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장생활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2초

맞벌이 부모의 직장보육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태도와 복지향상 기대 (Attitudes and Expectations of Well-being Improvement toward the Employer-supported Day Care Service of Dual-earner Parents)

  • 김선애;한유진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51-363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dual-earner parents' attitudes toward the employer-supported day care service and their expectations of well-being improvement.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271 dual-earner coup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ual-earner pare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employer-supported day care service. 2)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was observed in dual-earner parents' attitudes toward the service: Mothers displaye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fathers. Also, either being positive or negative in the attitude differed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income and job. 3) Parents' attitude toward the day care servi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xpectations of well-being improvement.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hey showed about the service, the more expectations of well-being improvement they reported, and vice versa. 4) Positive (employers, parents, children) and negative (parents) attitudes were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parents' expectations of well-being improvement.

  • PDF

중장년 근로여성의 생활특성에 기초한 복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Progra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or-old aged Woman Workers)

  • 한혜빈;정순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5권
    • /
    • pp.375-397
    • /
    • 1998
  • 본 연구는 제조업 분야에서 일하는 중장년 근로여성의 생활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들을 위한 복지 프로그램 개발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경기도에 있는 7개의 도시와 2개의 군이 편의상 본 연구를 위한 조사대상지역으로 선점되어 총 471명의 여성근로자들에 대한 자료가 수집되었고, 자료분석은 주로 기술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먼저 중장년 근로여성들의 가족구조적 특성을 보면 대부분 핵가족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고생의 자녀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녀들에 대한 지원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다음으로 중장년 근로여성들이 일하고 있는 직장의 복지적 현황을 보면 식당이외에는 복지시설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장외의 다른 곳에서 복지 프로그램을 찾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직장내의 복지적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해석된다. 끝으로 중장년 근로여성들이 바라는 복지 프로그램은 알뜰구판장, 의료서비스, 그리고 상담서비스 등이었다. 결론적으로 중장년 여성근로자들을 위한 복지 프로그램의 개발은 그들의 가족구조와 작업장내 복지시설, 그리고 복지욕구의 충분한 고려하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PDF

직장에 복귀한 암 생존자의 직장 생활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Working Life of Cancer Survivors after Return to the Workplace)

  • 진주현;이은주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03-214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working life of cancer survivors (QWL-CS) after return to the workpla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54 cancer survivors from May 16 to June 23, 2018.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candidates from two different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snowball sampling was used in parallel.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Mean score of QWL-CS was $4.39{\pm}0.59$. QWL-C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tigue, and job stress: however,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workplace spirituality.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QWL-CS was job stress (${\beta}=-.36$, p<.001), followed by fatigue (${\beta}=-.35$, p<.001), workplace spirituality (${\beta}=.35$, p<.001), number of currently cancer treatment (${\beta}=-.15$, p=.009), and number of children (${\beta}=.12$, p=.031).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s was 54%. Conclusion: Effective and practical intervention programs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working life are required to be provided to cancer survivors after return to the workplace in accordance with job stress, fatigue, workplace spiritual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ncer survivors such as number of currently cancer treatments and number of children.

직장주도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직장인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아동보호전문기관 쉼터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eaning of Volunteering based on Worker's Experience : With Volunteers at a Shelter of Child Protection Agency)

  • 박병금;노필순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1호
    • /
    • pp.5-35
    • /
    • 2009
  •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직장인들의 자원봉사활동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질문은 "직장인이 경험한 자원봉사활동의 의미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 참여자는 7명이며, 연구 자료인 면접 촬영 비디오는 현상학적 방법 중 Colaizzi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장인들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은 18가지의 주제와 6가지의 범주로 추출되었다. 6개의 범주는 '한 발 내딛음', '한 걸음 다가감', '함께 스며듦', '더불어 함께함을 알아감', '회사생활의 여유를 찾음'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이 경험한 자원봉사활동의 의미는 더불어 사는 사회에서 이웃을 알아가는 과정이고,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자신의 생활이 서서히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장인 자원봉사활동 경험의 내용과 과정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킴으로써 사회복지분야의 인적자원을 증진하고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에 있어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내부마케팅 관점에서 본 퇴직예비교육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tiremen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l Marketing)

  • 박주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5호
    • /
    • pp.149-169
    • /
    • 2015
  •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시기가 도래함으로써 퇴직(예비) 종업원들에 대한 기업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실제 많은 기업들이 다양한 교육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퇴직관련 교육프로그램 지원은 은퇴하는 개인적 차원에서도 중요할 뿐 아니라 현직 종업원 관리차원에서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내부마케팅 관점에서 퇴직예비교육이 현직 종업원들의 직장만족, 퇴직불안, 직무동기부여,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관계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퇴직예비교육을 제공하고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교육, 재취업교육, 재테크교육은 종업원의 직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퇴직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가생활교육은 직장만족과 퇴직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장만족은 직무동기부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퇴직불안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동기부여는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실무적, 이론적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 PDF

세대별 개인·직무차원 만족이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 직장(일자리)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Job-Level Satisfaction by Generation on Turnover Inten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Satisfaction)

