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업건강

Search Result 1,34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Influences of Work and Family on the Married Female Workers' Health (기혼 여성노동자의 건강에 미치는 직업특성과 가족특성)

  • Park, Soo-Mi;Han, Sung-Hyu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2
    • /
    • pp.155-175
    • /
    • 2004
  • 이 연구는 여성의 삶의 질에 '일'과 '가족'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여성의 '신체적${\cdot}$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일'과 '가족'의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이 연구는 생산직 및 사무직에 종사하는 기혼 여성 902명에 대한 설문지 면접조사결과를 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혼여성노동자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직업특성${\cdot}$가족특성의 영향력에 변별성이 발견되었다. 가족특성이 기혼여성노동자의 정신건강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직업특성은 이들의 신체적 건강${\cdot}$정신건강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여성들에게 직업이 갖는 의미가 재해석되어야 함을 암시하였다. 분석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스트레스'의 효과처럼 동일한 변수가 성별로 상이한 효과를 미친다는 사실에서 '일'에 대한 성별화된 사회규범이 해체되어야 한다. 둘째, 여성의 연령 증가, 자녀수 증가에 따라 정신건강이 좋아진다는 결과에서 여성에게 '가족'과 '일'의 갈등적 측면 못지않게 지원적 측면이 강화되고 있다. 셋째, 기혼여성노동자의 건강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가정형편' 변수로서, 건강의 계층화 현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저소득층에 대한 각별한 건강복지정책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직장인 건강, 이렇게 지킵시다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12 no.5 s.114
    • /
    • pp.14-22
    • /
    • 1988
  • 오늘날의 사회에서 일정한 시기가 되면 직업을 갖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사회가 복잡다양해 지면서 직업을 갖는 것도, 자신의 직업을 충실히 엮어 나가는 것도 쉽지 않은 것 같다. 모든 것이 갈수록 치열한 경쟁 속으로 치닫고 있는 상황에서 직장인들은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이리뛰고 저리뛰고, 그런 사회관계 속에서 온갖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그뿐이랴! 업무상 어쩔 수 없이 마시게 되고 스트레스 푼다고 또 한잔하게 되는 술, 돌아가지 않는 머리 회전을 위해 빨아대는 담배들. 그러나 직업이란 대체 무엇인가! 편안히 먹고살기 위한 과정이요 수단(?)이 아닐까? 그렇다면 스스로 돌보지 않은 건강에 누가 관심을 가져 주겠는가. 숨돌릴 틈도 없이 쌓여오는 일 속일지라도 단 1분만이라도 고개를 들 수 있는 여유를 갖고 나의 건강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생각해 봐야겠다.

  • PDF

Analysis of workers's percep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 Park, Jeong-Hwa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12
    • /
    • pp.253-259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to confirm the percep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by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vocational ability for the mentally disabled, family support, worker competence, and worker needs, targeting 132 workers at th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and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y, which are mental health service institutions in A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echnical knowledge, t-test, ANOVA, Scheff?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1.0 program. In the end, the workers' desire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of workers in mental health service institutions was higher in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an in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and the competence of work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vocational skills and family support of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ultimately promote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by strengthening the capacity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the mentally handicapped of mental health service provider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