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다양성

Search Result 90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Comparison of Flood Inundation Method in Medium to Small sized Catchment (중소규모 자연하천 유역에서 홍수범람기법의 비교)

  • Moon, Chang-Geon;Park, Jong-Young;Lee, J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76-1481
    • /
    • 2009
  • 최근 기상이변과 국지성 호우로 인한 홍수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국가차원과 더불어 지역단위의 홍수방어대책이 많은 사업을 통해 제시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 하천기본계획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사업들은 실제 피해지역에 대한 원인과 대책을 제시함과 동시에 홍수 등의 피해가 예상되는 위험지역에 대해서도 그 원인과 대책을 제시해야한다. 따라서 피해발생이 예상되는 지역을 예측하고 그 원인을 찾는데 있어 최근 홍수범람해석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증대되면서 다양한 해석모형과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었고 현재까지도 홍수범람분석에 관한 활발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홍수범람구역을 결정하기 위한 과정은 GIS Tool에 대한 이해도 부족, 원 자료의 부족, 지형 구축을 위한 자료생성의 어려움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홍수범람구역의 결정을 위한 전산프로 그램의 기능향상은 점차 향상되는데 비해 지형구축 등과 같은 범람해석 프로세스 내에서 상당한 수작업이 요구되는 바 작업소요시간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으로 인해 실무자들에게 널리 적용되는데 있어 걸림돌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무적 관점에서 홍수범람해석의 요구빈도가 높은 중소규모 자연하천을 대상으로 두가지 해석 기법을 통하여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여 해석 과정 및 결과 등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 기법으로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는데 있어 실용성, 신속성 등이 고려된다고 판단되는 Civil 3D를 이용하여 수치지형도 및 측량자료와 같은 원 자료로부터 3D 지형을 구축하고 Civil 3D의 Extension 프로그램인 HEC-RAS Tool과 1차원 수리모형인 HEC-RAS를 전 후처리에 연계함으로서 각 대상유역별, 빈도별 홍수위에 따른 홍수범람구역과 수심 및 범람지역을 우선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번째 기법으로서 실무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ArcGIS를 이용하여 3D 지형을 구축하고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HEC)와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ESRI)의 협력개발로 개발된 HEC-GeoRAS와 HEC-RAS 모형을 전 후처리에 연계하여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들 두 가지 기법을 통한 홍수범람해석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정량적, 정성적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두 기법간의 차이점 및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실용적이면서도 정밀한 홍수범람구역의 결정, 홍수범람 예상도 등의 재해지도 작성, 치수경제성 분석 등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s and Perspectives of Fluvial Biogeomorphology in the Stream Management of South Korea (우리나라 하천 관리에서 생물지형학의 적용과 전망)

  • Kim, Daehyun;Kim, Won;Kim, Eunsuk;Ock, Giyoung;Jang, Chang-Lae;Choi, Mikyoung;Cho, Kang-Hy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7 no.1
    • /
    • pp.1-14
    • /
    • 2020
  • In fluvial and riparian ecosystems, biogeomorphological research has considered the complex, multi-way relationships between biological and hydro-geomorphological components over a wide range of spatial and temporal scales. In this review, we discussed the scope and processes of fluvial biogeomorphology by explaining (1) the multi-lateral interactions between organisms and hydrogeomorphic conditions, (2) the relationships between biodiversity and habitat heterogeneity, and (3) the effects of disturbance on ecosystem patterns. Over time, an organism-landform complex along streams transitions in the sequences of geomorphic, pioneer, biogeomorphic, and ecological stages. Over space, water flow and sediment distributions interact with vegetation to modify channel topography. It is the habitat heterogeneity in streams that enhances riparian biodiversity. However, in the areas downstream of a dam, habitat types and conditions are substantially damaged and biodiversity should be reduced. In South Korea, riparian vegetation flourishes in general and, in particular, invasive species actively coloniz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fluvial conditions driven by local disturbances and global climate chang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living organisms and hydrogeomorphic conditions will ever increase in this era of rapid climate change and anthropogenic pressure. The fluvial biogeomorphic framework reviewed in this article will contribute to the ecological management and restoration of streams in Korea.

