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공간정보기술

Search Result 33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1-month Prediction on Rice Harvest Date in South Korea Based on Dynamically Downscaled Temperature (역학적 규모축소 기온을 이용한 남한지역 벼 수확일 1개월 예측)

  • Jina Hur;Eun-Soon Im;Subin Ha;Yong-Seok Kim;Eung-Sup Kim;Joonlee Lee;Sera Jo;Kyo-Moon Shim;Min-Gu Ka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5 no.4
    • /
    • pp.267-275
    • /
    • 2023
  • This study predicted rice harvest date in South Korea using 11-year (2012-2022) hindcasts based on dynamically downscaled 2m air temperature at subseasonal (1-month lead) timescale. To obtain high (5 km) resolution meteorological information over South Korea, global prediction obtained from the NOAA Climate Forecast System (CFSv2) is dynamically downscaled using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double-nested modeling system. To estimate rice harvest date, the growing degree days (GDD) is used, which accumulated the daily temperature from the seeding date (1 Jan.) to the reference temperature (1400℃ + 55 days) for harvest. In terms of the maximum (minimum) temperatures, the hindcasts tends to have a cold bias of about 1. 2℃ (0. 1℃) for the rice growth period (May to October) compared to the observation. The harvest date derived from hindcasts (DOY 289) well simulates one from observation (DOY 280), despite a margin of 9 days. The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obtaining the detailed predictive information for rice harvest date over South Korea based on the dynamical downscaling method.

Accuracy Analysis for Slope Movement Characterization by comparing the Data from Real-time Measurement Device and 3D Model Value with Drone based Photogrammetry (도로비탈면 상시계측 실측치와 드론 사진측량에 의한 3D 모델값의 정확도 비교분석)

  • CHO, Han-Kwang;CHANG, Ki-Tae;HONG, Seong-Jin;HONG, Goo-Pyo;KIM, Sang-Hwan;KWON, Se-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3 no.4
    • /
    • pp.234-252
    • /
    • 2020
  • This paper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Hybrid Disaster Management Strategy' that integrates 'RTM(Real-time Monitoring) based On-line' and 'UAV based Off-line' system. For landslide prone area where sensors were installed, the conventional way of risk management so far has entirely relied on RTM data collected from the field through the instrumentation devices. But it's not enough due to the limitation of'Pin-point sensor'which tend to provide with only the localized information where sensors have stayed fixed. It lacks, therefore, the whole picture to be grasped. In this paper, utilizing 'Digital Photogrammetry Software Pix4D', the possibility of inference for the deformation of ungauged area has been reviewed. For this purpose, actual measurement data from RTM were compared with the estimated value from 3D point cloud outcome by UAV, and the consequent results has shown very accurate in terms of RMSE.

Application of Fractal Dimension on Consistent Calculation of Coastline Length - Focused on Jeju Island (일관된 해안선 길이 산출을 위한 프랙탈 차원 적용 방안 연구 - 제주도를 중심으로 -)

  • Woo, Hee Sook;Kwon, Kwang Seok;Kim, Byung Guk;Cho, Seck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4
    • /
    • pp.83-88
    • /
    • 2016
  • The use of consistent coastlines is an important element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maritime boundaries and the interests of local governments. The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for consistent coastline production, since 2001. As a result, the length of coastline was different by year. Because of the lack of systematic management, the use of incorrect data, etc. We also changed the coastline on the sea chart to show on a digital map for realization of terrain expression method. However, there was a variation in shoreline length due to various surveying techniques and shoreline extraction methods.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Jeju-do coastline were analysed by using a modified divider method of fractal dimension. The accuracy of the vectorization was determined by converting the actual distance in the Public Survey Amendment for proper divider use. With 1:5,000 and 1:25,000 digital maps of Jeju-si and Seogwipo-si each fractal dimensions were calculated. Jeju-si=1.14 and Seogwipo-si=1.12 in 1: 5,000. Jeju-si=1.13 and Seogwipo-si=1.10 in 1: 25,000. Calculated fractal dimension were correlated to data from digital maps. It was considered that complexity and scale of coastlines affected. In the future coastline length statistics and minimum ratio of calculated coastline length to original length need to be determined for consistency of coastline length statistics.

