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직무 경험

검색결과 489건 처리시간 0.026초

Teacher Training Program Improvement Study of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 Jo, Hoon;Lee, Yonggyu;Sohn, Jungjoo
    • 천문학회보
    • /
    • 제44권2호
    • /
    • pp.67.2-67.2
    • /
    • 2019
  • 이 연구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진행한 2019 하계 교원천문연수의 초급·중급과정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개선방안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교육청에서 인정한 직무연수프로그램인 2019 하계 교원천문연수는 현대 천문학의 동향과 지식을 일선 학교에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연수는 초등교원을 주대상으로 한 초급과정은 2019년 8월 5일부터 7일까지, 중등교원을 주대상으로한 중급과정은 8월 7일부터 9일까지의 일정을 두고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각각의 교육 과정이 교원 직무연수프로그램의 교육 목표를 충분히 따르고 있는지를 알아보자 사전, 사후조사 설문지를 개발하여 초급과정과 중급과정에서 각각 30여명, 2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사전조사 설문지는 기본 인적정보, 연수 참여 동기, 천문 관측 활동 경험 여부에 관한 것으로 10문항이, 사후조사 설문지는 교수 학습 프로그램의 내용면에서 지적 및 정의적 만족도, 진로지도 유용성, 향후 수업 활용성, 개선사항에 관한 것으로 20문항이 개발되었다. 설문조사 결과가 도출 된다면, 본 직무연수프로그램이 내용적인 면에서 교사들의 천문학에 대한 지적·정의적 향상 및 향후 일선 학교에서의 프로그램 보급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어떻게 수정·보완해야할지 개선점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모바일 사용자를 위한 휴대폰 제조회사와 이동통신사의 통합적 사용자 경험 디자인 (Seamless User Experience for Mobile User :Co-Design between Handset Manufacturer and Carrier Service Operator)

  • 반영환;전선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75-178
    • /
    • 2006
  • 1990 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국내 휴대폰의 역사는 불과 10 년 사이에 전체 인구 중 3600 만명 이상의 가입자가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는 모바일 강국으로 발전하였다. 국내 이동통신사들의 다양한 서비스 전략과 단말 제조사들의 다양한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폰은 단순한 전화기능만을 담당하는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에서 다양한 VOD, AOD 서비스들의 도입으로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Entertainment Device)로 발전했고, DMB, TV, MP3, 카메라 등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결합된 컨버전스 기능성 기기(Functional Device)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사용자들은 휴대폰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매체와 디바이스가 결합 된 모바일 환경 속에서 이동통신사와 제조사의 관점에서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나의 통합된 경험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휴대폰을 만드는 제조업체가 수행하는 경험 디자인은 이동통신사에 상관없이, 자사의 경험 통일성(identity)을 강조하게 되고, 이동통신사는 제조업체와 상관없이 자사의 경험 통일성을 강조하게 된다. 통일성 뿐만 아니라 기능이나 직무(task)의 중요성도 다르기 때문에 경험 디자인을 위한 우선순위도 다르게 된다. 이것의 결과는 모두 사용자가 떠 앉게 된다. 즉 사용자의 경험이 복잡해지게 되고 이것은 장기적으로 제조업체 및 이동통신사 모두에게 불이익을 주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제조사와 이통사를 위한 사용자 경험 모형을 세웠고, 각 요소별로 접근 방법의 차이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사용자가 휴대폰 경험에서 혼돈을 적게 하기 위해서는 제조사와 이통사의 인터랙션은 서로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스타일 부문에서는 서로간의 입장차이가 좁히기 쉽지 않으므로 둘 다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방향으로 진행을 한다. 기획단계에서 부터 협력을 함으로써 양사의 갭을 줄일 수 있다.

  • PDF

종합병원 수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경험 (The Experiences of Job Stress on Head Nurses in General Hospitals)

  • 강성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01-509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job stress experienced by head nurses of general hospitals.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10 head nurses with in-depth interviews about their actual experiences. The main questions were when, why, and from whom they get stress in the work field; how they are affected by the stressful situation; and how they cope with this stress. All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consistent comparative data analysis method. Results: Job stress of head nurse was formed by 3 axis; causes, reactions, and coping strategies in complicated situational context such as human relationship, culture of hospital, individu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yields very useful information for nursing mangers to identify, by stages, the demands of the head nurses in their role adaptation proc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ing programs and supportive policies that palliates the head nurses' job stress.

소방공무원의 작업강도 요인 분석에 관한 고찰 (Review - A factor analysis on firefighter's workload)

  • 방창훈;허만동;박은주;권정숙;이준경;이현정;신재숙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309-31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소방공무원 작업강도의 요인을 분석하여 소방공무원의 안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소방공무원의 작업강도에 미치는 내 외적요인들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내적요인으로는 직무와 관련된 정신적 스트레스, 탈수, 체온, 체력과 영양, 외적요인으로는 환경조건, 개인보호복, 작업율과 기간, 경험과 기술 등으로 구분하였다. 소방공무원의 작업강도는 다양한 직무유형과 환경에 따라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나타내며, 각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규명이 어렵고, 요인들에 노출이 장기화 된 후에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이 발생하기도 한다.

