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온도

Search Result 28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지하수 수온을 이용한 냉난방의 COP

  • 최무웅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04-105
    • /
    • 2003
  • 21세기는 에너지 크라이스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는 냉난방을 화석연료, 원자력에 의존도가 높은 에너지 사용 구조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환경에 큰 충격을 주고 있어 이에 대한 대체 에너지원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지하수는 년 중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그 열을 이용하면 친환경적은 물론 대제 에너지원으로 경제적 가치가 있다. 이와 같은 자연적 조건을 이용하여 지하수 수온과 Heat Pump을 연결해 주택, 공공건물의 냉난방을 구축 할 때의 COP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있다. (중략)

  • PDF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Pond loop type Heat Exchanger for Ground Source Heat Pump using Extruding Ground Wafer (유출지하수 열원 지열히트펌프용 Pond Loop형 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

  • Park Geun-Woo;Kim Jin-Sang;Lee Eung-Youl
    • New & Renewable Energy
    • /
    • v.2 no.2 s.6
    • /
    • pp.86-93
    • /
    • 2006
  • 유출지하수나 지표수를 열원으로 지열히트펌프의 지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Pond Loop형 열교환기를 설계, 제작하여 유동이 없는 수조 내에서 수조의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일정한 열교환기 입구온도를 유지하면서 열전달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조를 Heat Source로 사용하는 경우 $5,500{\sim}4,500kcal/h$의 열량이 전달되었고 수조를 Heat Sink로 사용할 경우 $5,200{\sim}3,500kcal/h$의 열량이 전달되었다. 또한 열교환기 관내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열전달량이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동시에 열교환기 입출구의 차압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열교환기의 설계단계에서 사용하였던 열전달관계식으로 구한 총괄열전달계수, U와 실험값을 통해 유추한 U값을 비교한 결과 실험에 의해 유추된 U값이 $24{\sim}27%$ 설계치보다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출지하수 뿐만 아니라 하수 및 하천수를 이용한 지열히트펌프의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 PDF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Pond Loop type Heat Exchanger for Ground Source Heat Pump using Extruding Ground Water (유출지하수 열원 지열히트펌프용 Pond Loop형 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

  • Park, Geun-Woo;Kim, Jin-Sang;Lee, Eung-Yo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445-450
    • /
    • 2006
  • 유출지하수나 지표수를 열원으로 하는 지열히트펌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Pond Loop형 열교환기를 설계, 제작하여 유동이 없는 수조 내에서 수조의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일정한 열교환기 입구온도를 유지하면서 열전달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수조를 Heat Source로 사용하는 경우 $5,500{\sim}4,500kcal/h$의 열량이 전달되었고, 수조를 Heat Sink로 사용할 경우 $5,200{\sim}3,500 kcal/h$의 열량이 전달되었다. 또한 열교환기 관내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열전달량이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동시에 열교환기 입출구의 차압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었다. 열교환기의 설계단계에서 사용하였던 열전달관계식으로 구한총괄열전달계수, U와 실험값을 통해 유추한U값을 비교한 결과 실험에 의해 유추된 U값이 $24{\sim}27%$ 설계치보다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출지하수 뿐만 아니라 하수 및 하천수를 이용한 지열히트펌프의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 PDF

Estimation of reservoir temperatures and subsurface environments for $CO_2-rich$ springs in Kangwon Province (강원도 지역 탄산용출수에 대한 심부온도 및 심부환경의 추정)