Automatic Extraction of Roof Components from LiDAR Data Based on Octree Segmentation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옥트리 분할 기반의 지붕요소 자동추출)

  • Song, Nak-Hyeon;Cho, Hong-Beom;Cho, Woo-Sug;Shin, Sung-W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5 no.4
    • /
    • pp.327-336
    • /
    • 2007
  • The 3D building modeling is one of crucial components in building 3D geospatial information. The existing methods for 3D building modeling depend mainly on manual photogrammetric processes by stereoplotter compiler, which indeed take great amount of time and efforts. In addition, some automatic methods that were proposed in research papers and experimental trials have limitations of describing the details of buildings with lack of geometric accuracy. It is essential in automatic fashion that the boundary and shape of buildings should be drawn effortlessly by a sophisticated algorithm. In recent years, airborne LiDAR data representing earth surface in 3D has been utilized in many different fields. However, it is still in technical difficulties for clean and correct boundary extraction without human intervention. The usage of airborne LiDAR data will be much feasible to reconstruct the roof tops of buildings whose boundary lines could be taken out from existing digital maps. The paper proposed a method to reconstruct the roof tops of buildings using airborne LiDAR data with building boundary lines from digital map. The primary process is to perform octree-based segmentation to airborne LiDAR data recursively in 3D space till there are no more airborne LiDAR points to be segmented. Once the octree-based segmentation has been completed, each segmented patch is thereafter merged based on geometric spatial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were capable of extracting various building roof components such as plane, gable, polyhedric and curved surface.

Development of water cycle analysis systems and evaluation of Urbanization for the Gap river basin using SWAT (SWAT 모델을 이용한 갑천 유역 물수지 분석 및 도시화 영향 평가)

  • Kim, Jeong-Kon;Son, Kyong-Ho;Noh, Jun-Woo;Jang, Chang-Lae;Ko, Ich-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30-13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하천 복원과 관리에 필수적인 하천의 특성 분석 및 물순환 분석시스템 구축에 있다. 연구 대상지역으로 최근 하천의 생태 기능 회복을 위해 도심생태하천조성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대전 3대 하천유역을 선정하였다. 대전 3대 하천 유역의 물수지와 도시화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SWAT을 이용한 물순환 분석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모형적용 결과, 유출량과 지하수 수위 변화 등 대전 3대 하천 유역의 특성을 관측치에 가깝게 모의할 수 있었다. 모델의 검보정 실시결과에서 나타난 모델의 계산 값들의 관측된 유출량뿐 아니라 기저유출량 및 지하수 수위와의 높은 상관관계는 본 연구에서 구축한 모델의 구조나 변수의 유효성에 많은 신뢰도를 제공한다고 판단된다. SWAT을 이용하여 대전 3대 하천 유역의 물수지 분석 및 도시화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였다. 물수지 분석결과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총 유출량 중 지하수 유출량이 47%정도, 중간 유출량이 31% 그리고 지표유출량이 22%이다. 각 소유역의별 유출 성분 분석결과는 각 소유역의 토지 이용도, 토양 그리고 지형적 특징에 따른 유출 특성을 확인하였다. 도시화 영향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1975년에서 2000년까지 갑천 유역의 약 5%가량의 도시화는 총 유출량의 변화에 있어서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각 유출 성분의 경우에는 많은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표유출량은 45% 가량의 증가를 보였고, 전체 유역의 지하수함양 량이 5%정도 감소한 반면, 도시화가 31%정도 진행된 소유역의 경우에는 17%정도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물수지 분석 및 도시화 영향분석 결과는 향후 대천 3대 하천의 생태하천복원을 위한 물순환 정상화 대책마련 및 하천의 유량확보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득증대를 꾀함으로 농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GIS 와 RS의 기술이 농촌분야에 더 효율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농업기술센터를 통한 정보제공을 함으로써 대농민 서비스 및 농업기관의 위상이 제고 될 것으로 기대된다.여 전자파의 공간적인 가시화를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전자파 시뮬레이션 기법이 실무에 이용될 경우, 일반인이 전자파의 분포에 대한 전문지식을 습득할 필요 없이,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과 송전선, 전철 등 각종 전자파의 발생 공간 객체를 선택하여 실생활과 관련된 전자파 정보에 예측할 수 있어, 대민 환경정보 서비스 질의 개선측면에서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사료된다.acid$(C_{18: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했다. 하강하는 약 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

  • PDF

The Intergrated Information Systems for Frequently Flooded Area Using Internet GIS (Internet GIS를 이용한 상습침수지역 종합정보화 시스템)

