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드기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19초

귀 피부병이 있는 애완견에서 진드기 감염률 (Mite infestation rate of pet dogs with ear dermatoses)

  • 박건수;박진성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2호
    • /
    • pp.143-150
    • /
    • 1996
  • 애완견에서 진드기에 의한 피부병의 빈토 및 원인 진드기를 조사하고 인체의 소양성 피부 질환의 원인으로 애완견 진드기의 의의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0년 1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청운동물병원에서 귀 부위에 피부병이 있었던 970마리의 애완견의 털과 인설에서 진드기를 수세법으로 검출하고 분류하였으며 가족의 소양성 피부질환 유무를 조사하였다. 애완견 피부염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진드기로는 Qctodectes Wnotis Hering. 1,838 (귀진드기)와 Sarcoptes canis Gerlach. 1,857 (개옴진드기)가 검출되었으며 귀진드기는 970마리의 애완견 중 382마리 (39.4%)에서 총 2 117마리가 검출되었다. 개옴진드기는 970마리의 애완견 중 3마리 (0.3%)에서 총 30마리가 검출되어 원인 진드기가 검출된 애완견은 970마리 중 385마리 (39. 7%)이었다. 귀진드기가 검출된 382마리의 애완견 사육 가족 중 2가족에서 소양성 피부질환이 발생하였으나 귀진드기와는 관련이 없었으며 개옴진드기가 검출된 3마리의 애완견 사육 가족 중 2가족에서 개옴진드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피부염이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본 저자들은 귀진드기가 애완견에서 가장 흔히 검출되는 진드기이지만 사람에게 전파되어 피부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개옴진드기는 감염률은 매우 낮지만 사람에 전염성이 강함을 확인하였다.

  • PDF

진드기 생태학과 관리방법

  • 오석환
    • 양봉협회회보
    • /
    • 통권327호
    • /
    • pp.26-31
    • /
    • 2008
  • 양봉인이라면 누구나 봉군의 죽음을 싫어한다. 하지만 벌들의 죽음에는 많은 원인이 있다. 진드기가 퍼진 이래, 진드기로 인한 손실은 세계 도처에서 계속 높아만 가고 있다. 진드기는 자주 봉군의 죽음에서 매우 중대한 역할을 맡고 있다. 진드기들이 벌들을 죽이지 않더라도, 진드기들은 질병 또는 그 외 기생충들 그리고 작은 벌통에 침입하는 벌레들과 같이 벌들을 아주 약하게 한다. 또한 진드기는 바이러스(병균)의 매개자로서 봉군들을 서둘러 죽인다. 만약 우리가 성공적으로 그리고 계속적으로 진드기를 점검한다면 우리들의 벌들은 틀림없이 번창할 것이다. 한때 현인은말하기를 "만약 당신이 건강하다면, 당신은 병에 걸릴 수가 없다"라고 말했다.

  • PDF

사람과 동물 옴진드기의 형태학적 분류와 국내에서의 발생빈도 (Taxonomical approach to scabies mites of human and animals and their prevalence in Korea)

  • 이원구;조백기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2호
    • /
    • pp.85-94
    • /
    • 1995
  • 지금까지 흔히 Sorcoptesscobiei(Linnaeus. 1758)의 변종으로 다루어져 왔던 옴진드 기의 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하고자 옴환자 돼지. 개로부터 옴진드기를 분리하여 그 형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람 옴진드기와 돼지 옴진드기는 아종 수준의 차이를 나타내며. 개 옴진드기는 종 수준의 차이를 나타낸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사람의 옴진드기는 Snrcoptes scabiei scabiei (Limlaeus. 1758)(사람 옴진드기). 돼지의 옴진드기는 S. scabiei suis Megnin, 1880(돼지 옴진드기)로 부르고. 개의 옴진드기는 이들과는 다른 종의 Suimptes canis Gerlach. 3857(개 옴진드기)의 종명을 사용함이 타당하다고 여겨지나 한국에서의 옴진드기의 감염률은 1980-l981년에 가장 높아서 종합병윈 피부과 외래환자의 10%에 달해으나 최근 10년간 급속히 감소하여 현재는 1%o 미만으로 추산된다. 빈면에 개 옴진드기의 감염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 PDF

경기도 포천, 강원도 철원지역에서 진드기의 계절적 발생 유형 (Seasonal Patterns of Ticks in Pocheon and Cheolwon, Republic of Korea)

