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물유형과 문양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7초

남성 트렁크 팬티용 문양의 감성 연구 (An emotional study on the pattern of men's trunk pants)

  • 권영아;공진희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1-234
    • /
    • 2009
  • 남성 속옷은 신체 보호의 기능이 중요하지만 운동이나 거실 생활에서 속옷노출이 일반화됨에 따라 개성과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패션 아이템으로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남성 속옷 시장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감성과 이미지를 파악하고 소비자가 선호하는 감성요구에 부합하는 소재 특성이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져 소비자가 원하는 속옷 제품개발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용 속옷 문양디자인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남성 트렁크 팬티용 문양의 감성 이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시판하는 트렁크 팬티 중 문양의 형태 및 크기, 색상을 달리한 50 종을 수집하였고, 이중 25 종의 트렁크 팬티용 문양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감성평가를 2009년 4 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20 대 남녀 22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주관적 감성평가를 위해 직물 문양 선호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빈번하게 출현되는 26 개의 감성 형용어를 추출하였다. 감성 형용어를 7 점 척도로 문항화하여 설문지를 구성하고 설문지와 함께 25 종의 팬티 자극물을 보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 요인분석 분간분석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남성용 트렁크 팬티의 문양에 관한 감성 형용에는 '고급성', '활동성', '단순성', '호화성', '성숙성'의 요인으로 요약되었으며, 문양의 고급 감성 및 활동적 스타일이 트렁크 팬티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트렁크 팬티의 색상 및 문양 유형이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는데, 남성 트렁크 팬티에 사용될 수 있는 무채색 계열의 고급스러우면서 단순한 도형 문양 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조선시대 $16{\cdot}17$세기 출토복식의 직물유형 및 문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brics and Pattern of the Excavated Costume During $16{\cdot}17th$ Century in Joseon Period)

  • 임현주;조효숙
    • 복식
    • /
    • 제54권8호
    • /
    • pp.113-128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textiles used for ancient costumes of the $16{\cdot}17th$ century in Joseon period, focusing on fabric types and patterns of the costumes from tomb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brics and social backgrounds, especially change in using fabrics through the war from Hidyoshi's Invasion of Korea in 1592. Since the war must have had an effect on the life of people's.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at silk occupies $69{\%}$ of all textiles, and cotton, linen follow The weaving method of silk was primarily Plain and satin weaves. However the use of twill, gauze, and double weave, that had led weaving methods of silk during the Koryo Period, were considerably decreased in Joseon Period. Types excavated fabrics in the $16{\cdot}17th$ century Joseon period can be said various. Of this, silk was the most remarkable one till Hidyoshi's Invasion of Korea in 1592, when the ratio of patterned silk dramatically decreased. Contrarily, the ratio of cotton and plain fabric increased rapidly in Hidyoshi's Invasion of Korea in 1592. It is supposed that the result is largely due to unusual condition of the war time. After the war, it is estimated that use of pattened fabric as well as silk was decreased. Patterns of textile fabrics in $16{\cdot}17th$ century were various. In result of surveying a trend of increment and decrement, it is known that the ratio of patterned textile fabrics decreased dramatically in Hidyoshi's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Manchu war of 1636. Tendency of textile use by social Position is more notable. It is appeared that a lot of silk fabrics were used in High hierarchy. The excavated remain and ratio of silk were the highest in Kyonggi Province including Seoul.

16~17세기 직물유형과 문양의 배치구도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출토복식에 나타난 화문직을 중심으로 - (Arrangement Methods of Pattern and Weaving Types of Fabrics During 16~17th Century - Centering Flower Patterned Fabrics of Exhumed Clothing in Chosun Dynasty -)

  • 박문영;김호정;박옥련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00-40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arrangement methods and weaving types of fabrics during 16-17 century. Research was done through the references of exhumed clothing in Chosun Dynesty. Seeing the waving types of fabrics of flower patterned fabrics of total 108 items, satin damask(Dahn) was 71items, took the majority. And the next order was twill(Neung) and plain(Ju). It means Dahn was the most popular fabric among the upper classes. It was regarded as one of the noble textiles, because of its luxurious appearance and pleasant touch. Flower patterned plain fabric(Munju) was found only 9items, even though the plain fabric was the most common used type. Assumed for the reason, Chosun government had restrict to extravagance of the people. In terms of the arrangement of flower pattern, i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ethods. The most common arrangement method was Arabesque type, followed by open order shaped type and scattering shaped type. In the repetition of pattern, there were brick-shaped pattern and half drop pattern which were spread flower pattern all over the surface of fabric.

