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재현

Search Result 33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 Analysis of DEM and Gravity Effect for Precision Geoid Determination in Korea (우리나라 정밀지오이드 구축을 위한 지형자료 및 중력자료 영향 분석)

  • Lee, Bo-Mi;Lee, Ji-Sun;Kwon, Jay-Hyoun;Lee, Yo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6 no.5
    • /
    • pp.519-527
    • /
    • 2008
  • The basic elements in precise geoid determination are the gravity and topographic data with reliable quality and distribution.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gravity and topographic data on the precision of the geoid are analyzed through simulations in which the quality and distribution of the data are artificially controlled. It was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topographic data has more effect on the precision of geoid than the quality of the it. Thi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the SRTM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TM (Digital Terrain Model) with resolution of 90m is qualified as a topographic data in geoid determination. In the experiments with gravity data, on the other hand, the aliasing effect caused by the low data density caused large errors in geoid. It was found that the more gravity data especially in north-eastern mountainous area is needed for precise geoid determination in Korea.

Development of 2D Urban Inundation Analysis Model using Adaptive Mesh Refinement Method (메쉬 세분화 기법을 이용한 2차원 침수해석 모형의 개발)

  • Lee, Se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93-93
    • /
    • 2016
  • 최근 증가하고 있는 기후변화에 의해 설계빈도를 상회하는 강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도시유역의 내수범람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도시유역에서 발생하는 침수 피해의 경우 인적 물적 자원이 집중되어 있는 도시의 특성으로 인해 침수로 인한 직접적 피해 규모가 상당할 뿐만 아니라 침수 발생 후 세균 및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수인성 전염병의 유행 등과 같은 2차적 피해 또한 심각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할 수 있어 도시유역의 침수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도시유역의 침수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은 구조적 비구조적 대책으로 구분되어 질 수 있으며 구조적 대책의 경우 침수 피해 예방에 직접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대규모 사업예산 및 사업 기간으로 인해 직접적 효과를 보기까지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사업 진행 중 대상지역 거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한 갈등 조정 등으로 인해 사업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비구조적 대책의 일환인 수치해석을 통한 침수피해 재현 및 침수원인 파악을 통한 구조개선 제안은 구조적 대책의 단점을 보완할 수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도시유역의 경우 비도시유역과 대조적인 차이점으로는 높은 비율의 불투수층, 복잡한 지형, 다수의 인공 구조물 및 배수관망 시스템 등을 들 수 있으며, 침수해석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복잡한 지형의 효율적인 처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2차원 침수해석 모형들은 직교구조 격자 또는 비구조 격자를 이용하여 지형을 묘사하고 있으며 DEM 자료를 직접 사용하는 직교구조 격자의 경우 지형 데이터 생성이 상대적으로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복잡한 지형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지역까지 높은 해상도를 이용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모의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비구조 격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복잡한 도시 유역을 잘 묘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격자망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가 많고 격자망 생성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방법의 장점만을 취할 수 있도록 메쉬 세분화 기법을 이용한 2차원 침수해석 모형을 개발 하여 복잡한 지형은 고해상도 메쉬를 이용하여 보다 자세히 묘사하고 상대적으로 복잡하지 않은 지형은 저해상도 메쉬를 이용하여 계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수치해석 기법으로는 엇갈림 격자를 이용하는 Leap-Frog 기법과 유한차분 (Finite difference Method)기법을 이용하였다.

  • PDF

A study on Geographical Images of Nakdong River Region Represented in the Modern Poetry (현대시를 통한 낙동강 수계 지역의 지리적 이미지 연구)

  • Kim, Soo-Jeong;Cho, Chul-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1 no.4
    • /
    • pp.673-690
    • /
    • 2015
  •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geographical images of Nakdong River region represented in the Modern Poetr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aspect of the poetry around Nakdong River area shows the social phenomenon of population movement, economic deprivation symptoms, the Korean War, economic development plans, the industrialization and spatial inequalities,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poetry, and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etc. Second, the poetry about Nakdong River can be classified by geographical area, showing a humanistic geographical image of the sense of place, natural geographical images about geomorphology and climate, and region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Finally, the large number of poetry describes the beautiful terrain and the sense of place of poet, among ones targeting the upsteam of Nakdong River. The one in middle and downstream areas, however, reflected the reality and was social criticism mostly. This is because that, compares to the upstream, many large cities are distributed in the downstream area and the river becomes increasingly contaminated as it flows to the downstream.

