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진도개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5초

진도의 해산 연체동물상 (Faunistic Investigation for Marine Mollusks In Jindo Island)

  • 길현종;윤숙희;김원;최병래;손현준;박중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5호
    • /
    • pp.29-46
    • /
    • 2005
  • 한국동물분류학회 창립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진도의 무척추 동물상에 관한 공동조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산연체동물상을 연구하기 위해 2004년 6월 29일에서 6월 30일까지 3개 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모두 37과 77종의 연체동물 종이 채집, 동정되었다. 이들 중 18과 26종은 진도지역에서 처음으로 채집, 보고되는 종이었으며, 특히 Onchidella kurodai (Taki, 1935) 검은콩갯민숭이는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져 이에 대한 기재와 도판을 작성하였다. 과거의 문헌기록 등을 포함하여 본 연구로부터 새롭게 기록된 종들을 종합하면 진도 및 인근 지역에서 보고된 연체동물은 현재까치 총 43과 115종이 된다. 생물지리학적 특성의 관점에서 볼 때, 진도에서 발견된 일부 복족류 종들 (Bittium craticulatum, Macroschisma dilatatum, Cantharidus japonicus, C. callichroa, Homalopoma sangarense, Crepidula onyx)은 제주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남해 혹은 동해안 지역에서 이전의 연구를 통해 발견된 종들이었다. 진도지역에는 한반도 서해안 연안에 걸쳐 분포하는 연체동물의 많은 종이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과 함께, 본 연구로부터 새롭게 얻어진 발견은 진도가 한반도의 남부 해안과 서부 해안 생물상이 중첩분포하고 있는 지역이라는 이전의 Kim and Kwon (1983)의 의견을 지지하는 또 하나의 증거가 된다. 향후 종합적인 생물상 연구가 수행될 경우 진도지역의 생물지리학적 특성에 관련된 새로운 정보는 물론. 보다 다양한 동물상이 추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진도의 해양 간극 선충류 1신종, Tricoma (Quadricoma) jindoensis (고리선충목: 고리 선충과) (Tricoma (Quadricoma) jindoensis, a New Species of Marine Interstitial Nematoda (Desmoscolecida: Desmoscolecidae) from Jindo Island, Korea)

  • 임형욱;장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5호
    • /
    • pp.61-70
    • /
    • 2005
  • 진도의 해안 간극수에서 채집한, 고리선충목의 사각고리선충아속에 속하는 1신종을 기재한다. 이 종은 사각고리선충아속의 44개 고리를 가진 7기록종 중에서, 두부강모의 형태가 유사하고, 머리의 전단부가 넓게 잘린 점, 6개의 유두모양 입술돌기를 가진다는 점. 가늘고 긴 교미침을 공통적으로 가진다는 점등에서 T. (Q.) crassicomides Timm, 1970과 가장 유사하다. 그러나 수컷에서, 끝에서 두 번째 고리에 구근 모양의 돌기를 가지며, 꼬리 부분이 7개의 고리로 이루어지고, 등쪽 강모가 9쌍이라는 점에서 위 종과 뚜렷이 구별된다. 이 신종은 사각고리선충아속에 속하는 해양 자유선충으로서는 동아시아 해역에서의 첫 번째 기록이다.

사장교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무선 센서 시스템 (Wireless Smart Sensor System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Cable-stayed Bridges)

  • 박종웅;조수진;정형조;윤정방;서주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678-681
    • /
    • 2010
  • 최근 건설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국내외적으로 장대교량의 건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장대교량들은 지속적인 안전성 관리가 필요하며 현재 국내 다수의 장대교량들에는 다양한 센서로 이루어진 구조건전성 모니터링 시스템이 설치, 운용되고 있다. 장대교량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물리적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센서배치가 필요로 하지만, 이는 센서 자체의 비용뿐만 아니라 센서와 데이터 서버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설치비용으로 인하여 상당히 제약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실례로 홍콩의 Tsing Ma 대교의 경우 350개의 센서를 설치하는데 약 8 백만불이 넘는 금액이 들었으며(Farrar 등, 2004), Celeby(2002)의 보고에 의하면 각 센서의 채널 당 케이블의 설치비용으로 약 5000불의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센서와 이러한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체 연산기능을 가지고 있는 스마트 무선 센서를 개발하고, 이를 해남과 진도를 잇는 연육교인 제 2 진도대교에 적용, 사장교의 구조 건전성을 저비용 및 높은 편의성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였다.