  • Yeo, Woon-Ki;Jang, Kyung-Soo;Jun, Ji-Young;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116-1120
    • /
    • 2006
  • 하천주변 저지대에 주택이나 공장 등의 시설물 집중과 산지의 개발 및 인구 집중으로 인한 도시화 지역의 증가로 홍수 피해는 더욱 커지고 있다. 특히, 상습침수지구의 주민들은 항상 재해로부터 위험을 느끼고 있으므로 새로운 재해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이에 대한 확고한 대책이 필요하다. 최근 인터넷 사용의 증가로 많은 사용자들이 웹을 통해 다양한 데이터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더욱 더 증가할 것이다. 인터넷은 다양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통신기술의 발전, 네트워크 통합화 속에서 그 내용과 방식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GIS분야에 있어서도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분산되어 있는 많은 조직이나 사용자들에게 그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추세로 바뀌고 있다. Internet GIS는 원격 지리정보 데이타에 대한 접근, 전송, 분석 및 GIS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특별한 GIS 도구이다. Internet GIS는 전통적인 GIS 소프트웨어가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기능은 물론 인터넷 및 그와 관련된 WWW 및 FTP 프로토콜의 장점을 가지는 부가적인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부가적인 기능은 원격 데이타 및 응용 프로그램의 교환, 지역 컴퓨터에 GIS 응용 프로그램 없이 GIS 분석 기능을 수행, 인터넷상에서 상호작용하는 지도 및 데이타를 표현하는 기능들을 포함한다. Internet GIS는 객체지향적이고 상호운영적이며, 분산적이라는 주요한 특징을 갖는다. 인터넷에서 각각의 GIS 데이타 및 기능성은 하나의 객체로서 서로 다른 서버에 위치하며 필요시 조합 또는 통합되어 운영된다. Internet GIS를 이용한 상습침수지구 지역정보 제공사이트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으로 서비스 할 수 있는 인터넷용 상습침수지구 GIS기본도를 구축이 필요하다.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상습침수지구 기본도는 또 다른 형태의 주제도라고 볼 수 있으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자료변환 및 가공이 필요하다. 즉, 각 상습침수지구에 필요한 지형도는 국립지리원에서 제작된 1:5,000 수치지형도가 있으나 이는 자료가 방대하고 상습침수지구에 필요하지 않은 자료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습침수지구의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많은 불필요한 레이어의 삭제, 서비스 속도를 고려한 데이터의 일반화작업, 지도의 축소.확대 등 자료제공 방식에 따른 작업 그리고 가시성을 고려한 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

  • PDF

Accuracy Assessment of Feature Collection Method with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s Using Stereo Plotting Program StereoCAD (수치도화 프로그램 StereoCAD를 이용한 무인 항공영상의 묘사 정확도 평가)

  • Lee, Jae One;Kim, Doo Py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0 no.2
    • /
    • pp.257-264
    • /
    • 2020
  • Vectorization is currently the main method in feature collection (extraction) during digital mapping using UAV-Photogrammetry. However, this method is time consuming and prone to gross elevation errors when extracted from a DSM (Digital Surface Model), because three-dimensional feature coordinates are vectorized separately: plane information from an orthophoto and height from a DSM. Consequently, the demand for stereo plotting method capable of acquiring three-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simultaneously is increasing.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an expensive equipment, a Digital Photogrammetry Workstation (DPW), and the technology itself is still incomplete. In this paper, we evaluated the accuracy of low-cost stereo plotting system, Menci's StereoCAD, by analyzing its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acquisition. Images were taken with a FC 6310 camera mounted on a Phantom4 pro at a 90 m altitude with a Ground Sample Distance (GSD) of 3 cm. The accuracy analysis was performed by comparing differences in coordinates between the results from the ground survey and the stereo plotting at check points, and also at the corner points by lay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t check points was 0.048 m for horizontal and 0.078 m for vertical coordinates, respectively, and for different layers, it ranged from 0.104 m to 0.127 m for horizontal and 0.086 m to 0.092 m for vertical coordinates,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1: 1,000 digital topographic map can be generated using a stereo plotting system with UAV images.

A 2-D Location Determination Model of Buried Persons in Collapsed Shape using Optimal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최적 무선통신 기술을 활용한 붕괴지형 매몰자의 2차원 매몰위치 결정 모델)

  • Moon, Hyoun-Seok;Lee, Woo-Sik;Lee, Gun-Woo;Han, Dong-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12
    • /
    • pp.8879-8888
    • /
    • 2015
  • When the disaster like earthquake in urban area occur, due to the collapse accidents for subway, tunnel space with buildings or underground area, enormous property and human damage are happened. Specially, sinc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survived status of humans within collapsed debris and accurately buried locations of the humans, inputs of considerable time and manpower for rescuing them are required. Besides, secondary damage can be occurred by additional collaps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tochastic location positioning method that enables to provide aid information by determining locations of mobile devices for buried persons in 2-D plan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is study selected a detection method for buried persons based on Wi-Fi signal, and identified characteristics of signal strengths by distance unit. Using these methods, a stochastic location detection model in 2-D plane was built. It is expected that this technology will be utilized as a core technology that can protects safety and human life of the public by providing data for rescuing quickly buried persons in cases of national disasters for future.

