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 오염원

Search Result 20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recent trend of the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policy and the role of geophysical exploration technology (최근의 토양${\cdot}$지하수환경 정책동향과 물리탐사기술의 발전과제)

  • Kim Young-Woong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0.09a
    • /
    • pp.5-18
    • /
    • 2000
  • 토양${\cdot}$지하수환경분야와 관련된 제도들이 최근 개정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시점에서 조사단계 및 처리단계이후의 유지관리분야에서 지구물리탐사분야의 중요성이 점차 인식되고 있다. 특히 토양${\cdot}$지하수오염과 관련하여 오염유발가능시설의 $80\%$가 농촌지역에 산재되어 있으나, 그 규모와 오염정도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따라 지하수의 수질은 점차적으로 저질화 되어가고 있으나 비가시적인 이유로 인하여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또한 오염조사 및 오염복원 등이 제도적으로 뿌리내리지 못해 오염원의 범위, 정도 등을 확인하는데 많은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는 현실이다. 최근 관계법령의 개정을 통해 보다 엄격하고 강화된 규제 및 책임을 법제화하는 일은 현재와 미래의 환경보전을 위해 다행한 일이라 하겠다. 특히, 지하수오염 등은 국가적인 불행한 일이므로 향후 토양${\cdot}$지하수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오염인자에 대한 정밀실태조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현재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토양환경보전법과 지하수법의 개정취지를 제대로 살리면서 환경오염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지구물리탐사분야와 지질조사분야에서의 다양하고 정밀한 조사를 위한 방법들과 내용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오염부지 특성조사를 위한 절차 및 방법들이 구체적으로 법제화되어 할 것이다.

  • PDF

Groundwater Quality Analysis from Low Concentration Liquid Manure Application in Bio-Circulation Experimental Forest (바이오순환림의 저농도액비 시용에 따른 지하수 수질 분석)

  • Hong, Eun-Mi;Choi, Jin-Yong;Yoo, Seung-Hwan;Nam, Won-Ho;Choi, I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81-1685
    • /
    • 2010
  • 우리나라 가축분뇨 발생량 중 약 10%만이 정화방류 및 공공처리에 의해 처리되고 있으며 2012년 이후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육상처리에 대한 대책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최근 이에 대한 대안 중 하나로 산림지 및 조림지역에 축산분뇨 액비를 처리하자는 대안이 대두되고 있다. 가축분뇨로부터 생산된 액비는 화학비료를 대신하여 자연순환농업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축분뇨를 비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시용량이나 시용 시기, 시용대상에 따라 환경, 특히 수질 및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저농도액비 시용이 지하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 및 환경영향평가, 영향성분 수지의 균형여부 등에 대한 모니터링과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합나무 조림지인 바이오순환림에 저농도액비를 시용하였을 때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매주 지하수의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수질항목에 대하여 분석한 후 액비시용에 따른 수질변화를 제시하였으며, 지하수 오염여부를 결정하는 대표항목인 질산성질소의 오염원을 판별하기 위하여 질소 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추후 지속적인 지하수 모니터링을 통하여 다양한 수질항목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바이오순환림을 비롯한 산림지에서의 저농도액비 시용에 따른 수질 영향 평가 및 모형 구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ollution of Groundwater in the Ponchon Area, Kwangju (광주, 본촌지역의 지하수의 수화학적 특성과 오염)

  • 양해근;김인수;최희철;김정우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6 no.4
    • /
    • pp.83-95
    • /
    • 2001
  • In this study, the contaminated status of groundwater under Ponchon Basin, Kwangju-city was analyzed by hydrogeological survey. Though the distribution of groundwater hydraulic head was similar with the ground elevation, the flow system of groundwater was changed due to overpumping in the industrial area. Paddy field and residential area which were located in the north part of the basin had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Cl, N $a^{+}$ and N $O_3$$^{[-10]}$ in the groundwater. Southern part of the basin which most industrial area occupied had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HC $O_3$, $Ca^{2+}$, $Mg^{2+}$ and Zn. Groundwater was contaminated by C $l^{[-10]}$ and N $O_3$$^{[-10]}$ due to the infiltration of domestic sewage and factory wastewater. In the Cl case, C $l^{[-10]}$ had a tendency of distribution over the water shed along with the contaminated source. The drawdown of groundwater due to overpumping caused more vertical movement of contaminant than lateral movement. If the overpumping continues in the industrial area, the groundwater flow system will be more affected and the groundwater will be lowered in the north part of basin. It is clear that contamination by C $l^{[-10]}$ and N $O_3$$^{[-10]}$ due to domestic sewage and factory wastewater will spread through the whole basin area.rea.

