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화학적 지시자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pplication of Indicator Geostatistics for Probabilistic Uncertainty and Risk Analyses of Geochemical Data (지화학 자료의 확률론적 불확실성 및 위험성 분석을 위한 지시자 지구통계학의 응용)

  • Park, No-Wook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4
    • /
    • pp.301-312
    • /
    • 2010
  • Geochemical data have been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environmental variables in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ince they are often sampled at sparse locations, it is important not only to predict attribute values at unsampled locations, but also to assess the uncertainty attached to the prediction for further analysis.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emplify how indicator geostatistic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geochemical data processing for providing decision-supporting information as well as spatial distribution of the geochemical data. A whole geostatistical analysis framework, which includes probabilistic uncertainty modeling, classification and risk analysis, was illustrated through a case study of cadmium mapping. A conditional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cdf) was first modeled by indicator kriging, and then e-type estimates and conditional variance were computed for spatial distribution of cadmium and quantitative uncertainty measures, respectively. Two different classification criteria such as a probability thresholding and an attribute thresholding were applied to delineate contaminated and safe areas. Finally, additional sampling locations were extracted from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that accounts for both the conditional varia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attribute values and thresholding values. It is suggested that the indicator geostatistical framework illustrated in this study be a useful tool for analyzing any environmental variables including geochemical data for decision-making in the presence of uncertainty.

Preliminary results of organic matter origin in the sediments of IODP Expedition 311 (IODP Expedition 311 퇴적물내 유기물의 기원에 대한 예비 결과)

  • Kim, Ji-Hun;Lee, Yeong-Ju;Ryu, Byeong-Ja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28-530
    • /
    • 2007
  • IODP Expedition 311에서 채취한 퇴적물 시료들의 TOC 함량은 대부분 1 %미만이고 육지에서 해안으로 갈수록 높은 함량을 보여준다. TOC/TN비는 4에서 10의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값은 대부분의 유기물들이 육성식물 보다는 조류기원임을 보여준다. 반면에 Rock-Eval 분석 열분석결과는 유기물들이 Type III 의 육성식물 기원임을 지시하고, 대부분의 유기물들이 미성숙단계 (immature stage)에 있음을 보여준다. 유기물 기원에 대한 지화학적 지시자들 사이의 불일치를 해결하기위해 유기물의 탄소동위원소 ($^{13}C_{org}$)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유기물 탄소동위원소 값은 -28.4 $%_o$,에서 -23.0 $%_o$의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유기물들이 식물성 기원보다는 해수 및 담수의 조류가 혼합된 기원이 우세하다는 j것을 지시해준다.

  • PDF

Geochemical Composition and Provenance of Surface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 Jeju Island, Korea (제주도 서부해역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조성과 기원 연구)

  • Youn, Jeung-Su;Kim, Tae-Jo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9 no.4
    • /
    • pp.328-340
    • /
    • 2008
  • To discriminate the provenance of shelf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f Jeju Island, the textual and elemental compositio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sediments originating from Changjiang and Huanghe Rivers of China and the Korean (Keum) River. The sediments in the study area are composed of coarse silt with a mean pain size of $3.6{\sim}8.5{\phi}$ and their $CaCO_3$ contents ranged from 0.92 to 9.75 wt.%. The ratios of TOC over total nitrogen (TN) showed that the study area sediments contained more organic matters of marine origin than those of terrigenous origin. The high concentration of Fe/Al, Ti/Al and Mn/Al figures were found in the southwestern part near the Changjiang esturay, indicating that it seemed to result from the influence of the Changjiang River. The discrimination diagrams including Sc/Al vs Cr/Th, Th/Sc vs Nb/Co and Ti/Nb vs Th/Sc were thus used as provenance indicators to identify the sediment origins of the western part off Jeju Island. Based on these discriminated diagrams it clearly showed that most of the sediment in the western part were originated from the Huanghe River, but the sediments in the southwestern part near the Changjiang esturay might come from the Changjiang River. In contrast, the sediment samples of the northeastern part showed the higher figures than those of the river sediments and other regions, suggesting that the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f Jeju Island must be originated from diverse sources.

Porphyry Molybdenum Deposits: A Literature Review (몰리브덴 반암광상: 문헌해설)

  • Park, Won Cho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14 no.1
    • /
    • pp.1-25
    • /
    • 1981
  • This paper is a literature review on the following subjects: 1) relationships between porphyry molybdenum and copper systems; 2) hydrothermal environments of molybdenite depositions; 3) genetic significance of molybdenite polyforms; and 4) trace element patterns in molybdenite useful as an exploration guide. The geologic similarities between porphyry molybdenum (e. g. Climax) and porphyry copper (e. g. Bingham) systems exist, and similar techniques can be applied for exploring deposits of either type. Several features suggest that tungsten and tin may form porphyry-like systems (i. e. lowgrade, large tonnage). The clustering of porphyry-like systems in geophysically distinctive batholithic provinces is well documented and provides larger targets for reconnaissance exploration. Geochemical studies suggest that uranium should often occur in close proximity to molybdenum ores in igneous as well as sedimentary environments.

