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 오염저감기술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nalysis of hydrological components according to low impact development practices (저영향개발 기법 적용에 따른 수문요소 영향 분석)

  • Lee, Hyunji;Kang, Moon Seong;Kim, Hakkwan;Kim, Kyeung;Kim, Ji Hy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21-321
    • /
    • 2020
  • 도시화로 인해 유역의 불투수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수문학적 요소와 수질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강우시 지표유출의 증가, 토양층 침투 차단으로 인한 지하수 재충전 감소 및 지하수위 감소를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기저유출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증가된 불투수면적이 강우유출수의 수문 및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최근 저영향개발 (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LID 기법은 개발 이전의 수문순환 상태에 최대한 근사하도록 개발하는 기법으로 우수 유출 속도 감소, 유역에서의 저류, 침투 및 증발산 과정 촉진, 하류로의 오염물질을 저감시킨다. 효과적인 저영향개발 기법 적용을 위해서는 시설 설치 전 모형을 이용한 저영향개발 기법의 적용 효과를 파악해야 한다. 이에 따라 많은 저영향개발 기법 모형들이 개발되었으며, 그 중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이 LID 효과분석을 위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SWMM 모형의 경우, 저영향개발 기법으로 모의되는 침투 후 토양 물 흐름이 토양의 수분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모의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SPF(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FORTRAN) 모형을 이용하여 LID 시설 내에서의 저류현상을 구현하고 수문요소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HSPF 모형의 입력자료를 구축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LID 모형 적용 전에 모형의 보정 및 검정을 수행하였으며, LID 시설을 적용하여 유역내 수문요소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LID 효과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olar Photochemical Degradation and Toxicity Reduction of Trichloroethlylene (TCE) (Trichloroethlylene (TCE)의 광화학적 분해 및 독성 저감)

  • Park, Jae-Hong;Kwon, Soo Youl
    • Clean Technology
    • /
    • v.12 no.4
    • /
    • pp.244-249
    • /
    • 2006
  •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trichloroethlylene (TCE), has been investigated over $TiO_2$ photocatalysts irradiated with solar light. The effect of operational parameters, i.e., initial TCE concentration, $TiO_2$ concentration, pH and additives ($H_2O_2$, persulphate($S_2O{_8}^-$)) on the degradation rate of aqueous solution of TCE has been examined.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work demonstrated that degradation of the TCE with $TiO_2/solar$ light was enhanced by augumentation in $TiO_2$ loading, pH, and adding additives but was inhibited by increase in initial TCE concentration. Also individual use of $H_2O_2$ was far more effective than using persulphate in TCE removal efficiency. Furthermore, the relative toxicity with a $solar/TiO_2/H_2O_2$ system was about 15% lower than with a $solar/TiO_2/persulphate$ system and about 35% lower than with a $solar/TiO_2$ system within a reaction time of 150 min, respectively.

  • PDF

Acid Drainage and Damage Reduction Strategy in Construction Site: An Introduction (건설현장 산성배수의 발생현황 및 피해저감대책)

  • Kim, Jae-G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0 no.5
    • /
    • pp.651-660
    • /
    • 2007
  • Acid drainage has been recognized as an environmental concern in abandoned mine sites for long time. Recently, the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damage by acid drainage is a current issue in construction sites in Korea. Here, the author introduces the type of damages by acid drainage in construction site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geoscience discipline in solving the problem. Metasedimentary rock of Okcheon group, coal bed of Pyeongan group, Mesozoic volcanic rock. and Tertiary sedimentary and volcanic rocks are the major rock types with a high potential for acid drainage upon excavation in Korea. The acid drainage causes the acidification and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soil,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the reduction of slope stability, the corrosion of slope structure, the damage on plant growth, the damage on landscape and the deterioration of concrete and asphalt pavement. The countermeasure for acid drainage is the treatment of acid drainage and the prevention of acid drainage. The treatment of acid drainage can be classified into active and passive treatments depending on the degree of natural process in the treatment. Removal of oxidants, reduction of oxidant generation and encapsulation of sulfide are employed for the prevention of acid drainage generation.

Effects of Small Scale Post-Harvest Facility and Hygiene Education on the Level of Microbial Safety in Korean Leeks Production (영양부추 생산농가의 소규모 수확후 처리시설 적용과 위생교육에 따른 미생물학적 안전성 향상 효과)