  • 신용칠;이인용;서장훈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47-152
    • /
    • 2015
  • 참진드기 3종류의 발육단계별 즉 유충, 자충, 성충에 대한 계절적 발생 유형을 2014년 4월에서 10월까지 조사하였다. 천끌기와 천젓기 방법으로 포천 영중면 금주리에서 작은소피참진드기 610개체, 개피참진드기 296개체 그리고 일본참진드기 15개체가 채집되었으며 같은 방법으로 철원 서면 자등리에서는 작은소피참진드기 254개체, 개피참진드기 345개체, 일본참진드기 15개체가 채집되었다. 작은소피참진드기의 성충은 6월에 가장 높은 채집 비율을 보였으며 자충은 4월에서 6월사이에 주로 채집되었다. 반대로 작은소피참진드기의 유충은 9월과 10월에만 채집되었다. 개피참진드기의 성충은 4월, 9월, 10월에 채집된 반면 자충은 4월부터 10월까지 채집되었다. 개피참진드기의 자충은 포천에서는 4월에 그리고 철원에서는 5월에 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개피참진드기의 유충은 작은소피참진드기의 유충과 같이 9월과 10월에만 채집되었다. 일본 참진드기의 성충과 자충은 주로 4월에 채집되었으나 유충은 채집되지 않았다. 천끌기과 천젓기 방법으로 채집된 특정한 진드기종의 발육단계별 밀도를 조사한 결과는 진드기의 계절별 밀도 평가와 진드기 매개 질병 위험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정보 - 닭진드기 방제사업

  • 대한양계협회
    • 월간양계
    • /
    • 제55권2호
    • /
    • pp.113-115
    • /
    • 2023
  •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 닭진드기 공동방제 지원사업을 실시한다. 본 사업은 진드기 예방, 방제를 위해 산란계 농장에게 청소·세척·소독 및 사후관리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본고는 2023년 닭 진드기 공동방제 지원사업에 대해 농가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내용을 발췌·요약·정리하였다.

  • PDF

한국산 진드기의 분류학적 연구(I)(Ixodes 속) (A Taxonomical Study on Ticks in Korea)

  • 노용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3-76
    • /
    • 1965
  • 한국산 Ixodes 속 [진드기]는 Ixodes persulcatus 1 종이 함경북도에서 발표되었다. (Itagaki , 1994). 필자는 1961년 3월-1964년 10월 사이에 채집한 진드기류를 진드기류를 정리한 결과 1. Ixodes granulatus SUPINO 2. Ixodes turdus NAKATSUJI 3. Ixodes turdus NEUMANN 4. Ixodes cavipalpus NITTALL et Warburton 의 4 종의 한국미기록종을 발견하였으므로 이에 발표하고저 한다.

  • PDF

실험용(實驗用) 가토(家兎)에 있어서의 Haemaphysalis longicornis 진드기 교상(咬傷)에 대한 획득면역(獲得免疫)에 관련(關聯)된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관찰(觀察) (Histopathology of Lesion Produced by Haemaphysalis longicornis Neumann (Acarina:ixodidae) with Reference to Acquired Immunity)

  • 강영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5-143
    • /
    • 1981
  • 진드기의 흡혈(吸血)에 대對하여 경험(經驗)이 없는 가토(家兎)를 실험숙주(實驗宿主)로하여 Haemaphysalis longicornis 진드기를 부착(附着) 흡혈(吸血)시켰을때 형성(形成)된 교상(咬傷)에 대(對)한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변화(變化)를 관찰(觀察)하고, 진드기의 흡혈(吸血)에 경험(經驗)이 있는 감작(感作)된 가토(家兎)에 1개월(個月) 간격(間隔)으로 제2차(第二次) 흡혈(吸血)까지 시도(試圖)하여 가토체내(家兎體內)의 획득면역(獲得免疫)의 형성(形成)과 그에 따른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변화(變化)를 비교관찰(比較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H. longicornis 진드기는 구기(口器)를 사용(使用)하여 가토(家兎) 이부위(耳部位)의 피용(皮庸)를 천자(穿刺)하므로서 교상(咬傷)을 일으키며, 흔히 진드기의 구기주변(口器週邊)에는 진드기의 안전(安全)한 부착(附着)을 기도(企圖)하는 편평원추상(扁平圓錐狀)의 시멘트 물질(物質)이 형성(形成)되었다. 2. 진드기 교상(咬傷)에 대(對)한 주요(主要)한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변화(變化)는 국소부위(局所部位)의 출혈성(出血性) 염증성(炎症性) 반응(反應), 광범위(廣範圍)한 부종(浮腫), 백혈구(白血球) 침윤(浸潤), 그리고 세포조직(細胞組織)의 괴사(壞死)로 대징(待徵)지워졌다. 3. 진드기 기생(寄生)의 초기(初期)에 형성(形成)된 병변(病變) 또는 진드기 흡혈(吸血)에 대(對)하여 경험(經驗)이 없는 가토(家兎)의 병변(病變)에서는 호중구(好中球)를 흔히 볼 수 있었으며, 진드기 기생말기(寄生末期) 또는 진드기 흡혈(吸血)에 대(對)하여 경험(經驗)이 있는 감작(感作)된 가토(家兎)의 병변(病變)에서는 호산구(好酸球)가 많이 관찰(觀察)되었다. 4. 진드기의 구기(口器)가 창상내(創傷內)에 잔존(殘存)하는 한, 치유(治癒)은 단시일내(短時日內)에 이루어 지지 않았으며, 증상(症狀)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괴사성(壞死性) 염증성(炎症性) 반응(反應)은 더욱 확대(擴大) 되었는데, 이러한 소견(所見)은 감작(感作)되어 있는 숙주(宿主)에서 더욱 확실(確實)히 관찰(觀察)되었다. 5. 최초(最初)(1차(一次)) 흡혈(吸血) 시도후(試圖後) 감작(感作)된 가토(家兎)에 2차적(二次的)으로 부가흡혈(附加吸血)을 시도(試圖)하였을때 볼수 있는 진드기의 흡혈성취도(吸血成就度)의 저하현상(低下現象)은 숙주체내(宿主體內)의 교상병변(咬傷病變)에서 일어나는 조직병리학적(組織病理學的) 소견(所見)과 획득면역(獲得免役)에 깊이 관련(關聯)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닭과 소의 사체에 유인되는 진드기류 (Acari Attracted to Carrion of Chicken and Cattle)