  • PDF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Heavy Metallic Pollution at Shihwa Lake (시화호의 퇴적환경과 중금속오염)

  • Hyun, Sang-Min;Chun, Jong-Hwa;Yi, Hi-Il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4 no.3
    • /
    • pp.198-207
    • /
    • 1999
  • Five core sediments acquired from the Lake Shihwa are analyzed for variations of sedimentary environment and heavy metal pollution after the Shihwa seawall construction.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of the study area is divided into anoxic, oxic and mixed suboxic conditions based on the C/N ratio and C/S ratios of organic matters. Controlling factors for redox condition are the water depth and the difference in industrial effluents supply. Correlations among geochemical elements (Mn, U, Mo) show a distinctive difference and thus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redox condition. The content of Al, Ti are dependent on the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Cr, Ni, Cu, Zn, and Pb) indicate heavy metal pollution.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are higher near Shiswa-Banwol industrial complexies than the central part of Lake Shihwa. Especially, the accumulation of the heavy metal at the surface sediments near Shihwa-Banwol industrial complex are two to eight times higher than in the center of Lake Shihwa.

  • PDF

Geochemical Compositions of Coastal Sediments around Jeju Island, South Sea of Korea: Potential Provenance of Sediment (한국 남해 제주도 연안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퇴적물의 근원지)

  • Lim, Dong-Il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4 no.4
    • /
    • pp.337-345
    • /
    • 2003
  • Surficial sediments from the northern coastal area of Jeju Island, southeastern Yellow Sea (South Sea of Korea) were analyzed for grain-size texture, som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lay mineralogy in order to assess their provenance. Rare-earth element compositions and some geochemical discrimination diagrams, especially of Ti/Al, Nb/Al and Rb/Al ratios, were revealed to be useful indices for identifying the origin of sediments. These indices, together with clay mineral compositions, suggest that the coarse-grained sediments originate from the volcanic rocks of Jeju Island, whereas the fine-grained sediments are derived from Chinese rivers, especially the Changjiang River. The oceanic circulation pattern and the physical-chemical properties of seawater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l support the possibility that the fine-pained Changjiang (Yangtze River) sediments can reach the coastal area of Jeju Island (southeastern Yellow Sea).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Wolgok-Seongok Orebodies in the Gagok Skarn Deposit : Their Genetic Implications (가곡 스카른 광상 월곡-선곡 광체의 광물.지구화학적 특성: 성인적 의미)

  • Choi, Bu-Kap;Choi, Seou-Gyu;Seo, Ji-Eun;Yoo, In-Kol;Kang, Heung-Suk;Koo, Min-H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3 no.5
    • /
    • pp.477-490
    • /
    • 2010
  • The Gagok stratabound skarn deposit is the result of the intrusion of the Cretaceous granitic pluton into the Paleozoic calcareous rocks. The subvolcanic intrusion ranges in composition from quartz monzonite to granite porphyry with I-type, calc-alkaline and weakly peraluminous characteristics. Both endoskarn and exoskarn are developed at the Gagok Zn-(Pb) deposit, with more exoskarn than endoskarn.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Seongok and Wolgok orebodies can be treated in terms of self-organization. Sphalerites in the Gagok ore can also incorporate minor amounts of Mn, Cd, Cu and In. Trace element concentrations in different orebodies vary because fractionation of a given element into sphalerite is influenced by formation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sphalerite in the ore. A group of high In/Zn and Cd/Zn ratios in ores, and low Mn/Fe ratios in sphalerites are correlated with proximal processes of a magmatic source. The pattern of minor/trace element variations in ores and sphalcrites can be used for petrogenetic interprctation, e.g., orebody zonation related to crystallization temperature and fluid d sources.