  • PDF

A Study on Efficient Storage Method for High Density Raster Data (고밀도 격자자료의 효율적 저장기법 연구)

  • JunJang, Young-Woon;Choi, Yun-Woong;Lee, Hyo-Jong;Cho, Gi-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7 no.3
    • /
    • pp.401-408
    • /
    • 2009
  • A study for 3D-reconstruction and provid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is in progress to many fields recently. For efficient provid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the present information has to be updated and be revised and then the latest geospatial information needs to be acquired economically. Especially, LiDAR system utilized in many study has a advantage to collect the 3D spacial data easily and densely that is possible to supply to the geospatial information. The 3D data of LiDAR is very suitable as a data for presenting 3D space, but in case of using the data without converting, the high performance processor is needed for presenting 2D forms from point data composed by 3D data. In comparison, basically the raster data structure of 2D form is more efficient than vector structure in cheap devices because of a simple structure and process sp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case of supplying LiDAR data as 3D data, present the method that reconstructs to 2D raster data and convert to compression data applied by th tree construction in detail.

A Study on the Harbor Tranquility of Multi-directional Irregular Waves Condition (다방향 불규칙규파랑의 정온도에 관한 연구)

  • Park, Chul Ho;Shim, Kyu Tae;Shin, Bum Shick;Kim, Kyu 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89-89
    • /
    • 2015
  • 항만 및 어항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해안구조물은 파랑의 천수효과, 굴절, 회절, 부분반사, 해저마찰, 쇄파의 영향 등을 고려해야하며 파고 및 파향 등의 해양특성의 검토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실제의 해양파가 방향스펙트럼을 갖는 다방향 불규칙파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기존의 해안구조물의 내파설계 또는 천해역의 파랑변형 검토에 있어서도 실제 해양파에 보다 가까운 다방향 불규칙파를 이용한 수리모형실험에 의해 파랑현상을 정도 높게 재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해양파를 정도 높게 재현할 수 있는 다방향 불규칙파 조파장치를 사용하여 구조물 전면해역에서의 파랑스펙트럼을 재현하고, 심해에서 발달된 파랑이 천해로 진행될 때 지형에 의해 발생되는 천수변형과 구조물 주위에서 나타나는 파랑변형의 현상을 고려하여 항내로 유입되는 파랑의 분포 특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다방향 불규칙파로 인한 항내 파고분포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동일 파랑에 대한 규칙파 및 불규칙파랑을 조파하여 그 결과를 상호 비교하였다. 아울러, 정온수역유지를 위한 월파현상을 수리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3차원 수리모형실험 수행하여 월파현상이 항내정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 해석하여 항만 시설물 계획시 안정한 정박 및 이용에 대한 가능한 정온유지여부를 검토하였다.

  • PDF

The 2D flood plain analysis using Tuflow Model (Tuflow 모형을 이용한 2차원 홍수범람 분석)

  • Park, Jong Young;Suk, Jong Young;Kim, Han Kyu;Kim, Dae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41-345
    • /
    • 2015
  • 최근 기존의 SMS(Surface Modeling System) 모형에 Tuflow모듈이 추가된 형태로 새로운 버전이 출시되면서 윈도우버전에서 2차원 홍수범람모의가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uflow모형이 추가된 SMS ver.11.2.7을 활용하여 2차원 홍수범람 분석을 실시하고 이에 따른 2012년에 발생한 실제 침수구간과의 비교를 통하여 Tuflow모형의 실제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적용대상유역은 2012년도 침수가 발생하였으며, 전제 침수 지역 21개 중 하천내 수문을 통하여 침수가 발생한 지역, 내수침수가 발생한 지역 등을 제외한 순수하게 하천의 범람으로 인한 침수구역인 2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하천범람모형의 재현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2개 지역에 대한 공간적인 홍수범람의 재현성은 침수면적으로 판단해 볼 때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침수심으로는 침수조사의 자료가 미흡한 상황으로 명확하게 판단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Mesh작성의 숙련도, GRID의 크기 등과 같은 기술적 요인과 더불어 침수흔적의 정확한 구획선의 결여 등으로 인하여 비교적 정확한 비교는 불가하였으나, 지형자료를 활용하여 2차원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 침수흔적과 홍수범람의 재현성은 다소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향후 보다 정확한 침수흔적이나 침수자료의 구축을 통하여 보정, 검정 등을 실시한 후 홍수범람의 재현성을 신뢰할 만한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Analysis of Terrain and Topography using Fractal (프랙탈 기법에 의한 지형의 특성분석)