의복의 문양에 따른 의복 및 직물 선호 - 포카다트, 스트라이프, 체크 문양을 중심으로 - (Effect of Motif Designs on Preferences and Image Perception)

  • 이소라;김재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5권2호
    • /
    • pp.193-20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ects of textile motifs and the application methods on wearer's image percep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total of 255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residing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The stimuli were composed of 2 level tones(dark and light), 3 level complexity(simple, medial and complex), 3 patterns(polka dot, stripe and check) and the 2 way of stimuli application methods(fabric and garment).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preference of stimuli consisted of 4 items, encouraging, preference, purchasing and popularity.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image of stimuli consisted 24 pair items. Factor analysis for the adjective pair images(24 inquiries) about the textile patterns which were used in this study was performed. It resulted as three factors which are attraction, salience, and potential. Attraction, salience, and potency dimension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application methods and patterns. And tone and application method effected attraction and salience, tones and patterns effected attraction, tones and complex effected salience. Application methods and patterns effected potential and patterns and complex effected salience. The preferences toward stimuli, it resulted only interaction of tones and patterns affected the preferences('total preference' and 'purchasing').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relation of images of clothing and preferences. As a result, salience was significant relation with attraction and potency. In correlation between image of textile pattern and preference, attraction is most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prefer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used for the marketing strategies of the motif in fashion product.

  • PDF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구름문양의 유형과 특성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louds-Shaped Pattern)

  • 장현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69-176
    • /
    • 2004
  • The clouds-shaped pattern is originated from Tao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It stands for good-luck, longevity and productivity. It has been used on its own or with other patterns since the ancient times. It also has various forms. It particularly was used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patterns as a typical good-luck pattern, representing auspiciousness, divine authority, and so on in Chosun dynasty. The pattern, according to its component parts, is classified as individual type and compound type, which is mixed with other patterns such as treasure pattern, plant pattern, letter pattern, or animal pattern. For both individual type and compound type, swastika-shaped cloud pattern was mostly used. For compound type, the pattern compounded of treasure pattern was extraordinarily used a lot. In terms of the arrangement, the most common arrangement methods were brick-shaped arrangement and dense type arrangement, the arrangement method that spreads the patterns all over the surface. Among the fabrics with clouds-shaped pattern, satin damask fabrics had the majority. Clouds-shaped pattern was used a lot in men's Po(coat), such as Dahnryoung, Jiknyoung, Chollik, etc. rather than in women's clothes. It was a typical pattern used in Dahnryoung, an official uniform that represented people in the highest class in Chosun dynasty. The divine power symbol of this pattern indicated the authority and dignity that the upper class people could have.

정조대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의 관직자 복식 고증 (Features of the Costumes of Officials in the King Jeongjo Period Seojangdaeyajodo)

  • 이은주;김영선;이경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2호
    • /
    • pp.78-97
    • /
    • 2021
  • 1795년 윤2월 12일 서장대에서 행해진 군사훈련을 그린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를 중심으로 관직자의 유형별 복식과 유형별 복식의 구성에 따른 특징을 고찰하였으며 고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장대 안팎에서 왕 가까이에 위치한 관직자는 모두 34명인데 당상관 27명, 당하관 7명이었다. 34명 관직자의 복식 유형은 모두 3종으로 갑주·융복·군복으로 분류되었는데 그 중 갑주 착용자 12명은 모두 당상관이었고, 융복 착용자 5명은 당상관이었으며, 군복 착용자는 당상관 11명과 당하관 6명이었다. 둘째, 갑주의 형태 고증은 말 타기에 적합한 여반 장군의 갑옷 유물과 『무예도보통지』의 갑주 그림을 참조하고, 착용의 실용성을 고려하여 갑옷의 구성품을 정하였다. 갑주의 구성품은 투구, 갑의, 갑상, 호항, 호액, 비갑에 골미를 추가하였다. 갑주 색상은 <서장대야조도> 갑주에서 가장 표현 빈도가 높은 홍색과 녹색으로 고증하였다. 셋째, 당상 융복의 구성은 호수를 장식한 주립, 남색 철릭, 홍색 광다회, 정, 수화자로 고증하였다. 넷째, 군복 구성은 안을 올린 전립, 동다리, 전복, 요대, 전대, 수화자로 고증하였다. 군복에서 당상과 당하의 직물차이는 문양의 유무에 있었는데 당상관은 운보문 직물을, 당하관은 문양이 없는 직물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당상관은 장식품의 세부 재료에서 옥과 금, 은을 사용하였다. 그 외에 무기는 시복, 환도, 등편, 비구와 깍지 등을 갖추었다. 정조대 기록에는 다양한 색의 협수가 보이므로 당상관과 당하관의 동다리와 전복 색상은 다양한 배색으로 고증하였다. 이상의 고증 결과를 반영하여 콘텐츠 제작을 위한 복식의 시각화 자료로 제시하였다. <서장대야조도> 관직자 복식의 고증 결과를 반영한 시각화의 기본 원칙에서 3D 콘텐츠 제작이나 실물 제작이 가능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시대와 신분에 따른 형태·색상·재질의 견본, 각 복식과 지물을 패용한 앞·옆·뒤 모습을 제시하고 색상은 RGB와 CMYK로 제시하였다.