Proposal of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for Land Change Detection (국토변화탐지를 위한 지형분류체계 개선안)

  • Park, Jun-Ku;Noh, Myoung-Jong;Cho, Woo-Sug;Bang, Ki-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2
    • /
    • pp.9-17
    • /
    • 2011
  • For the exact status of the land such as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land use classification,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has been utilized in several organizations and agencies. However, those classification systems are limited to detection of land change and it's also not suited for the extraction of land changed. In this study, we would proposed a standard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which presents both in natural and artificial change of land effectively. Based on comparison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relevant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we proposed a standard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In order to valid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we evaluated the accuracy with using automatic feature classification based on supervised classification and pre-knowledg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A Study on the Terrain Interpolation Using Fractal Method (프랙탈 기법을 이용한 지형 보간에 관한 연구)

  • Kwon, Kee Wook;Lee, Jong Da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5D
    • /
    • pp.895-907
    • /
    • 2006
  • In this study, in order to maximiz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existing interpolation method fractal methods are applied. Developed FEDISA model revives the irregularity of the real terrain with only a few information about base terrain, which can produce almost complete geographic information. The area of the model is set to $150m{\times}150m$, $300m{\times}300m$, $600m{\times}600m$, $1,200m{\times}1,200m$ to compare the real data with the data of the existing interpolation method and FEDISA model. By statistical verification of the results, the adaptability and efficiency of FEDISA model are investigated. It seems that FEDISA model will help a lot to obtain the terrain information about the changed terrain, such as the bottom of reservoirs and dams as well as large amount of destruction due to cutting and banking.

Development of Topography Restoration Model using Fractal Method (프랙탈을 이용한 지형복원 모형개발)

  • Kwon, Kee-Wook;Ahn, Byung-Gu;Lee, Jong-Da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3
    • /
    • pp.123-135
    • /
    • 2006
  • In this study, in order to maximiz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existing interpolation method fractal methods are applied. Developed FEDISA model revives the irregularity of the real topography with only a few information about base topography, which can produce almost complete geographic information. Moreover, as a tool for examining the adapt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model, index of slope range $I_{SR}$, index of surface $I_{SA}$, and index of volume $I_V$ were developed. The model area is respectively set to $75m{\times}75m$, $150m{\times}150m$, $300m{\times}300m$, $600m{\times}600m$, and $1,200m{\times}1,200m$, and then the data obtained by combining the existing interpolation methods and FEDISA model were compared with real measuremen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e adaptability and efficiency of FEDISA model in topography restoration.

  • PDF

수로측량정보의 e-Navigation 서비스 다목적 활용방안

  • Gwon, Gwang-Seok;Heo, Cheon-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2-114
    • /
    • 2017
  • 선박의 대형화, 해상물류 생산성 및 환경보존의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다양한 부문에서 eNavigation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으며 변화하는 기술환경이 고려되어야 한다. 항해안전과 효율성, 환경 등 다양한 수요를 고려하여 신뢰할 수 있는 최신 수로측량정보를 확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목적에 효과적인 eNavigation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수로측량정보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ssessment of Linear Binary Classifiers and ROC Analysis for Flood Hazard Area Detection in North Korea (북한 홍수위험지역 탐지를 위한 선형이진분류법과 ROC분석의 적용성 평가)

  • Lee, Kyoung Sang;Lee, Dae Eop;Try, Sophal;Lee, Gi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70-370
    • /
    • 2017
  • 최근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인하여 홍수재해의 시 공간적 패턴은 보다 복잡해지고,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기상이변에 따른 홍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비구조적 대책으로 홍수위험등급 및 범람범위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홍수위험지도의 작성이 필요하다. 실제로 고정밀도 홍수위험지도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지형, 지질, 기상 등의 디지털 정보 및 사회 경제와 관련된 다양한 DB를 필요로 하며, 강우-유출-범람해석 모델링을 통해 범람면적 및 침수깊이 등의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하지만 일부지역,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이러한 계측 홍수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획득할 수가 없어 홍수위험지도 제작이 불가능하거나 그 정확도가 매우 낮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STER 또는 SRTM과 같은 범용 DEM 등 지형자료만을 기반으로 한 선형이진분류법(Liner binary classifiers)과 ROC분석(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s)을 이용하여 미계측 유역 (DB부재 또는 부족으로 강우-유출-범람해석 모델링이 불가능한 북한지역)의 홍수위험지역을 탐지하고,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5개의 단일 지형학적 지수와 6개의 복합 지형학적 지수를 이용하여 Area Under the Curve (AUC)를 계산하고, Sensitivity (민감도)와 Specificity (특이도)가 가장 높은 지수를 선별하여 홍수위험지도를 작성하고, 실제 홍수범람 영상(2007년 북한 함경남도지역 용흥강 홍수)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선형이진분류법과 ROC분석 방법은 홍수범람해석을 위한 다양한 기초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고, 지형정보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관측 데이터가 없거나 부족한 지역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홍수위험지역을 탐지하고, 선별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Topographical Classifier Development Support System Cooperating with Data Mining Tool WEKA from Airborne LiDAR Data (항공 라이다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마이닝 도구 WEKA를 이용한 지형 분류기 제작 지원 시스템)