  • 임채석;이원구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10권1_2호
    • /
    • pp.16-21
    • /
    • 2005
  • 2002년 9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경남 진주시 경상대학교 인근의 야산, 초지, 하천변, 온실, 건물옥상, 논 및 채소밭에서 닭과 소의 사체를 매장하거나 노출 설치하여 유인되는 진드기류를 채집하였으며 동정 한 결과 다음과 같이 7종을 확인하였다. Suborder Ixodida 참진드기 아목 Family Ixodidae 참진드기 과 1. Haemaphysalis longicornis Neumann, 1901 작은소참진드기 Suborder Mesostigmata 중기문 아목 Family Machrochelidae 큰집게좀진드기 과 2. Macrocheies muscaedolnesticae(Scopoli, 1772) 파리큰집게좀진드기 3. Holostaspella ornata(Berlese, 1904) 무늬파리응애(국명 신칭) Family Ascidae 떠돌이응애 과 4. Protogamasellus micus(Athias-Henriot, 1961) 미카응애(국명 신칭) 5. Lasioseius sugawarai Ehara,1964 화살응애 6. Proctolaelaps sp. Suboder Prostigamta 전기문 아목 Family Erythraeidae 7. Abrolophus sp. 그 중 가장 흔한 것은 파리큰집게좀진드기(31.8%)와 미카응애 (28.2%)이었고, Holostaspella ornata (Berlese 1904)와 Protogamasellus micus(Athias-Henriot 1961)는 한국 미기록종이다.

  • PDF

제주 노루와 진드기에서 타일레리아 감염 조사 (Investigation of Theileria sp. from Ticks and Roe Deer (Capreolus pygargus) in Jeju Island)

  • 문경하;이상;최창용;김소연;강창완;이경갑;윤영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10
    • /
    • 2014
  • 제주도에 서식하는 노루는 육지부 다른 종으로 대부분이 진드기에 심하게 감염되어 있다. 제주노루가 진드기 매개질병에 감염 및 다른 야생동물이나 가축에게 질병을 전파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야생동물구조센에서 구조 및 치료되는 제주노루 23마리의 혈액과 진드기를 대상으로 진드기 종을 동정하고 주혈원충 감염을 확인하였다. 구조된 노루의 대부분은 심하게 진드기에 감염되었고 모두가 작은소참진드기(100%)였다. 감염노루 혈액과 진드기를 대상으로 주혈원충에 대한 PCR, RFLP 및 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혈액시료 모두(100%)에서 Theileria luwenshuni로 확인되었으며, 진드기에서는 23개군중 8개군(34.8%)에서 확인되었다. 제주 노루 감염 진드기는 주로 작은소참진드기며, 이들이 T. luwenshuni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감염에 따른 혈액 및 혈청학적 검사에서 정상소견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앞으로 사람이나 가축으로 질병을 전파할 수 있는 진드기 매개질병 보균숙주로서 가능성이 있음으로 지속적인 조사 관찰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