Implication of the Ratio of Exchangeable Cations in Mountain Wetlands (산지습지 치환성 양이온 함량비의 특성과 함의)

  • Shin, Young Ho;Kim, Sung Hwan;Rhew, Hosaha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9 no.2
    • /
    • pp.221-244
    • /
    • 2014
  •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by examining geo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s in Simjeok, Jangdo, and Hwaeomneup mountain wetlands which are natural preservation areas. Geochemical properties of wetland sediments show that all wetlands were included in the type of fens, but their distribution patterns we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We classified three sub-groups of sediments using the two step cluster analysis on the ratio of exchangeable cations. Wetland sediments can be grouped into Ca-dominated, Mg-dominated, and K-dominated types. Simjeok wetland have Ca-dominated sediments, while the sediments of Jangdo wetland indicate the Mg-dominated and Ca-dominated characteristics. Hwaeomneup wetland is composed of K-dominated sediment mainly. Different properties in the ratio are affect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eological, pedological, and vegetational settings. Because these geochemical properties will be affected by climate change and human impacts, these will be environmental indicator in mountain wetlands and be used in wetland management. This scheme can be used for classification of mountain wetlands. Therefore, we should work on geochemical properties of wetland sediments and classification schemes based on geochemical properties not only to widen understanding in geomorphic system or ecosystem of mountain wetlands but to conserve mountain wetlands properly.

  • PDF

경주시 양남 제4기 역질 해안단구 퇴적층 풍화단면내 앨로패인(allophane) 교결층의 기원

  • 정기영;배진한;정창식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6a
    • /
    • pp.115-115
    • /
    • 2001
  • 경주시 양남면의 4기 단층으로 추정되는 수렴단층에 의해 절단되는 해안단구 퇴적층 풍화단면에서 저결정질 광물인 앨로패인 교결층을 기재하였다. 이들은 자갈퇴적층 내에 협재하는 수조의 모래층에 한정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3-17 cm 두께로 연장성이 매우 좋다. 편광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모래층에는 사장석편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앨로패인은 광학적 등방성의 치밀한 점토집합체들로서 사장석 입자를 선택적으로 교대하거나 자갈과 모래입자들을 피복하고 있다. 앨로패인은 광학적 이방성인 상하위층의 고령토질 점토피복물과 명확히 구분된다. 앨로패인의 전자현미분석에 의하면, Al/Si 원자비가 1.3-1.7 범위이고 평균값은 1.5이다. X선회절분석 결과 3.49$\AA$과 2.26$\AA$에서 두 개의 넓은 회절대가 관찰된다.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관찰에 의하면 앨로패인을 특정한 입자형태 없이 치밀한 겔상태를 이루고 있다. 열분석에 의하면 96$^{\circ}C$에서 큰 흡열피크와 992$^{\circ}C$에서 발열피크가 관찰되며, 총 45% 정도의 중량감소를 보인다. 사장석의 평균조성은 An$_{87}$이며, 사장석내 유리포유물의 전자현미분석결과는 화산암 화학분류도에서 현무암 영역에 도시된다. 이 지역의 기반암은 현무암질 라필리응회암이나 사장석편을 제외하고 벤토나이트화되어 있다. 따라서 해빈환경에서 사장석이 벤토나이트에서 분리되어 퇴적한 것으로 보인다. 앨로패인 교결층은 해수면 강하로 단구퇴적층이 지표로 노출된 후, Al의 함량이 높고 비교적 풍화에 약한 사장석이 선택적으로 풍화되어 생성되었다. 앨로패인으로 피복된 모래층 내의 자갈은 풍화반응이 지체되어 상하위층의 자갈과 비교하여 풍화도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파이프 중심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전기석의 함량은 줄어들고 있고 장석들이 알바이트ㆍ칼스베드 쌍정을 보이며, 흑운모가 각섬석보다는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기석은 주상 결정, 자형 내지 반자형의 입자로 다색성을 보이며, 결정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파란색과 황갈색의 광학적 누대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일광광산에서 산출되는 전기석에 대한 현미경 관찰은 열수기원임을 지시하고 있다. 야외조사와 현미경 관찰의 예비조사에 의하면 일광광산의 전기석이 형성된 환경은 다른2가지 화학적인 저장소의 혼합 효과의 결과로 생성되어진 것으로 예상된다. 일광의 화강암류를 만든 마그마는 전기석을 형성할 만큼의 Fe-Mg성분이 충분하지 않았을 것이다. 화강암 내에 흑운모와 각섬석의 결정작용에 의해 마그마의 Fe-Mg성분이 고갈되어지고 이로 인해 그 함량이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마그마 내에 남은 붕소(B$_2$O$_3$)는 열수로 용리되고 흑운모, 각섬석과 평형을 유지하며 열수에 남아있게 된다. 잔류용융체에 남은 붕소의 함량은 전기석을 만들기에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Fe-Mg 함량이 부족하여 마그마 기원의 전기석 결정을 만들 수가 없다가 광맥이 형성된 시기에 또 다른 열수가 공급되면서 이전의 평형이 깨지고 기존의 흑운모와 같은 염기성 광물이 붕소(B)를 함유한 새로운 열수와 반응하여 전기석을 형성한 것으로 예상한다. 앞으로 전암과 광물에 대해 지화학적 연구를 통해 화강암류와 전기석과의 지화학적 연관성, 주성분 원소와 열수의 특성과의 상관관계, 전기석의 기원(마그마 기원인지 열수기원인지)이 보다 정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마그마 진화에 따른 전기석의 성분변화와 기원을 이용하여 일광광산의 동광화대를 형성한 마그마 계에서 열수계로 이어지는 지질학적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암석 성인론적 지시자로서