  • 김기찬;장신철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55-167
    • /
    • 2023
  • 이직은 노동시장에서 중요한 화두이며, 최근에는 다양한 세대들이 함께 일을 하면서 세대간의 마찰 등으로 인하여 조직 관리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세대별로 개인차원의 변수(미래전망, 생활만족)와 직무차원의 변수(전공-일 수준, 직무만족)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장만족의 매개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노동패널 제22차 자료를 활용하여 관련 변수를 선정하고, SPSS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차원의 변수가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직장만족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차원의 변수가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직장만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Z세대는 다른 세대와 다르게 직무차원의 직무만족의 변수만 이직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직장만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의 다중매개효과: 스마트워크 환경의 조절된 매개효과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on the Effects of Job Crafting on the Job Satisfacti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martwork Enviroment)

  • 윤병선;김미연;김천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31-245
    • /
    • 2022
  • 인간은 살아가면서 대부분 직장생활을 하게 되고 직장생활을 통하여 삶을 이어간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시장에서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지식공유행동, 혁신행동, 스마트워크 환경 변수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남녀 집단으로 구분하여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설문에 응답한 직장인 453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SPSS 26.0과 Amos 26.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모형분석, 다중매개효과, 다중집단 분석과 스마트워크 환경 조절효과는 Process macro model 7번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잡크래프팅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둘째, 잡크래프팅은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지식공유행동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혁신행동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의 매개변수에 대하여 지식공유행동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지만 혁신행동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스마크워크환경의 조절효과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섯째,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하여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큰 영향을 주었다.

직장역경과 직무열정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창의성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Workplace Adversity and Job-Related Pass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Related Creativity)

  • 임재성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4호
    • /
    • pp.193-20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생활과정에서 직장역경으로 자원이 소진되거나 직무열정을 통해 자원이 획득하는 직장인이 창업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어떠한 경로를 통해 창업의도가 생성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직장인 대상으로 직장역경 및 직무열정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또한 직장역경과 직무열정이 직무창의성의 매개를 통해 창업의도 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함으로써 직장인이 창업으로 전환되는 요인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로 확보한 333명의 data를 근거로 SPSS와 AMO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역경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직장역경이 오히려 창업의도를 높이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장역경은 직무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직장역경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직무창의성이 효과적인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직무열정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확보된 자원을 집중하고자 열정이 창업의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직무열정은 직무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창의적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직무창의성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창의성은 창업 전에 선행되는 의도나 행동으로서 직무창의성이 높은 경우 창업에 성공 가능성에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직무창의성은 직장역경과 창업의도 간의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일곱째, 직무창의성은 직무열정과 창업의도 간의 사이에서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직무창의성은 창업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직장인의 역경을 완화시키고 직무열정을 증가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학문적으로는 국내에서 직장인 대상 역경 관련 선행연구가 거의 없었는데 본 연구에서 직장인 대상 연구라는 점에서 차별화 및 연구대상을 확장시킨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부정적인 직장역경도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직장인 경력관리 측면에서 부정적인 역경적 상황도 직장 경험이 반영된 창업이 대안으로 작용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어 실무적으로 의미가 있다.

  • PDF

혈액투석 대상자의 직장생활 경험 (Work Experience of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 박민선;김미영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9-158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gain understanding of what career and related experience mean to individuals undergoing hemodialysis. Methods: Ten male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collection took place between November 18, 2008 and February 10, 2010, via unstructured interview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and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1978) was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The significance the participants found in their "dual" life as worker and dialysis patients was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Recognition of self-existence value', 'My health comes before my work', 'Being afraid of stigma', 'Limitation of restricted work', and 'Difficulty with time management.'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dialysis patients showed ambivalent feelings towards their careers, hoping they will be able to continue to work yet fearing that the continued work might break balance the between their livelihood and healing.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hours for hemodialysis be more flexible to ensure that patients can keep their jobs and better manage their time while undergoing treatment.

동맥성 흉곽출구 증후군 -1례 보고- (Arterial Thoracic Outlet Syndrome - a case report-)

  • 이철범;함시영;정원상;김영학;강정호;이홍기;박충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9호
    • /
    • pp.903-906
    • /
    • 1998
  • 양측의 불완전한 경추 늑골을 가진 17세 남자 인쇄공이 10일 전부터 좌측 상지를 약 45도 외향시킬 경우 즉시 심한 통증, 파행, 창백증, 상지의 무기력증이 나타나고, 90도 이상 외향시키면 증상이 악화되어 직장생활을 전혀 할 수 없이 무능력해졌다. 체위변화 쇄골하동맥 조영술상 상지의 90도 외향시 경추늑골 직하 부에서 동맥의 완전 폐쇄 소견을 나타내었다. 쇄골상 절개와 쇄골하 절개의 병용으로 앞경추늑골근절제술, 중간경추늑골근 부분절제술, 경추늑골절제술, 제1 늑골절제술, 동맥박리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증상이 소실되어 직장에 복귀하였고 술후 10개월인 현재 까지 증상이 없이 지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