  • PDF

한국산 곰치과 어류 첫기록종, Strophidon dorsalis (New Record of a Moray Eel, Strophidon dorsalis(Muraenidae, Anguilliformes) from Korea)

  • 강충배;김맹진;김진구;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1-196
    • /
    • 2020
  • 곰치과에 속하는 Strophidon dorsalis 1개체 (전장 1,254 mm)가 2018년 7월 우리나라 남해안의 진도연안에서 연안통발로 처음 채집되었다. 이 종의 특징은 몸에 무늬가 없고, 주둥이가 약간 둥근 형태를 띠며, 2개의 안상골공 (superorbital pores), 3개의 안하골공 (infraorbital pores), 그리고 6개의 하악골공 (mandibular pores)을 갖는 다. 이 종은 형태적으로 가는곰치 (Strophidon sathete)와 유사하지만 안하골공이 3개이며 (vs. 가는곰치는 4개), 마지막의 안하골공은 눈의 앞부분에 위치하며 (vs. 안하골공이 눈의 뒷부분에 위치), 전장에 대해 체고비율이 3.2~4.1%(vs. 1.8~3.1%), 그리고 척추골수가 154~167개 (vs. 188~200)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어종의 국명은 '서망곰치'로 제안한다.

심장사상충 감염 진도견에서 혈장 NT-proBNP 농도 증가 증례 (Elevation of Plasma NT-proBNP Concentration in a Korean Jindo Dog Infected with Dirofilaria immitis)

  • 황수현;박형진;서경원;이상은;송근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96-498
    • /
    • 2013
  • 본 증례는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 내원한 심장사상충에 중감염된 2세, 암컷의 진도견에서 혈장 NT-pro BNP농도를 측정하였다. 심장사상충 감염은 신체검사, 혈액검사, ELISA 키트검사 및 영상진단검사 등으로 진단하였다. 본 증례 진도견의 혈장 NT-pro BNP농도는 심장사상충에 감염되지 않고, 다른 질병도 없는 5마리(모두2세, 모두 암컷)의 정상견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정상견 평균: 373 pmol/L, 본 증례: 2,950 pmol/L). 본 연구는 우리가 아는 한 심장사상충에 감염된 진도견에서 혈장 NT-pro BNP농도를 측정하여 보고한 최초의 증례보고이다.

진도 해역의 극피동물상 (Fauna of Echinoderms from Jindo Island and Its Adjacent Waters, Korea)

  • 신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nspc5호
    • /
    • pp.47-60
    • /
    • 2005
  • 2004년 6월 29일부터 7월 1일까지 이루어진 한국동물분류학회 창립 20주년 기념 합동채집회에서 벌포와 초평, 수품, 회동, 서망, 북위 $34^{\circ}11'N$과 동경 $126^{\circ}21'E$ 등, 진도의 6개 지역에서 채집되어 동정된 극피동물은 4강 10목 13과 20종으로서 바다나리가 1목 1과 1종, 불가사리류가 3목 4과 7종. 거미불가사리 류가 2목 3과 5종, 성게류가 1목 2과 4종, 해삼류가 3목 3과 3종이었다. 이들 중 바다니리류 1종, 가시예쁜갯고사리 (Antedon serrata)와 불가사리류 2종, 도우손햇님불가사리 (Solaster dawsoni)와 일본불가사리 (Distolasterias nipon), 그리고 거미불가사리류 1종, 나무거미불가사리 (Astrodendrum sagaminum)는 진도에서 처음 기록되는 종이며 1종의 한국 미기록 해삼류 (Pseudocnus sp.)가 포함된다. 과거기록을 포함하여 총 31종의 종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분포형과 종 출현양상을 근거로 진도 해역의 극피동물상을 논하였다.

mtDNA D-loop의 염기서열에 의한 제주견과 우리나라 재래견 및 외국견품종과의 유연관계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Jeju Dogs to Other Domestic and Foreign Dog Breeds Determined by Using mtDNA D-loop Sequences)