  • PDF

Sequential Gaussian Simulation(SGS)에 의한 질산성질소 오염 분포 영상화

  • 배광옥;이강근;정형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82-85
    • /
    • 2003
  •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 유포리 연구지역의 지하수의 NO$_3$-N 2차원 공간 분포를 정의하기 위하여 지구통계학적 해석 방법인 sequential Gaussian simulation(SGS)을 이용하였다. 원자료의 공간적 clustering을 제거하기 위하여 cell declustering을 수행한 후 normal score 변환을 거친 후 variogram 분석과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Exponential, gaussian, spherical variogram model에 대한 각각의 nugget, range, sill을 정의하여 SGS에 이용하였다. SGS에 의해 도출된 결과들은 모두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관측 자료의 분포와 주 오염원의 분포와 상응하는 모델링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SGS를 이용한 농촌지역 지하수내 NO$_3$-N의 공간적 오염 분포 영상화가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study of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making use of GIS ( Well analysis program, connection program of ground water modeling ) (GIS를 이용한 지하수관리시스템 개발 연구 (관정분석 프로그램, 지하수모델링 연계프로그램))

  • 이병호;김양빈;설민구;송양권;송무영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2.04a
    • /
    • pp.235-248
    • /
    • 2002
  • Ground water development skill growth and life circumstances improvement increase ground water use. So managerial difficulties and various problems about ground water occur. Poor ground water management organization, lack of management person, thoughtless development add ground water pollution and lack of water volume. And local excessive developments or abandoned well occur. This paper presents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model making use of GIS and helps effective management by realizing necessary analysis functions in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and ground management methods. Local information of ground water recorded and development data, site examination data made D/B. And linearment analysis data making use of a satellite image data, hydraulic test data, the quality of water examination data, these local characteristic values made out thematic maps and making use of these data can form elementary data of ground water modeling It makes easy to understand environmental development conditions and pollution source conditions about new ground water development location, linearment growth, DRASTIC, the quality of water examination.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making use of these functions can choose right location of ground water.

  • PDF

Th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by Acid Mine Drainage in the Vicinity of the Hanchang Coal Mine and the Efficiency of the Passive Treatment System (산성광산배수에 의한 한창탄광 부근 지하수의 오염과 자연정화처리시설 효율에 관한 연구)

  • 지상우;김선준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8 no.2
    • /
    • pp.9-18
    • /
    • 2003
  • Sampling of waters from each stage of treatment system (Successive Alkalinity Producing System; SAPS), tailings seepage, and spring near the Hanchang coal mine of Kangwon Province were carried out seasonally and analyzed to evaluate the source and possible path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acid mine drainage (AM). Sulfur isotope compositions were measured to identify the origin of groundwater contaminations and the sulfate reduction processes in the SAPS. Low pH and high metal concentration of spring water indicates possibility of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AMD. Removal efficiency of acidity of the SAPS was 18.17 g/$\textrm{m}^2$/day on an average and the metal removal efficiency was almost 100%, which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 systems. However, no appreciable decrease of sulfur content and almost similar sulfur isotope compositions of water from each stage of the treatment system may suggest incomplete or very poor sulfate reduction by sulfate reducing bacteria. Chemical and sulfur isotope compositions showed that spring water was contaminated by seepage from mine tailings. And seepage of stonewall, a part of treatment system was affected by both tailings seepage and mine adit drainage. In this study site, the treatment system was constructed for the only AMD from mine adit not for tailings seepages, which resulted in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from tailing seepages. Similar situation is expected in other abandoned coal mine areas.

