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접 접촉 열교환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공기조화기내 메쉬삽입 물-공기 직접접촉의 열전달 특성 연구 (Air Handling Unit Utilizing Water/Air Direct Contact Heat Exchanger with Mesh)

  • 전용한;김종윤;김남진;서태범;김종보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75-80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nhancement of heat transfer by mesh in water/air direct contact air conditioning system. Mesh is inserted as a turbulent promoter in front of the water injection nozzle.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with and without mesh an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inserted mesh and mesh porosity size have been studied experimentally. Inserted mesh improves heat transfer efficiency compared to non~inserted mesh system and heat transfer efficiency increased as the number of mesh is increased. Meanwhile, heat transfer efficiency decreased as the porosity of the mesh is increased. With inserted mesh, inlet and outlet temperature difference of air increased more than 50%. Heat exchange time of water/air to reach the 100% humidity decreased less than 30%. This result shows inserted mesh can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water/air direct contact air conditioning system.

CKD 추출액내 KCl 제거를 위한 이온교환수지 조업조건 최적화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Ion Exchange Resin operating conditions for removal of KCl from CKD extract)

  • 장영희;이예환;김지유;박일건;이주열;박병현;김성철;이상문;김성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088-1095
    • /
    • 2019
  • CKD 추출액은 시멘트공정에서 발생한 폐기물인 CKD를 시멘트 원료로 재사용하기 위해 공정 방해물질로 작용하는 KCl을 추출한 폐수이며, 폐수처리시설 증설 등의 문제로 추출액 무방류 및 이를 재이용하고자 하였다. 이온교환법을 적용하여 KCl을 제거한 결과, 이온교환 후 추출액의 pH는 12.7에서 pH 2 미만으로 감소하였으며 양이온교환수지의 H+가 이온교환을 거쳐 추출액에 용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온교환의 선택성에 의해 Ca2+, K+ 순서로 제거되었으며, K+ 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접촉시간의 증가가 필요함을 판단하였다. 이온교환수지와 직접접촉시간이 약 6배 높은 접촉시간을 갖는 회분식장치에서 연속흐름식장치 대비 4배 높은 K+ 제거 효율을, 7배 높은 Cl- 제거 효율을 확인하였다. 양이온교환수지의 H+가 음이온교환수지의 OH- 대비 1.2배 빠른 교환속도를 가짐을 추출액 pH 변화를 통해 확인하였다.

다단 물유동층 열교환기에 의한 보일러 배가스의 폐열 회수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Recovery from Boiler Exhaust Gas with Multi-stage Water-fluidized-bed Heat Exchanger)

  • 김대기;박상일;김한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5권12호
    • /
    • pp.1776-1783
    • /
    • 2001
  • Heat recovery from boiler exhaust gas with multi-stage water-fluidized-bed heat exchanger is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covered energy here is not only sensible heat but also latent heat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In this system direct contact heat transfer occurs while exhaust gas passes through water bed and the thermal energy recovered this way is again delivered to the water circulating through heat exchanging pipes within the bed. Thus the thermal energy of exhaust gas can be recovered as a clean hot water. A computer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predict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the system. The results of experiments performed in this study agree well with the calculated ones. The heat and mass transfer coefficients can be fecund through these experiments. The performance increases as the number of stage increases. However at large number of stages the increasing rate becomes very low.

태양열 활용 증발기의 성능 향상을 위한 국소적 젖음성 제어에 관한 실험적 연구 (Performance Enhancement of Solar-Driven Steam Generator by Local Wettability Control)

  • 최진욱;서용원;모형욱;김설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2호
    • /
    • pp.255-259
    • /
    • 2022
  • 태양광을 이용한 증기 발생 방법은 순수한 물이 고갈되는 현재 사회에서 해수나 폐수에서 물을 수확할 수 있는 매우 유망한 기술이다. 태양광을 이용한 증기 발생 중에서 멤브레인을 이용한 증류법은 현재 개발 중에 있지만 멤브레인이 물과 직접 접촉하여 효율적인 증발량을 늘리기가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PDMS (polydimethylsiloxane)와 산화 그래핀(GO)으로 구성된 태양열 멤브레인 증기 발생기와 부분적으로 멤브레인 전체에 절친 젖음성 제어를 통해 증발량을 개선하는 것을 제안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했다. 국부적인 젖음성 제어로 태양광과의 열교환 영역에서 열 국지화 및 온도 상승에서 상당한 개선을 보여주었다. 1sun(=1000 W/m)의 조사에서 1.54 kg m-2 h-1의 증발 능력을 갖습니다. 그 결과, 태양열 멤브레인 증기 발생 시스템은 국부적인 물 회수 성능 메커니즘을 이해 및 실험적 확인을 수행할 수 있었다.

