investigation into the physical mechanisms responsible for ocean circulation in the bays. Oceanic processes in the bays, such as pollutant dispersal, changes on a seasonal time scal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how the circulation in Jinhae-Masan Bay varies seasonally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ides, winds, and river discharges on regional ocean circulation. To achieve this, a three-dimensional ocean circulation model was used to simulate circulation patterns from 2016 to 2018, and sensitivit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is study reveals that convective estuarine circulation develops in Jinhae and Masan Bays, characterized by the inflow of deep oceanic water from the Korea Strait through Gadeoksudo, while surface water flows outward. This deep water intrusion divides into northward and westward branches. In this study, the volume transport was calculated along the direction of bottom channels in each region. The meridional water exchange in the eastern region of Jinhae Bay is 2.3 times greater in winter and 1.4 times greater in summer compared to that of zonal exchange in the western region. In the western region of Jinhae Bay, the circulation pattern varies significantly by season due to changes in the balance of forces. During winter, surface currents flow southward and bottom currents flow northward, strengthening the north-south convective circulation due to the combined effects of northwesterly winds and the slope of the sea surface. In contrast, during summer, southwesterly winds cause surface seawater to flow eastward, and the elevated sea surface in the southeastern part enhances northward barotropic pressure gradient intensifying the eastward surface flow. The density gradient and southward baroclinic pressure gradient increase in the lower layer, causing a strong westward inflow of seawater from Gadeoksudo, enhancing the zonal convective circulation by 26% compared to winter. The convective circulation in the western Jinhae Bay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both tidal current and wind during both winter and summer. In the eastern Jinhae Bay and Masan Bay, surface water flows outward to the open sea in all seasons, while bottom water flows inward, demonstrating a typical convective estuarine circulation. In winter, the contributions of wind and freshwater influx are significant, while in summer, the influence of mixing by tidal currents plays a major role in the north-south convective circulation. In the eastern Jinhae Bay, tidally driven residual circulation patterns, influenced by the local topography, are distinct.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pollutant dispersion, summer hypoxic events, and the abundance of red tide organisms in these bays.

Seasonal Changes in Phytoplankton Composition in Jinhae Bay, 2011 (2011년 진해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 Park, Kyung-Woo;Suh, Young-Sang;Lim, Weol-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8 no.6
    • /
    • pp.520-529
    • /
    • 2012
  • Geographic distribu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were investigated in Jinhae Bay for 12 months. Total 158 species were found including 95 bacillariophyceae, 58 dinophyceae, 1 euglenoids, and 4 dictyochaceae. The total cell numbers of phytoplakton ranged from $4.0{\times}10^3{\sim}9.0{\times}10^7\;cells{\cdot}L^{-1}$. Highest and lowest amounts of cells were found in July (Chl.a 13.19 $mg{\cdot}m^{-3}$) and March(Chl.a 3.44 $mg{\cdot}m^{-3}$), respectively. Leptocylindrus danicus and Pseudo-nitzschia spp. were dominant in spring, and Dactliosolen fragilissimus and Pseudo-nitzschia spp. were dominant in summer. Chaetoceros spp. and Skeletonema spp. were domonant in autumn and winter. The amoun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also measured during the survey. Higher ratio of nitrogen (DIN : DIP = 28 : 1) was found in the east Jinhae Bay compared to the ratio of the west Jnhae Bay that showed 14 : 1 of N : P ratio. The total amounts of nitrogen, phosphorus and Chl.a were also higher in the east Jinhae Bay compared to the west area. The geographic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west of Jinhae Bay were also discussed along with phytoplankton compostion.

Study on the Water Movement in Jinhae Bay (진해만의 해수유동에 관하여)

  • Lee, Jong Wha;Bong, Jong-Han;Han, Sang Joon
    • 한국해양학회지
    • /
    • v.9 no.2
    • /
    • pp.19-30
    • /
    • 1974
  • Current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in Jinhae Bay area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to February 1974. The data were synthetically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movement in Jinhae Bay were studied. The water movement in Jinhae Bay area is a reversing tidal current type and the Semi- diurnal tidal current is predominant. The ebb current begins at about high water time and the strongest current occurs at about 3 hour after high water. The flood current begins at 0.2-1.0 hour before low water and the strongest current occurs at about 3-4 hour after low water. The main ebb current flows to SE direction with the maximum welocity, about 100cm/sec and the lood flows to NW with the maximum velocity, about 70cm/sec. Generally, the ebb current in Jinhae Bay is more predominat than the flood current except at the west and the north coast area of Gadeog-do where the flood current is more predominant.

  • PDF

전력설비에 대한 염진해 대책

  • 이광우
    • 전기의세계
    • /
    • v.28 no.5
    • /
    • pp.18-23
    • /
    • 1979
  •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에 연하여 있어서 각종 해풍의 영향으로 바다의 해염입자가 내륙으로 비산되어 해안근지구역의 애자가 오염되고 있다. 또 최근 산업의 대규모화와 중화학공업의 발전으로 공업지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어서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매연등으로 애자의 오손상태는 더욱 심확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오손애자는 평상시의 건조상태에서 별다른 이상은 없으나 비, 이슬, 안개등의 온윤상태에서는 내락사고로 진전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같이 발생되는 사고(염진해 사고)로 인하여 각국의 전력회사는 물론 한국전력에서도 하나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래서 효과적인 방지대책을 찾아내기 위하여 계속 연구하고 있다. 여기서는 지금까지 조사연구된 염진해현상과 그 대책에 대하여 기술코저 한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d Equivalent Salt Deposit Density In Southwest Area (서남권 지역의 염해오손도 변화에 관한 연구)

  • Jang, Jeong-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11b
    • /
    • pp.38-40
    • /
    • 2002
  • 한국전력에서는 전력설비의 염진해 대책을 위해 전국의 영진해 오손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동, 서, 남해안 및 제주도를 중심으로 1981-1988간에 걸쳐 애자를 설치하고 매월 실측하여 전국의 염진해 오손지도를 만들고 이에 의해 내오손 설계를 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 이후 여러 기현상의 자연현상과 중국대륙의 극심한 황사현상 빛 가속화된 산업발전에의 공업오손의 영향 등으로 오손도에 적잖게 변화를 준 것으로 보고 본 논문에서는 서남권의 오손도를 직독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그 추이를 제시하였다.

  • PDF

마산만의 준설 및 하수처리장 가동에 따른 진해만의 수질변동

  • 이인철;김경희;류청로;김헌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60-161
    • /
    • 2003
  • 본 연구는 그림 1의 진해만 관측자료를 수집ㆍ분석하여 1989년부터 1994년까지의 5년간의 마산, 진해만의 수질변동 특성 분석 및 Cluster analysis를 통해 및 개의 유사영역으로 구분하여 소해역별 수질환경 공간특성을 파악해 보고, 마산만 준설 및 마산시 하수처리장이 가동된 시기를 전ㆍ후로 수질의 변화 양상을 검증하여 그 실효성을 평가해 봄으로써 오염물질 유입에 대해 능동적 대처방안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해역관리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