  • 최현수;고용권;윤성택;배대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520-523
    • /
    • 2003
  • 강원도 지역의 대표적인 탄산용출수에 대한 수리지구화학적 연구를 통하여 심부 지열 저장지의 온도와 심부환경을 추정하였다. 탄산용출수는 공통적으로 약산성의 pH와 높은 이온함량으로 특징되지만, 화학적으로는 Na-HCO$_3$형, Ca-Na-HCO$_3$형, 그리고 Ca-HCO$_3$형으로 뚜렷이 구분된다. 심부에서 생성된 탄산용출수가 지표로 상승하는 도중에 수반된 지표수 혼합차이로 인해 이런 화학조성의 차이가 유발된 것으로 판단된다. Na-HCO$_3$형 탄산수는 화학 조성상 ‘mature water’의 특징을 보여주는 반면, 다른 두 유형의 탄산수들은 ‘immature water’에 해당하였다. Na-HCO$_3$ 형 탄산수에 대하여 실리카, Na-K 및 Na-K-Ca 지온계를 적용한 결과, 약 l15-157도의 심부저장지 온도가 산출되었으며, 이 결과는 다성분 평형계를 이용한 추정 온도 (약 140-160도)와도 잘 일치하였다. 반면, Ca-HCO$_3$ 형 탄산수들은 지표수와의 혼합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고 넓은 범위의 추정 온도 (약 60-130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연구지역 내 탄산용출수의 심부저장지 온도는 Na-HCO$_3$형에 대해서만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약 140-160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 PDF

Development of heat exchanger for underground water heat. II - Design and manufacture for heat exchanger of underground water - (지하수 이용을 위한 열교환기 개발. II - 지하수이용 냉·난방기 설계제작 -)

  • Lee, W.Y.;Ahn, D.H.;Kim, S.C.;Park, W.P.;Kang, Y.G.;Kim, S.B.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4 no.1
    • /
    • pp.128-137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heat exchanger by utilizing the heat energy of underground water(15℃), which might be used for cooling and heating system of the agricultural facilities. We developed the heat exchanger by using the parallel type plat fin tube made of Aluminum(Al 6063), which was named Aloo-Heat(No. 0247164, offered by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he trial manufactures were made from Aloo-heat which was 600mm, 700mm length respectively, and It were welded to the end "U" type in order to direct flow of the underground water. The performance test was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 of open space and room temperature with the change of flow rate of the underground water and air.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rial manufactures had convection heat value from 33 to 156 W/m2℃, and It was coincided with design assumption. 2. The amount of energy transfer was in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the area of heat transfer, the air flow, the gap of temperature inlet & outlet the underground water and the air. 3. The heat value was 6,825W when the air flow was 6,000m3/h and the gap of temperature between inlet and outlet of the underground water was 6℃, and It dropped from 25.8℃ to 23.2℃(-2.6℃ difference). The convection heat value was 88.5W/m2℃. 4. The heat value was 2.625W when the air flow was 4,000m3/h and the gap of temperature between inlet and outlet the underground water was 2℃, and It dropped from 27℃ to 22.5℃(-4.5℃ difference). The convection heat value was 33.6W/m2℃. 5. Correlation values(R2) of the testing heat values of the trial manufacture type I, II, and III were 0.9141, 0.8935, and 0.9323 respectively, and correlation values(R2) of the amount of the air flow 6,000m3/h, 5,000m3/h, 4,000m3/h were 0.9513, 0.9414, and 0.9003 respectively.

Remote Control of Pumping System for Underground Water Pollution and Running Dry Prevention Using Ubiquitous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지하수 오염과 고갈방지를 위한 펌핑시스템의 원격제어)

  • Tack, Han Ho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8 no.3
    • /
    • pp.9-15
    • /
    • 2013
  • This paper was development of remote controller of pumping system by using ubiquitous for underground water contamination prevention in the area of glasshouse facility. This paper automatically controls from to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pumping sprinkler at water hanging cultivation. This prevents indiscreetive development of underground water, and prevents damage of environmental pollution without complementary measures in case of water lacked humble-voi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onfirms decrease of electrical fee, prevention of indiscreet underground water usage and its drying up thought optimum farm products management and pumping control system.