고려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의 제작기법 고찰 및 원형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prototype of the mother-of-pearl chrysanthemum pattern box from the Goryeo Dynasty)

  • 이희승;이민혜;김성훈;이현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1호
    • /
    • pp.126-144
    • /
    • 2024
  • 고려시대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미세한 자개표면에 문양을 세기거나, 금속선을 이용해 넝쿨의 줄기를 표현하고, 금속선을 꼬아 각 문양의 경계를 구성하는 등 고려나전칠기의 대표적인 특징이 아주 세밀하게 표현되어있다. 현재 남아있는 고려시대 나전칠기는 경함 및 합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반면 이번 연구대상인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뚜껑과 몸체가 분리되는 상자의 형태를 하고 있어 제작목적 혹은 보관된 내용물을 추정하기 어려웠다. 이번 연구에서는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의 원형을 확인하기 위해 조형적인 특징을 확인하고, X선 투과촬영과 X선 형광분석을 통해 구조와 제작기법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기존에 알려진 고려시대 나전칠기를 유형별로 분류 및 비교분석해 상자의 용도와 제작목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X선 이미지 상 바닥면과 속상자에서 직물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기물을 직물로 감싸는 목심저피칠기기법이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목리를 통해 복원부분으로 추정되는 부분의 판재구성과 기존 장석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결구부에서 맞대임 방식으로 연결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양에 사용된 금속선은 X선 형광분석 결과 황동으로 판단된다. 조사결과를 근거로 현재 남아있는 고려시대 경함류 9점, 상자류 3점, 소상자류 2점 등 총 14점을 유형별로 분류해 유사성을 조사하였다. 이중 일본 개인소장 국화넝쿨무늬경함, 도쿠가와미술관 흑칠지국당초문나전경상, 영국박물관의 나전국당초문경함, 국내소장 나전칠국당초문합(소상자) 등 5점의 문양구성이 본 연구대상과 가장 유사하였다. 그리고 손상양상, 조형적 특성, 구조적 특징 등을 부위별로 대조한 결과 영국박물관의 나전국당초문경함의 형태가 나전넝쿨무늬상자의 원형으로 현재 형태로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이번 상자의 용도, 즉 제작목적을 확인하기 위해 당시 고려의 사회분위기와 비슷한 시기 제작된 고려대장경 인경본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당시 무신정권 이후 몽골의 침입을 겪으면서 국가의 안정과 개인의 명복을 빌기 위한 사경이 출현, 그리고 13세기 국내 인쇄술과 종이의 발전으로 점차 두루마리에서 절첩식 형태로의 전환기와 맞물려 경함에서 상자의 형태로 보관방식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시대 직물에 나타난 동물문양의 유형과 특성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nimal Patterns Used on fabric of Chosun Dynasty)

  • 장현주;하종경
    • 복식
    • /
    • 제55권5호
    • /
    • pp.65-77
    • /
    • 2005
  • This stuffy is to understand the symbolic meaning of Korean traditional animal Patterns, to analyze their figurative characteristics focusing on fabric relics of Chosun Dynasty, and to search their internal beauty as well as their external beauty. Animal patterns can be classified as Individual type, the type that only animal patterns are used, and Compound type, the type that animal patterns are used with other patterns. The Individual type was not found at all. Only the Compound type, compounded with two or three other patterns, were found. Among the other patterns used in the Compound type, botanical patterns and heaven-and-earth-shaped patterns were the majority while letters patterns were rarely used. Bird patterns take enormously large part of the animal patterns. In terms of the arrangement, animal patterns are classified as Dense type, Sparse type, and Picturesque type.'rho three types are almost equal in their quantity. Picturesque type is found comparatively a lot. Animal patterns are much more frequently used in female clothes than in male clothes. For female clothes, they are mostly used in some parts of the clothes with ornamental effect. But, for male clothes, they are mainly used all over the fabric by weaving animal patterns on it. Not just their external beauty, animal patterns have also internally beautiful characteristics, such as keeping away from wicked ghosts, hoping for good luck, emblematic features, having ideological meanings, and so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