  • Kim, Se-Ri;Kim, Jin-Bae;Lee, Hyo-Sup;Lee, Eun-Sun;Kim, Won-Il;Ryu, Song-Hee;Ha, Jihyung;Kim, Hwang-Yong;Ryu, Jae-Gee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0 no.3
    • /
    • pp.249-257
    • /
    • 201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small scale post-harvest facility, and consequently to evaluate the effects of applying the facility along with hygiene education on the level of microbial safety in Korean leeks production. A total of 135 samples were collected at three Korean leeks farms in Yangju, Gyeonggi province. Food safety indicators (Aerobic plate count (APC), coliform count, and Escherichia coli) and foodborne pathogens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Bacillus cereus) on/in the samples were assessed. The microbial load measured as APC with harvesting tools such as comb, chopping board, and knife, at the farms where the small scale post-harvest facility had been operated (Farms A and B) was lower than that at another farm having no post-harvest facility (Farm C) by 1.44~2.33 log CFU / $100cm^2$. Moreover, the chopping board from Farm C was observed being contaminated with B. cereus at 6.03 log CFU / $100cm^2$. The coliform counts from the samples increased by 0.57~1.89 log CFU/g after leeks was submerged in ground water for washing. E. coli was recovered from leeks, soil, and the ground water used in the washing process, while no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and L. monocytogenes was detected.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small scale post-harvest facility developed in this study as well as the hygiene educ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level of microbial food safety in the leeks production environment. However, a disinfection technique could be needed during the washing step in order to prevent a potential contamination.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in the ImJin-River Basin (2005년 임진강 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 Kim, Dong-Phil;Jung, Sung-Won;Lee, Seok-Ho;Lee, S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56-176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진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5년에 발생한 유출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임진강 유역은 유역전체 면적중 2/3이상이 북한지역에 위치하고 있어서 전체적인 수문관측 자료를 수집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으나, 가용한 수문관측 자료 및 유량측정성과를 이용하여 5개 지점에 대한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임진강 유역에서는 30분 단위의 연속적인 우량 및 수위관측(건설교통부)을 하고 있으며, 기상청에서는 1시간 단위의 기상관측을 하고 있다. 우량 및 수위자료의 수집과 검토를 통하여 유역면적우량과 5개 수위관측소의 수위를 최종 확정하였다. 그리고 2005년에 측정한 유량측정성과를 통하여 유량측정성과에 대한 불확실도, 기본 수리특성 분석,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여 유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유량은 월별, 주요 호우사상별 유출률 분석을 통하여 합리적인 유출률 범위내에서 재 조정절차를 거쳐 최종 유량을 확정하였다. 산정된 유출률은 57.0%(영중)${\sim}$72.1%(적성)의 유출률을 보였으며, 2004년 임진강 유량측정용역 보고서의 유출률과 비교한 결과 일부지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진강 유역의 일부인 설마천 시험유역에서의 2005년 연간 유출률은 60.9%로 상기의 값은 매우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남북한 수문자료의 공유 및 기술적 교류, 유역 전체의 정밀한 수문관측 및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 생성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정확한 유출특성 거동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며, 효과적인 치수 및 이수계획의 수립 등 수자원 개발을 위한 기반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수리모형실험과 연계하여 댐 설계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투수성 포장과 지하수에 관련된 매개변수의 집적과 분석결과는 현장기술 적용 시 매개변수의 유용한 선택과 도시유역의 물 순환 건전화 대안기술 적용에 효과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첨두홍수량을 저류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저류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대등한 수위감소값의 홍수저감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On-Line 저류지 면적은 Off-Line 저류지에 비 두배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졌다.들에 관한 정보는 종종 현장관측에서 조차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질모형의 매개변수 중 특히 수리특성에 관련된 매개변수들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적용된 수질모형은 QualKo를 사용하였으며, 대상 하천은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시점 부근인 회천 합류 전부터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종점 부근인 밀양강 합류 전까지의 경남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 PDF

Design of Dam Spillway with One Dimensional Numerical Model (1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댐 여수로 설계)

  • Kim, Won;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37-174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1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댐 여수로에서 발생하는 흐름을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1차원 수치모형은 매우 복잡한 지형에 적용이 가능하며, 상류가 사류가 동시에 발생하거나 도수가 발생하는 흐름도 해석할 수 있는 모형이다. 이 모형은 해석해를 가지는 도수의 경우에 적용하여 검증된 바 있으며, 자연하천의 보에서 발생하는 불연속 흐름에 대해서도 적용된 바 있다. 또한 매우 불규칙한 자연하천에서 발생하는 흐름도 효과적으로 모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댐 여수로 흐름 해석을 평가하기 위해 단순화된 하도에서 발생하는 불연속 흐름에 대해 이론적인 해와 비교하였다. 또한 댐 수리모형 결과에 수치모형을 적용하여 빈도별로 발생하는 흐름을 해석하였다. 해석결과 여수로에서 발생하는 매우 작은 수심을 정확하게 모의하였으며, 여수로 직하류부에서 발생하는 도수의 발생위치, 발생 전후의 수위도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수로 및 도수 전후에 발생하는 유속도 정확하게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1차원 수치모형을 여수로 뿐만아니라 댐 상류 하천, 저수부, 여수로 접근수로, 여수로, 도수, 하류하천등으로 구성되는 전 구간의 흐름을 동시에 모의하기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댐 저수지 상류 하천과 저수지, 저수지와 접근수로, 접근 수로와 여수로, 여수로와 도수, 도수 발생 후와 하류하천 등에서 복잡하게 형성되는 흐름을 동시에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1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면 댐 여수로나 저수지, 연계되어 있는 상하류 하천에서의 흐름을 동시에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수리모형실험과 연계하여 댐 설계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투수성 포장과 지하수에 관련된 매개변수의 집적과 분석결과는 현장기술 적용 시 매개변수의 유용한 선택과 도시유역의 물 순환 건전화 대안기술 적용에 효과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첨두홍수량을 저류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저류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대등한 수위감소값의 홍수저감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On-Line 저류지 면적은 Off-Line 저류지에 비 두배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졌다.들에 관한 정보는 종종 현장관측에서 조차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질모형의 매개변수 중 특히 수리특성에 관련된 매개변수들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적용된 수질모형은 QualKo를 사용하였으며, 대상 하천은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시점 부근인 회천 합류 전부터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종점 부근인 밀양강 합류 전까지의 경남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