겔 상태의 미세 잠열 축열재 혼합수의 기액직접접촉식 열교환법에 의한 방열 특성 (A Study on the Heat Release Characteristics of Gel Type Micro Siz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Slurry with Direct Contact Heat Exchange Method)

  • 김명준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8권4호
    • /
    • pp.618-623
    • /
    • 2004
  • This paper has dealt with the heat storage characteristics of gel type micro siz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slurry. The heat release operation to the gel type micro siz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slurry was carried out using hot air bubbles by direct contact heat exchange.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phase change material of n-paraffin so the heat release amount is higher than cold water system. The parameters of this experiment were concentration of latent heat phase change material, height of heat release bath and inlet velocity of hot air. The main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1) The effect of concentration of latent heat phase change material dispersed with water is very affective to the direct contact heat exchange between hot air and gel type micro siz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slurry. (2) It is clarified that the most effective concentration of latent heat phase change material dispersed with water exists around 20mass% at this type of direct heat exchange model experiment.

태양열 이용 냉난방 공조시스템 중 전열교환기 성능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Performance of Total Heat Exchanger in a Solar Air-Conditioning System)

  • 김광호;최광환;금종수;김보철;김종렬
    • 태양에너지
    • /
    • 제19권4호
    • /
    • pp.45-53
    • /
    • 1999
  • 본 논문은 태양열을 구동원으로 하고 액체흡수제인 염화리튬(LiCl) 용액을 이용하여 제습/냉방 및 난방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루는 태양열 이용 냉난방 공조시스템 중 여름철 전열교환기의 제습/냉방에 관한 성능실험 결과이다. 여름의 고온다습한 실내공기는 휀에 의해 전열교환기로 유입되어 충진층에서 살수된 LiCl 용액과 직접 접촉하여 제습/냉각된 후, 건조공기로 바뀌어 실내로 취출된다. 한편 수분을 흡수하여 저농도 용액으로 변한 LiCl 용액은 재생기에서 태양열에 의해 다시 고농도 용액으로 바뀌어 흡수포텐셜을 갖는다. 본 실험에서는 형상 및 크기가 다른 3가지 충진재를 사용하여 전열교환기의 제습성능을 비교하였으며, 절대습도기준 총괄 물질전달계수인 $k_xa(kg/m^3h{\Delta}x)$로써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특히 $k_xa$값은 액체흡수제 유량, 공기 풍량, 충진재 형상 및 충진층 높이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실험한 결과, 풍량은 $k_xa$값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나, 유량은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충진재의 형상에 따른 비교 실험에서 충진재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충진층 높이의 영향이 컸으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높이에 의한 영향이 직경이 큰 경우보다 작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k_xa$값을 충진재 형상 및 충진층 높이에 따라 정지하면 최적 전열교환기 설계 및 제작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알았다.

  • PDF

연료전지 응용을 위한 실리카 성분을 함유하며 표면불소화된 PVA/PSSA-MA 막의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VA/PSSA-MA Electrolyte Membranes Containing Silica Compounds and Surface Fluorination for Fuel Cell Applications)

  • 김대훈;이보성;임지원
    • 폴리머
    • /
    • 제34권6호
    • /
    • pp.540-546
    • /
    • 2010
  • 본 실험실에서 연구되어진 poly(vinyl alcohol)(PVA)/poly(styrene sulfonic acid-co-maleic acid) (PSSA-MA) 이온교환막에 메탄올 투과도 감소를 위하여 실리카기를 함유하고 또한 프로톤 도너 역할을 할 수 있는 3-(trihydroxysilyl)-1-propanesulfonic acid(THS-PSA)를 도입하여 가교된 PVA/PSSA-MA/THS-PSA 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막의 내구성 향상을 위하여 500 ppm $F_2$ 기체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라 직접불소화를 실시하였으며, 불소기의 도입에 따른 막의 물리화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접촉각 특정, 열 중량분석 및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XPS)를 통해 확인하였다. 표면불소화된 PVA/PSSA-MA/THS-PSA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함수율, 이온교환용량, 이온전도도, 메탄올 투과도 측정을 실시하여 상용화된 Nafion 115와 비교하였다. 불소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도입된 불소의 함량은 최고 4.3%의 함량과 50 nm의 침투 깊이를 나타내었다. 불소화 시간이 60분 경과했을 때 이온전도도는 0.036 S/cm으로 Nafion 115의 0.024보다 향상되었으며, 메탄올 투과도는 $9.26E-08cm^2/s$으로 Nafion의 1.17E-06보다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MEA를 제작하여 전류밀도에 따른 셀 전압을 측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