Improvement of Mid-Wave Infrared Image Visibility Using Edge Information of KOMPSAT-3A Panchromatic Image (KOMPSAT-3A 전정색 영상의 윤곽 정보를 이용한 중적외선 영상 시인성 개선)

  • Jinmin Lee;Taeheon Kim;Hanul Kim;Hongtak Lee;Youkyung Ha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6_1
    • /
    • pp.1283-1297
    • /
    • 2023
  • Mid-wave infrared (MWIR) imagery, due to its ability to capture the temperature of land cover and objects, serves as a crucial data source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defense. The KOMPSAT-3A satellite acquires MWIR imagery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compared to other satellites. However, the limited spatial resolution of MWIR imagery, in comparison to electro-optical (EO) imagery, constrains the optimal utilization of the KOMPSAT-3A data. This study aims to create a highly visible MWIR fusion image by leveraging the edge information from the KOMPSAT-3A panchromatic (PAN) image. Preprocessing is implemented to mitigate the relative geometric errors between the PAN and MWIR images. Subsequently, we employ a pre-trained pixel difference network (PiDiNet), a deep learning-based edge information extraction technique, to extract the boundaries of objects from the preprocessed PAN images. The MWIR fusion imagery is then generated by emphasizing the brightness value corresponding to the edge information of the PAN image.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the MWIR fusion images were generated in three different sites. As a result, the boundaries of terrain and objects in the MWIR fusion images were emphasized to provide detailed thermal information of the interest area. Especially, the MWIR fusion image provided the thermal information of objects such as airplanes and ships which are hard to detect in the original MWIR image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generate a single image that combines visible details from an EO image and thermal information from an MWIR image, which contributes to increasing the usage of MWIR imagery.

A Study on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ancient reservoir through hydrological analysis - Cheong reservoir located Yeongcheon, southeastern part of Korea (수문학적 분석을 통한 한국 고대수리시설의 농업생산력 연구 - 영천 청제)

  • Jang, Cheol Hee;Kim, Hyeon Jun;Seong, Jeong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3-33
    • /
    • 2018
  • 농업이 기간산업이었던 고대사회에서 수리시설(水利施設)의 축조는 농업의 성패를 가늠하는 중요한 요소로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적인 대규모 사업이었다. 이에 따라 수리시설의 축조 시기와 배경, 축조 기술과 운영, 구조, 몽리(蒙利) 효과 및 보수(補修)와 수축(修築) 등에 대한 연구는 우리의 농경(農耕)문화사를 밝히는데 중요한 관건이 된다. 관개(灌漑) 수리시설의 축조와 정비는 수전(水田) 개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제방(堤防)을 축조함으로써 주변의 수전 개발을 촉진하고, 가뭄과 홍수로부터 안전하게 전답을 유지할 수 있어 수확량을 높이게 된다. 농업생산력의 향상은 대내적 체제 정비는 물론 치열한 국가 간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데 필요한 경제적 배경이 된다. 이처럼 고대수리시설은 개인과 집단 나아가 국가의 생존을 뒷받침하는 근본이었지만, 과연 우리는 그 역사성과 의미에 대해 제대로 평가를 했던 것일까? 또한, 고대수리시설의 관개 및 치수(治水) 능력은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였으며 근대에 비하면 어느 정도였을까? 일부 수리시설에 대해 관개면적을 추정한 경우는 있으나, 그 예도 많지 않을뿐더러 시기적인 변천 양상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고대로부터 원형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수리시설 중 경북(慶北) 영천(永川)의 청제(菁堤)를 대상으로 고고학적 역사학적 입장에서 보다는 수문학적(水文學的) 농업수리학적(農業水利學的) 관점에서 저수량(貯水量) 및 관개(灌漑) 면적에 따른 농업생산력을 살펴보았다. 지형 및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를 이용하여 저수지의 규모 및 관개 면적을 추정하였으며 수문학적 해석 모형(模型)인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김현준 등, 2012)을 이용하여 저수량 및 관개 가능량을 분석하였다. CAT은 공간 단위별로 침투(浸透), 증발(蒸發), 지하수(地下水)흐름 등의 모의(模擬)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모형이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 및 홍수방재용(洪水防災用) 저류(貯留)시설 등의 저류량(貯留量) 및 방류(放流量)에 대한 모의가 가능하다(장철희 등, 2012). 고대수리시설의 저수량 및 관개 면적에 따른 농업생산력을 공학적 수문학적으로 해석하는 연구는 과거물 관리 및 생산력의 실태를 좀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며, 역사학적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고대수리시설의 역사성 및 우수성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