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진로동기 형성과정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STEM career motivation formation: An approach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고등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 형성과정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 Jung, Young-Hee;Shin, Sein;Lee, Jun-Ki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1 no.1
    • /
    • pp.36-5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heory appropriate to the context by identifying the career motivation formation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mong non probability sampling was used for sampling by artificially reputational case selection methods. Forty two highschool students(21 male, 21 femal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mainly collected using in-depth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of Strauss and Corbin (1998). According to the results, 319 concepts and 56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were derived n the open coding process.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formation of STEM career motivation were influenced by contextual conditions of "STEM-related career think that the instruments' causal conditions and 'STEM education experience i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named 'STEM career understanding and self-understanding' using the strategy of being influenced in interventional conditions of social support and obstacle 'for the central phenomenon of "STEM efforts to achieve career goals, it appeared as a result of" satisfaction for STEM careers. And it had a 5-step process over time that the formation process of STEM career motivation. This is expected to provide homes, schools, communities, and contribute to have a new insight on the education of the country, given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intervention and the basic data used to develop and apply STEM career education.

Explori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tivation for Career Choice and Their Self-Image as a Science Teacher (예비과학교사들의 교사가 되고자 하는 동기와 교사상에 나타나는 특성)

  • Chang, Hyun-Sook;Lee, Hyun-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1 no.1
    • /
    • pp.14-31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tivation for career choice and their self-image as a science teacher. Although their motivations for becoming science teachers were very personal, three major characteristics emerged. First, during the process of their growth, their interest in education and science existed separately, and later the two interest were naturally focused on the job of a science teacher. When they find out that teaching science is right for them, they developed their inner motivation. Second, teaching opportunities to teach science subjects, including classroom observations, TA, tutor, and teacher-aid, played an essential role for them in finding their aptitude for science teaching. Third, their teaching-related experiences were very effective in building up their self-image as a science teacher and in preparing for the job. It also reinforced their inner motivation, which was important in finding their direction in life as a science teacher. Fourth, there were two categories for the self-image as a science teacher. One was teaching-oriented and the other was science subject-oriented. These images for the science teacher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eir inner motivation for science teaching.

A qualitative case study about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deep motivati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inner vision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심층 동기, 교과교육학 지식 및 내적 비전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Jun, Young-Cook;Kang, Yoon-Soo;Witz, Klaus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9 no.2
    • /
    • pp.179-193
    • /
    • 2006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using in-depth interviews, the participant's enthusiasm for and involvement in studying mathematics and the deeper nature of his/her interest in mathematics teaching. In addition a larger aim is to understand how the individual's interest in mathematics and teaching are linked to his/her larger personal fulfillment.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4 pre-service teachers' subjective experiences focusing on deep motivati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ner vision. Interviews focus much more on the participant's spontaneous feeling, consciousness, and state as these arise in the interview, and on past foiling, consciousness and state as they appear to the participant subjectively retrospectively in his/her memory. The output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2 portraits out of 4 individual participants, highlighting and conceptually developing the specific aspects under study; different ways in which individuals' involvement with the subject area affects their motivation, inner visions and academic efforts toward becoming teachers. Larger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subjective experiences were sketched by contrasting the two cases. Several suggestions were put at the end to enhance mathematics education concerning curriculum development.

  • PDF

A Narrative Study on the Adaptation of Christian North Korean Adolescents to Korean Society (기독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Kim, Eunhee;Lim, Changho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66
    • /
    • pp.147-17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tribution of Christian faith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elf-identity and stably settling in the process of North Korean youth settling in Korean society. The research method used narrativ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nine late youth who belonged to the church, aged 17 to 24 years old, who had been in Korea for more than one year. Through this study, themes were derived from four categories. First, a retrospective narrative of the North Korean defection motive was dealt with. Second, it deals with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process and unsolved tasks. Third, I dealt with the thoughts of the family, the discourse and vision for unification, which they dream of in Korean society as Christian believers. Fourth, it is about the Christian faith, and it is said that the Christian faith gives North Korean refugee youth the power to reflect on their lives, and to see the essence of life through the values of interest in others, history, society, and the kingdom of God. These results are based on the encounters with church and alternative school leaders and various curriculums that North Korean refugee youth experience and talk about. In the sense that it seeks and suggests a new direction in the era of preparation for unification, this article can be said to be of great value for Christian education.

An analysis of students' online class preference depending on the gender and levels of school using Apriori Algorithm (Apriori 알고리즘을 활용한 학습자의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온라인 수업 유형 선호도 분석)

  • Kim, Jinhee;Hwang, Doohee;Lee, Sang-Soo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1
    • /
    • pp.33-39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nline class preference depending on students' gender and school level. To achieve this aim,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4,80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17 regions nationwide. The valid data of 4,524 were then analyzed using the Apriori algorithm to discern the associated patterns of the online class preference corresponding to their gender and school level. As a result, a total of 16 rules, including 7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4 from middle school students, and 5 from high school students were derived. To be specific, elementary school male students preferred software-based classes whereas elementary female students preferred maker-based classes.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preferred virtual experience-based classes. On the other hand, high school students had a higher preference for subject-specific lecture-based classes. The study findings can serve as empirical evidence for explaining the needs of online classes perceived by K-12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to present and suggest areas of improvement for diversifying online classes. Future studies can further conduct in-depth analysis on the development of various online class activities and models, the design of online class platforms, and the female students' career motivation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

Analyzing the Structure of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Values of Career: Social Network Approach (중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직업가치관 구조분석: 사회네트워크적 접근)

  • Shin, Sein;Lee, Jun-Ki;Ha, Minsu;Lee, Tae-Kyong;Jung, Young-He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5 no.2
    • /
    • pp.195-216
    • /
    • 2015
  •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career play a core role in formation of their career motivation. In particular, science gifted students should build sound values of career in science and technology so that our society can retain the human resources for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structure of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job and values of career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ically, we first collected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careers and the reasons of the career choice using survey method. Then, we structuralize semantic networks of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their preferred career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We identified the characters of networks that two different student groups showed based on the structure matrix indice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Findings revealed that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the creativeness as the most important value of career. Second,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more diverse values of career than general students. Third,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the self-realization such as displaying capability as a core value of career in STEM and medical science whereas general students considered the community service as a core value of the careers. This study identifi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values of careers. The structures of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careers can be used for teachers to counsel their students about students' future care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