  • PDF

Development of Various Pilot Scale's Ultrasound Systems and Sonodegradation of Naphthalene in Water (다양한 형태의 Pilot Scale 초음파 시스템 개발 및 나프탈렌 분해효율 검증)

  • Park, Jong-Sung;Lee, Ha-Yun;Han, Jong-Hun;Her, Nam-G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4
    • /
    • pp.281-288
    • /
    • 2011
  • Recently, researches that a variety of contaminants in water are removed by sonolysis technology with oxidation and pyrolysis process from cavitation were conducted.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for sonochemical treatment by a pilot-scale ultrasound system. This research focused on developing pilot-scale ultrasound systems, which could be an continuously effective treatment for a large volumes of contaminants, and demonstrating the feasibility of utilizing these systems to remove naphthalene from groundwater. V-120 type reactor was found to be 1.4~2.2 times higher effective than the normal type. A total of three different pilot scale's systems consisted of installing effluent and irrigation water in order to be a continuos system, including supplemental additives, and applying a V-120 type reactor and a external cooling cycle system. Naphthalene levels treated by three systems were lower than a recommended guideline of naphthalene for drinking water in EPA. Especially, the naphthalene removal efficiencies of PS1 and PS2 systems were over 97%. The pilot-scale continuous ultrasound clean-up system delivered over 84~95% naphthalene removal efficiency for treatment of 10~20 liter of groundwater. In addition, the ultrasound system could be successfully applied to the conditions of artificial and genuine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naphthalene.

Microbial Reduction of Iron Oxides and Removal of TCE using the Iron Reduced by Iron Reducing Bacteria (철 환원 박테리아에 의한 산화철의 환원과 환원된 철을 이용한 TCE 제거에 관한 연구)

  • Shin, Hwa-Young;Park, Jae-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2
    • /
    • pp.123-129
    • /
    • 2005
  • In situ permeable reactive barrier (PRB)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to reductively remove organic contaminants from the subsurface environment. The major reactive material, zero valent iron ($Fe^0$), is oxidized to ferrous iron or ferric iron in the barriers, resulting in the decreased reactivity. Iron-reducing bacteria can reduce ferric iron to ferrous iron and iron reduced by these bacteria can be applied to dechlorinate chlorinated organic contaminants. Iron reduction by iron reducing bacteria, Shewanella algae BrY, was observed both in aqueous and solid phase and the enhancement of TCE removal by reduced iron was examined in this study. S. algae BrY preferentially reduced Fe(III) in ferric citrate medium and secondly used Fe(III) on the surface of iron oxides as an electron acceptor. Reduced iron formed reactive materials such as green rust ferrihydrite, and biochemical precipitation. These reactive materials formed by the bacteria can enhance TCE removal rate and removal capacity of the reactive barrier in the field.

Status and Management Strategy of Pesticide Use in Golf Courses in Korea (우리나라 골프장의 농약사용 실태 및 관리방안)

  • Kim, Dongjin;Yoon, Jeongki;Yoo, Jiyoung;Kim, Su-Jung;Yang, Jae E.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7 no.3
    • /
    • pp.267-277
    • /
    • 2014
  •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ssess the available data on the pesticide uses and regulations in the golf courses, and provide the nationwide systematic management options. Numbers of golf courses in Korea are rapidly increasing from 2000s and reached at 421 sites by the end of 2011. Accordingly pesticide usage has been increased with years in direct proportion to the increasing number of golf courses. Amounts of pesticide applied in 2011 were 118,669 kg as of an active ingredient and were in the orders of fungicides (54.9%) > insecticides (24.4%) > herbicides (13.3%) > growth regulators (0.1%). Average pesticide usages in 2011 were 280.9 kg per golf course and $5.4kg\;ha^{-1}$. Frequencies of the residual pesticide detections in green and turf were higher than those in fairway and soil, respectively. Residue of highly toxic pesticides was not detected in golf courses.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10 has developed the 'golf course pesticide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which is the advanced online registry for kind and amount of pesticides applied in each golf course. This system is intended for monitoring of the pesticide uses and residual levels and protect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pesticides in the golf course. In 2009, management of pesticides in the golf courses became the task of Ministry of Environment, being merged from many federal agency and ministries. The protocol for the site-specific best management practices, on which to base results from the risk assessment, should be set for pesticides in the golf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impa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