Thermo-hydraulic Modeling in Fault Zones (단층대에서의 열-수리적 거동 모델링)

  • Lee, Young-Min;Kim, Jong-Chan;Koo, Min-Ho;Keehm, Young-Seu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2 no.6
    • /
    • pp.609-618
    • /
    • 2009
  • High permeable faults are important geological structures for fluid flow, energy, and solute transport. Therefore, high permeable faul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hydrothermal fluid (or hot spring), high heat flow, and hydrothermal ore deposits. We conducted 2-D coupled thermal and hydraulic modeling to examine thermohydraulic behavior in fault zones with various permeabilities and geometric conditions. The results indicate discharge temperature in fault zones increases with increasing fault permeability. In addition, discharge temperature in fault zones is linearly correlated with Peclet number ($R^2=0.98$). If Peclet number is greater than 1, discharge temperature in fault zones can be higher than $32^{\circ}C$. In this case, convection is dominant against conduction for the heat transfer in fault zones.

Estimation of Slope Behavior by Soil Temperature (지중온도에 의한 사면의 거동 예측)

  • 장기태;한희수;유병선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9 no.6
    • /
    • pp.407-418
    • /
    • 2003
  • It is necessary, in the light of the importance of long-term slope stability problem, to develop a simple method or tool which can figure out the possible failure surface resulting from weathering effect and other factors. The FBG(Fiber Bragg Crating) sensor system is used to estimat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oil temperature and the slope behavior, and to find a failure surface in slopes effectively. This research is to seek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il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the strain distribution of the reinforcing materials in an active zone by analyzing the data from the in-situ measurement so that the possible failure surface should be well defined based on the correlation. The zone of high temperature fluctuation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possible failure surface due to the weathering effect while the constant temperature depth of the ground, if exists, would not be relatively affected by the weathering process.

Temperature Log in Boreholes (착정공 온도검층의 이용)

  • 염병우;김형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4 no.2
    • /
    • pp.73-77
    • /
    • 1997
  • Temperature log is an effective method for evaluating the thermal situation and ground water flow path within boreholes. When pumping is proceeding, the continuous temperature logs in a neighboring holt are very helpful to assess connectivity between holes. Mean geothermal gradient is calculated as 26.6$^{\circ}C$/km from 400 bottom hole temperatures, their depths, and the annual mean temperature at each location. Various examples of temperature logs in crystalline rocks are described: first examples show linear increases in homogeneous granitic rocks. Another one illustrates that isolated aquifers have connected each other after a borehole is completed. Slopes of temperature gradient indicate ground water inlet and/or outflow within a borehole. The other log concludes that thermal response in observation borehole induced by pumping is related to the location of interconnected fractures.

  • PDF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in Jeju Island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MLP and LSTM (딥러닝 알고리즘 MLP 및 LSTM을 활용한 제주도 지하수위 예측)

  • Kang, Dayoung;Byun, Ky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06-206
    • /
    • 2022
  • 제주도는 투수성이 좋은 대수층이 발달한 화산섬으로 지하수가 가장 중요한 수자원이다. 인위적 요인과 기후변화로 인해 제주도의 지하수위가 저하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에 따라 지하수의 적정 관리를 위해 지하수위의 정확하고 장기적인 예측이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이 지하수의 함양 및 수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제주도의 특징적인 기상인자가 지하수 시스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지하수위측에 있어서 물리적 모델을 이용한 방안은 다양한 조건에 의해 변화하는 지하수위의 정확하고 빠른 예측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애월읍과 남원읍에 위치한 지하수위 관측정의 일 수위자료와 강수량, 온도, 강설량, 풍속, VPD의 다양한 기상 자료를 대상으로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인 다층 퍼셉트론(MLP)와 Long Short Term Memory(LSTM)에 기반한 표준지하수지수(SGI)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MLP와 LSTM의 표준지하수지수(SGI) 예측결과가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MLP과 LSTM 예측모델의 결정계수(R2)는 애월읍의 경우 각각 0.98, 남원읍의 경우 각각 0.96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하수위 예측모델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과 정밀한 지하수위 예측이 가능해질 것이며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한 지하수자원 관리 방안 마련에 도움을 줄 것이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