  • PDF

경상분지 남동부 일광광산에 산출하는 전기석 기원과 그 중요성에 관한 예비연구

  • 장주연;양경희;이준동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6a
    • /
    • pp.58-59
    • /
    • 2001
  • 부산에서 북동쪽으로 대략 25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일광광산 부근의 지질은 백악기 화산암ㆍ퇴적암 그리고 이를 관입한 화강암류와 이 암주 내에 발달하는 구리-중석을 함유하고 있는 각력파이프광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광광산의 화강암류는 거의 타원형으로 felsic한 중앙부와 mafic한 양상의 주변부로 나뉘어지며, 암주 내에 수직적인 원통형의 각력파이프가 광화대를 이루고 있고, 그 주변에는 모암변질대가 발달되어 있다. 각력파이프를 충진하고 있는 vein과 화강암의 중앙부에는 전기석이 풍부하게 산출되고 있다. 일광광산에서 산출되는 전기석은 야외 관찰시 각력파이프 중심에서부터 외곽부쪽으로 전기석의 풍부함이 감소하며 산출형태도 달라진다. 파이프에서 대략반경 150m내에서 전기석은 침상형 의 방사상 모양 내지 rosettes형으로 풍부하게 산출되며, 화강암내의 mafic한 암편을 치환한 형태로 산출되기도 한다. 암주의 중앙부 주변부에서는 거의 미세한 구상형으로 산재되어 나타나고 있다. 전기석은 복잡한 화학식 {(Na, Ca)(Fe, Mg)$_3$(Al, Li)$_{6}$(BO$_3$)$_3$Si$_{6}$O$_{18}$ (OH, F)$_4$}을 갖는 붕산 규산염광물이다. 이러 한 다양한 성분은 마그마의 진화과정, 모암의 특성, 온도, 압력, 성분과 같은 물리ㆍ화학적 성질에 따라 전기석의 성분이 체계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모암과 전기석 기원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파이프 부근의 화강암류는 현미 경상에서 전기석이 석류석과 같이 풍부하게 나타나며 장석들은 변질받은 상태로 세리사이트, 녹렴석으로 나타나고, 흑운모와 각섬석은 녹니석화되어 변질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파이프 중심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전기석의 함량은 줄어들고 있고 장석들이 알바이트ㆍ칼스베드 쌍정을 보이며, 흑운모가 각섬석보다는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기석은 주상 결정, 자형 내지 반자형의 입자로 다색성을 보이며, 결정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파란색과 황갈색의 광학적 누대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일광광산에서 산출되는 전기석에 대한 현미경 관찰은 열수기원임을 지시하고 있다. 야외조사와 현미경 관찰의 예비조사에 의하면 일광광산의 전기석이 형성된 환경은 다른2가지 화학적인 저장소의 혼합 효과의 결과로 생성되어진 것으로 예상된다. 일광의 화강암류를 만든 마그마는 전기석을 형성할 만큼의 Fe-Mg성분이 충분하지 않았을 것이다. 화강암 내에 흑운모와 각섬석의 결정작용에 의해 마그마의 Fe-Mg성분이 고갈되어지고 이로 인해 그 함량이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마그마 내에 남은 붕소(B$_2$O$_3$)는 열수로 용리되고 흑운모, 각섬석과 평형을 유지하며 열수에 남아있게 된다. 잔류용융체에 남은 붕소의 함량은 전기석을 만들기에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Fe-Mg 함량이 부족하여 마그마 기원의 전기석 결정을 만들 수가 없다가 광맥이 형성된 시기에 또 다른 열수가 공급되면서 이전의 평형이 깨지고 기존의 흑운모와 같은 염기성 광물이 붕소(B)를 함유한 새로운 열수와 반응하여 전기석을 형성한 것으로 예상한다. 앞으로 전암과 광물에 대해 지화학적 연구를 통해 화강암류와 전기석과의 지화학적 연관성, 주성분 원소와 열수의 특성과의 상관관계, 전기석의 기원(마그마 기원인지 열수기원인지)이 보다 정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마그마 진화에 따른 전기석의 성분변화와 기원을 이용하여 일광광산의 동광화대를 형성한 마그마 계에서 열수계로 이어지는 지질학적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암석 성인론적 지시자로서 어떠한 중요성을 갖는지 논의되어질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