  • Kwon, Kee-Wook;Jee, Hyung-Kyu;Lee, Jong-Da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1 no.6
    • /
    • pp.530-542
    • /
    • 2005
  • In this study, GIS method has been used to get fractal characteristics. Using the projected area and surface area, 2 dimensional fractal characteristic of terrain was found out. Correlation of fractal dimension and mean slope were also checked over. Results are as below. 1) To get a fractal dimension, the method which is using the surface area is also directly proportional to complexity of the terrain as other fractal dimension. 2) Fractal dimensions using the surface area, that is proposed in this thesis are carried out as below : Uiseong : $2.02{\sim}2.15$ Yeongcheon : $2.10{\sim}2.24$. These values are in a range of fractal $2.10{\sim}2.20$ dimensions which has known. 3) Correlation of mean slope and fractal dimension is diminished about 30% in a region which is more than $25^{\circ}$ of mean slope. So, in this region using the fractal dimension method is better than using the mean slope. From this study, on formula using the projected area and surface area is still good to get a fractal dimension that has been found. But to confirm this method the region of research should be wider and be set up the correlation of mean slope, surface area and fractal dimension. It can be applicable to restoration of terrain and traffic flow analysis in the future research.

  • PDF

Development of Topography Restoration Model using Fractal Method (프랙탈을 이용한 지형복원 모형개발)

  • Kwon, Kee-Wook;Ahn, Byung-Gu;Lee, Jong-Da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3
    • /
    • pp.123-135
    • /
    • 2006
  • In this study, in order to maximiz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existing interpolation method fractal methods are applied. Developed FEDISA model revives the irregularity of the real topography with only a few information about base topography, which can produce almost complete geographic information. Moreover, as a tool for examining the adapt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model, index of slope range $I_{SR}$, index of surface $I_{SA}$, and index of volume $I_V$ were developed. The model area is respectively set to $75m{\times}75m$, $150m{\times}150m$, $300m{\times}300m$, $600m{\times}600m$, and $1,200m{\times}1,200m$, and then the data obtained by combining the existing interpolation methods and FEDISA model were compared with real measuremen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e adaptability and efficiency of FEDISA model in topography restoration.

  • PDF

Effect of Climate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n Hydrologic Partitioning and Vegetation Response (기후와 지형 특성이 수문분할과 식생반응에 미치는 영향)

  • Park, Yoonkyung;Choi, Minha;Ahn, Jaehyun;Kim, Sangd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7
    • /
    • pp.735-744
    • /
    • 2013
  • The effect of climate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n hydrologic partitioning and vegetation response is analyzed in this study. After quantifying hydrologic partitioning using the Horton index, the relation between regional climate characteristics and the Horton index is investigated. In addition, using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dictability of the Horton index with only regional climate characteristics and the predictability of the Horton index with landscape characteristics as well as regional climate characteristics,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on hydrologic partitioning is analyzed. Finally, investigating the predictability of the aridity index and Horton index on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the effect of climate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on vegetation response is estimated.

Development on Location Analysis Model of GIS in Torrential Stream (GIS기법을 이용한 야계사방 입지해석 모델 개발)

  • Kim, Ki-Heung;Jung, Hea-Reyn;Park, Sang-Heyn;Ma, Ho-Seop;Park, Jae-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22-1826
    • /
    • 2010
  • 본 연구의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야계의 입지해석모델 개발은 사방댐 하류 야계에 대한 야계사방사업의 위치 선정, 하도계획 및 구조물 계획 등을 기 구축되어 있는 국가 DB와 강우 강도 산정, 홍수유출해석 및 수리계산 소프트웨어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표준화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우, 지형 지질 토지이용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유출해석을 통해 기본 홍수량을 산정하고, 홍수량과 수치지형도 및 항공사진으로부터 추출한 야계의 종단, 평면 및 횡단지형정보를 기본자료로 HEC-RAS의 지형자료(geometry data) 및 흐름자료(flow data)를 구축하여 수리계산을 수행하였다. 수리계산 결과를 토대로 종단, 평면, 횡단의 하도계획과 호안, 수제 및 하상유지공 등 구조물 계획 등에 필요한 야계입지해석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강우, 지형 지질 토지이용, 항공사진 자료 등 국가 DB자료만을 이용하여 야계입지를 해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1 : 5000의 수치지형도 및 항공사진으로부터 야계부분에 대한 지형도를 분리하여 1m 간격의 등고선으로 된 수치지형도에서 야계의 종단, 평면 및 횡단지형정보를 기본자료로 수리계산을 위한 HEC-RAS의 지형자료(geometry data)를 구축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리계산 결과를 토대로 최심하상고, 수위, 수심, 유속, 소류력, Froude수 등 종단, 평면, 횡단의 하도계획과 호안, 수제 및 하상유지공 등 야계 구조물 계획 등에 필요한 수리학적 인자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시험유역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야계사방사업의 입지선정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음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