  • Lee, Sung-Gyu;Lee, Ho-Jun;Sung, Chul-Woong;Park, Chang-Hoo;Cho, Woo-Sug;Kim, Yoo-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8 no.1
    • /
    • pp.133-142
    • /
    • 2010
  • To monitor composition and change of the national land, intelligent topographical classifier which enables accurate classification of land-cover types from airborne LiDAR data is highly required. We developed a topographical classifier development support system cooperating with da1a mining tool WEKA to help users to construct accurate topographical classification systems. The topographical classifier development support system has the following functions; superposing LiDAR data upon corresponding aerial images, dividing LiDAR data into tiles for efficient processing, 3D visualization of partial LiDAR data, feature from tiles, automatic WEKA input generation, and automatic C++ program generation from the classification rule set. In addition, with dam mining tool WEKA, we can choose highly distinguishable features by attribute selection function and choose the best classification model as the result topographical classifier. Therefore, users can easily develop intelligent topographical classifier which is well fitted to the developing objectives by using the topographical classifier development support system.

A Study on the Effective Algorithms for tine Generalization (선형성 지형자료의 일반화에 대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김감래;이호남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2 no.1
    • /
    • pp.43-52
    • /
    • 1994
  • This paper outlines a new approach to the line generalization when preparing small scale map on the basis of existing large scale digital map. Line generalizations are conducted based on Douglas algorithm using 1/25,000 scale topographic maps of southeastern JEJU island which produced by National Geographic Institute to analyze the fitness to the original and problems of graphical representation. Compare to the same scale map which was generated by manual method, a verity of small, but sometimes significant errors & modification of topological relationship have been detected. The research gives full details of three algorithms that operationalize the smallest visible object method, together with some empirical results. A comparison of the results produced by the new algorithms with those produced by manual generalization and Douglas method of data reduction is provided. Also this paper presents the preliminary results of an relationships between the size of smallest visual object and requiring data storages for each algorithms.

  • PDF

A study on the selection of representative points of soil moisture observatories through temporal stability analysis method (시간 안정성 해석법을 통한 토양수분 관측소 대표지점 선정 연구)

  • Kim, Kiyoung;Lee, Y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84-384
    • /
    • 2021
  • 토양수분량 측정은 대표적으로 유전율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토양수분 측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비교적 정확하고 연속적인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토양수분량은 인근의 동종(homogeneous)의 지형일지라도 측정 위치에 따라 값과 변화 특성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는 각 지점마다 토양, 식생, 지형 등의 다양한 환경 때문에 발생하며, 이러한 다양한 환경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하기란 쉽지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간적 안정성 해석(Temporal stability analysis) 개념을 통해 기 설치된 토양수분의 지속적인 토양수분 패턴을 식별하고 선택된 대표 센서 위치에서 전체적인 평균을 산출하는 연구가 있었으며, 미국에서도 위성을 활용한 지상검증 연구를 위해 측정 그리드(grid)별로 시간적 안정성 해석 개념을 통해 지상 측정 네트워크 체계를 갖추었다. 국내에서도 최근 인공위성을 활용하여 토양수분을 산정하는 연구가 많아짐에 따라 측정 지역의 대표 토양수분 값을 선정하는 연구의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수문자료의 지속성을 위해 결측을 최소화 방안으로 관측소 이중화 지점을 선정하는 연구의 필요성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설마천, 청미천 토양수분 관측소에 구역별 시간 안정성 해석법을 수행하여 추후 지점의 대표 토양수분을 산정할 수 있으며 이중화 설치 지점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