  • 김미경;김남영;이성수;김규일;양영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4호
    • /
    • pp.303-310
    • /
    • 2011
  • mtDNA D-loop 970 bp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제주견과 우리나라의 토종견인 진도견, 풍산견, 삽살견과의 관계와 외국 품종들과의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초가변영역인 598 bp의 D-loop 부위가 보고된 염기서열들은 추가로 GenBank에서 수집하여 전체 30개의 품종으로부터 214종의 단상형들을 이용하여 AMOVA 분석을 하였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제주견에서 5종류, 진도견 4종류, 삽사리 4종류, 풍산견 5종류, 이스트라이카와 웨스트라이카(Canis familiaris) 각 2종류, 회색늑대(Canis lupus) 2종류, 코요테(Canis latrans) 2종류의 단상형을 얻었다. 한국, 일본, 중국, 유럽의 견품종 사이에 지역의 차이로부터 오는 변이성(1.4%)은 동일 지역에 서로 다른 품종들 사이의 변이(16.2%) 보다도 매우 적은 변이를 보이고 있었다. 개의 조상으로 여기는 늑대와 오늘날 개의 집단과의 염기서열 분산성분 분석에서 개(1.63%)와 늑대(3.64%)의 집단내 변이보다는 개와 늑대 사이의 진단간 변이(4.51%)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값을 근거로 하면 개와 늑대사이에 유전적 분기시기는 약 1~2백 만년 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염기서열의 변이성과 유연관계분석에서 제주견, 진도견, 풍산견, 삽살견 모두 독특한 계통분기를 형성하지 못했다. 즉 이러한 결과는 국내 토종견들 사이와 또는 유입된 외래품종들 사이에 오랜 세월 동안 서로 상당한 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제주견에서는 삽살이, 진도견, 풍산견의 염기서열과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이는 단상형들이 산포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제주견 집단이 우리나라 재래종들과의 모계조상에 있어서 구분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주견이 집단으로 고정정도를 가늠하는 Fixation index인 Fst값은 진도견, 풍산견, 삽살견 가운데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려해상국립공원 통영지구의 현존식생 및 식생구조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ongyoung District in Hallyo-Haesang National Park)

  • 오구균;추갑철;지용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7-330
    • /
    • 1999
  • 한려해상국립공원의 통영지구와 욕지도에서 현존식생과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1998년 7월에 37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지의 식생은 지리적 격리와 인위적 교란에 의해 지역간 식생구조가 상이하였다. 대상지의 식생은 곰솔림, 곰솔 - 소나무와 낙엽활엽수가 경쟁하는 혼효림, 낙엽활엽수림, 곰솔 - 소나무와 상록활엽수가 경쟁하는 혼효림, 상록활엽수림으로 총 5개 그룹으로 대별되었다. 조사대상지 대부분의 현존 식생은 곰솔림으로 이루어졌으며, 상록활엽수림은 추봉도, 용초도, 비진도, 욕지도, 유재도에 작은 면적으로 분포하였다. 통영지구와 욕지도의 식생구조는 소나무, 곰솔, 낙엽활엽수에서 구실잣밤나무 등을 거쳐 참식나무, 후박나무, 생달나무로 식생천이가 예상된다.

  • PDF

진도개의 장에서 발생한 pythium증의 증례보고 (Enteric pythiosis in a Jindo dog)

  • 손용성;김대용;권오경;서일복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47-451
    • /
    • 1996
  • A case of enteric pythiosis in the jejunum is reported in a 28-month-old, male Jindo dog. Grossly, a 20cm segment of the cranial jejunal wall was markedly thickened to a thickness of 10cm and the lumen was narrowed.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jejunum reveals transmurally affected multifocal to coalescing granulomatous inflammation. The granulomatous foci were composed of a necrotic center with neutrophilic infiltration and occasionally non-parallel, branching, septate hyphae surrounded by numerous epithelioid macrophages, multinucleated giant cells, lymphocytes and fibrosis. Multinucleated giant cells occasionally contain fragment of hyphae. The diagnosis was based on light microscopical studies and positive PAS and immunostaining for Pythium insidiosum. This is believed to be the first reported case of canine enteric pythiosis in Korea.

  • PDF

진도개에 발생한 주관절 내측갈고리돌기 단열 (Fragmented Medial Coronoid Process in a Korean Jindo)

  • 김상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16-419
    • /
    • 2004
  • A 9-month-old castrated male Korean Jindo was presented for evaluation of a progressive left forelimb lameness of 4 weeks' duration. On physical examination, the dog showed moderate weight bearing lameness on the left forelimb. Firm and mild swelling was palpated, and range of motion was decreased in the left elbow. Signs of pain were elicited by gentle flection and hyperextension of the left elbow. On radiographs, fragmentation of the medial coronoid process with moderate secondary degenerative joint disease was found. The bone fragments could be seen more clearly on stress radiograph of the left elbow joint which was taken while flexing the elbow and inwardly rotating the antebrachium. A medial elbow arthrotomy was performed, and the loose fragments were removed from the coronoid region. Left forelimb lameness improved markedly after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