Numerical Study of Contaminant Pathway based on Generic-scenarios and Contaminant-based Scenarios of Vadose Zone (범용 시나리오 및 오염물질 시나리오에 기반한 불포화대 오염물질 경로에 대한 수치모의 연구)

  • Chang, Sun Woo;Kim, Min-Gyu;Chung, Il-M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6
    • /
    • pp.751-758
    • /
    • 2019
  • This study tested various assumptions that simplified the configuration of the numerical model for unsaturated zone's contaminant transport to simulate the pathway to exposed poi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taminant migration through in the pollutant exposure pathway of vadoze zone for risk assessment of the contaminated site. For the purpose, generic scenarios as well as contaminant-based scenarios were simulated using the numerical code for transport of the contaminant in the pathway. The finite-difference one-dimensional transport with adsorption and biodegradation were considered, and it also assumed that the initial concentration was also depleted over time. The results of the generic-scenario show that as the groundwater infiltration rate decreases, the longer the path from the source to the groundwater level, the lower the concentration at the point of inflow into the groundwater leve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igh biodegradation rate and rapid depletion of pollutant sources, statistically outliers were found in the simulated results and generic scenarios was good at prediction.

Study of securing safe groundwater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지하수 수질관리를 위한 안심지하수 연구)

  • Lee, Chung-Mo;Hamm, Se-Yeong;Jeon, Hang-Tak;Lim, Woo-R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54-454
    • /
    • 2017
  • 국내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 내 취약 계층은 약 214만 명으로 대부분은 노후관정 및 미신고 관정에서 지하수를 먹는물로 이용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미신고 관정이기 때문에 실태파악이 어렵고 정기적인 수질 검사를 실시하지 않아 수질상태에 대한 안전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농촌지역의 관정은 천부지하수의 의존도가 크고 강우에 의한 지표오염물질(축산분뇨, 비료 등)이 관정 내부로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기존 연구에서도 천부지하수 관정의 조사 결과, 질산성질소 및 총대장균군에 의한 수질 오염이 심각하다고 보고된다(Chae et al., 2004; Min et al., 2003). 따라서 상수도 미보급지역 지하수 관정의 지하수 수질 현황을 파악하고, 고농도 오염 관정 및 지역의 경우 정밀조사를 통해 오염 원인을 규명해야 한다. 또한 오염 원인에 대한 향후 개선방안 및 대책안을 마련하여 지하수 수질 안정성 확보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안심지하수 지원 사업을 2012년 "지하수 안심이용 무료 수질검사 시범사업"부터 시작하여 2016년 "상수도 미보급지역 2016년 안심지하수 지원사업 연구"로 이어지며 수행하였다. 이 사업은 수질분석, 관정내부 탐사, 마을 공용 음용관정 설치지원, 고농도 오염지역 중 시범사업 지역 선정, 고농도 오염지역 수질개선 시범사업으로 구성된다. 수질 분석은 2012년 TA군 내 8개 읍 면의 1,200개 관정, 2013년 경기 북동부권 8개 시 군 11,861개 관정, 2014년 전국 14,494개 관정, 2015년 전국 25,900 관정, 2016년 전국 25,914 관정에 대해 수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질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농도 오염지역의 지하수 관정 내부 탐사를 실시하여 소유주에게 주변 환경 개선 조치 및 대민 지원(마을 공용 음용관정 설치)을 수행하고, 시범조사 대상지역을 선정하여 오염지역의 오염원 현황, 수질조사, 지하수 유동 모델링을 실시하여 오염 원인을 파악하였다. 추가로 2014년에는 안심지하수 수질보전 연구로드맵을 작성하여 환경부에 제시하였고, 2015년은 수질개선 사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 수질자료 DB 구축이 완료되었다.

  • PDF

Leachate Concentration to Groundwater Considering Source Depletion for Risk Assessment in Vadose Zone of Contaminated Sites (오염부지 위해성평가 시 불포화대 오염원 고갈을 고려한 토양유출수 농도 결정)

  • Chang, Sun 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0 no.6
    • /
    • pp.583-592
    • /
    • 2020
  • This study assessed source depletion in the vadose zones of contaminated sites. The possible range of infiltration rate in Korea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showed a trend of decreasing leachate concentration of 13 pollutants used for risk assessment. Among them, benzene, ethylbenzene, toluene, and xylene showed a lower leachate concentration in groundwater over time due to their low distribution coefficient and also possible biodegradation effects. The average values of the relative concentration could be taken as a default index due to a very small range of uncertainties. In the case of heavy metals, it was shown that the leachate concentration in a pollutant does not decrease over time. Considering the annually different infiltration, a site-specific source-depletion scenario was applied to Cheongju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The result was expressed as a time series of the relative concentration of the leachate concentration, and this was compared to the trend by averaged Korean infiltration. Finally, an open-source code that used Python was used to help calculate the leachate concentration by this site-specific infiltration scenar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