  • PDF

간호사의 직무이행도, 업무만족도 및 생산성에 대한 예측인자 (Predictors of Job Performance, Work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among Korean Hospital Nurses)

  • 이해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71-583
    • /
    • 200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s of burnout experienced by Korean hospital nurses (N=198), and to identify predictors of their nursing outcomes such as job performance, work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Metho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predictors of each nursing outcomes. Included predictors were nurses' general characteristics, work- related characteristics (role stress and perceived control), and burnout. Results: Korean nurses experienced higher levels of burnout compared to the cutoffs suggested by Maslach and Jackson (1986) and to those in the USA. For each nursing outcome, predictor variables explained 39% of the variance in role performance, 30% of the variance in work satisfaction, and 38% of variance in productivity. Higher personal accomplishment, lower role ambiguity, being staff nurses, and lower emotional exhaustion were related to higher job performance, and higher productivity. Lower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were also related to higher work satisfaction.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nagemental interventions for nurses to reduce their burnout experience are needed. Further study in this area is warranted.

  • PDF

고객센터 상담사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of Agents in Customer Center)

  • 김희정;박득;복미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177-180
    • /
    • 2014
  • 서비스 산업의 급격한 발전과 더불어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업 간의 서비스 경쟁 심화와 고객의 욕구변화에 의해 여러 직종에서 근로자들에게 감정노동을 요구하고 있다. 감정노동은 실제 자신이 느끼는 감정과는 상관없이 직무를 행해야 하는 감정적 노동으로 은행원, 승무원, 상담원 등이 대표적인 종사자로 알려져 있다. 감정노동은 이러한 서비스업에 국한되지 않고 교사 등 사람과 대면하는 모든 부류에 포함된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감정노동은 지극히 주관적이고 개인적인 경험인 '감정'에 의해 행해지는 직무 활동으로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감정노동의 정도도 다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객센터 상담사들을 대상으로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집단간에 감정노동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직업상담사의 생성형 AI 활용경험 및 인식 (Job Counselor'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Generative AI)

  • 배상호;강혜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67-575
    • /
    • 2024
  • 본 연구는 직업상담사의 생성형 AI에 대한 활용경험 및 인식을 확인하여 직업상담에서 생성형 AI의 활용방안과 생성형 AI 역량 강화 교육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연구 및 FGI 예비조사를 토대로 설문지를 제작하였고, 설문의 주요 내용은 '생성형 AI 활용경험(경험유무, 도구의 종류, 직무, 교육경험 등) 및 생성형 AI 인식(인지정도, 유용성, 활용가능성, 교육요구 등)이다. 직업상담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9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성형 AI의 활용 경험이 없는 상담자(60%)가 많았고, 활용하지 않는 이유는 '필요성을 못 느껴서(28%)'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둘째, 생성형 AI에 대한'인지 정도'는 다소 낮게 나타났고(M=2.77), '생성형 AI 유용성'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M=3.32), 주로 '직업정보'와 관련된 직무에 필요할 것이라 인식하였다. 셋째, 미래 직업상담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도구(컴퓨터 활용 등) 역량(26%)'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역량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육내용은'생성형 AI 활용 방법(57%)' 응답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국인 근로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 The Mediating Role of Positive Emotion -)

  • 최수형;강희경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5호
    • /
    • pp.233-24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중국 현지에 근무하는 중국인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및 긍정적 정서를 통한 간접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 및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긍정심리자본은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복원력의 네 가지 하위변수로 측정하였으며 조직몰입, 직무만족, 긍정적 정서와의 관계를 근거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중국 현지기업의 종업원 350명으로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결과를 통계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복원력으로 구성된 긍정심리자본은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그리고 긍정적 정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효과에 더해 긍정적 정서를 통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긍정적 정서의 매개효과에 관한 가설은 지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과도한 경쟁에 따른 피로감과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중국인 종업원들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을 가져오기 위해서 긍정심리자본과 긍정적 정서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긍정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과정에 대해 더 깊은 이해를 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Manufacturing Male Workers)

  • 이후연;백종태;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43-55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피로수준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50인 미만의 소규모 제조업 사업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남성 근로자를 553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4월에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와 한국판 다차원피로척도를 사용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피로증상은 직무스트레스가 정상인 군보다 고위험 스트레스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피로증상은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가 정상인 군에 비해 고위험 스트레스 군에서 고위험 피로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피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및 주관적 건강상태. 수면시간, 커피음용 횟수, 외래진료경험 유무, 직장생활 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7.7%이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들의 피로수준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직무스트레스 요인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경영분석 업무에 종사하는 비 기술기반 전공자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기법 교육과정 제안 (Proposal of Big Data Analysis and Visualization Technique Curriculum for Non-Technical Majors in Business Management Analysis)

  • 홍필태;우종필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1-39
    • /
    • 2020
  • 빅데이터 분석은 경영 및 산업현장에서 다양하게 분석되고 사용되고 있으며, 경영의사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경영분석 업무에 종사하는 빅데이터 분석 직무자의 직무능력은 반드시 미시적인 IT 기술 습득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라, Data Scientist로서 다양한 경험과 인문학적 지식과 분석력이 요구되어진다. 그러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기반으로 하는 국공립 교육기관 및 직무교육기관의 빅데이터 교육은 소프트웨어 공학적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 방법론은 비 기술기반 전공자에게는 어렵고, 비효율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우리는 현재의 빅데이터 플렛폼과 그와 관련된 기술을 분석하여, 그 중에서 현장 직무자에게 반드시 필요한 직무능력 요구수준이 무엇인지를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비 기술기반 전공자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기법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특화된 본 교육과정을 경영현장에서 경영분석에 종사하는 금융기관 실무자를 중심으로 Pilot test를 실시한 결과 좀 더 개선된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교육방법은 산업전반에서 효율적으로 빅데이터 직무 수행과, 비 기술기반 전공 직무자를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교육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