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도로

Search Result 1,02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Case studies related to the installation of tunnel ventilation towers (터널 환기탑 국내·외 설치사례연구)

  • Park, Jun Kyu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4 no.3
    • /
    • pp.293-304
    • /
    • 2022
  • Recently, the frequency of installation of ventilation towers is increasing due to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underground roads and long tunnel. In this study, implications and points for improvement were considered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installation standards related to ventilation towers in tunnels and analysis of ventilation tower installation cases in domestic and overseas tunnel case study. As a result of this study, when selecting the location and height of the ventilation tower, it is recommended to determine the final ventilation tower type through a consultation process with residents,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impact caused by the emission of pollutants, the harmonious arrangement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and the efficient use of the above-ground site nearby ventilation tower. In addition, from the design stage,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review of reducing the height of the ventilation tower through air quality simulation is necessary for natural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topography and to prevent civil complaints.

도시화가 진행된 경기도 지역의 수문시계열 자료분석

  • Yang, Jeong-Seok;Kang, Dae-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25-1229
    • /
    • 2009
  • 최근 수자원의 공급중심에서 효율적 이용으로의 정책변화에 따라 도시화에 따른 지하수위 및 하천수위에 대한 연구는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현재 도시화로 인한 땅속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유출되는 강우는 도시화 이전인 1962년의 5배가 넘는 수준이다. 1962년 당시엔 40%에 이르던 빗물 침투율도 23%로 떨어져 물 부족 가능국가이면서도 강우 침투율은 저조하다. 이것은 도시화의 심화로 인한 시가지의 확대, 토지이용 고밀도화로 인한 불투수층 증가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지하수가 메마르고 토양이 건조해져 매년 평균 지하수위는 하강하고 있고 이것은 하천수위의 하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지역을 대상으로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의 수문시계열 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수문시계열자료로서는 지하수위, 하천수위자료를 수집하였고, 토지피복도를 참고하여 시가지 증가율을 확인하였다. 도시화가 진행된 도심지역 내 지하수위 관측소를 중심으로 하천수위 중 자료에 문제가 없는 곳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역 중 5개 지역에서 지하수위의 하강 및 하천수위의 하강이 관측되었다. 각 지역마다 연평균 하천수위 연평균 지하수위, 토지피복도를 도시하고, 토지피복도의 변화에 따른 불투수층확산지역의 지하수위와 하천수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시가지 증가율에 따른 불투수층이 증가함에 따라 지하수위와 하천수위는 하강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지하수위와 하천수위에 수문학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설명할 수 있고 여기에 최근 한국의 기후변화가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한다면 수위하강은 더욱 가속화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Risk Assessment Technique of the Underground Space -Focused on Prevention Policy of Fire and Explosion- (지하공간의 위험성 평가수법에 관한 연구 -지하가 화재, 폭발 방재 대책 중심으로-)

  • 박종근;노삼규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5 no.4
    • /
    • pp.64-70
    • /
    • 2001
  • This study suggests fire, explosion safety assessment items and risk assessment technique for underground shopping malls by extracting dangerous elements in the management stage through examination of related accidents, documents and present conditions. This will also suggest importance of seven items to be key indices for a counterplan by classifying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large scale, depth and complexity of underground shopping malls.

  • PDF

Problem Analysis and Repair Techniques of Underground Concrete Box Structures (지하 박스 콘크리트 구조물(지하철)의 결함 원인 및 대책)

  • 변근주;오병환;신용석;송하원;원대연;남진원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2
    • /
    • pp.70-76
    • /
    • 2002
  • 지하철, 고속철도, 신공항, 공동구, 지하보도, 지하차도, 하수도, 도로 및 철도 등 의 지하구조에는 일반적으로 박스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이 건설되고 있다. 1990년 대 중반 이후 시공 및 사용중인 지하 박스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 등의 문제점이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지하 박스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크게 결함(defect), 손상(damage), 열화(deterioration)의 3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 원인은 구조물에 균열(cracking), 누수(leakage), 처짐(deflection), 부동침하(settlement) 재료분리(segregation) , 박리(delamination), 부식(corrosion), 박락(spalling)등의 현상으로 나타난다.(중략)

원전 지하 Box Culvert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자동화 설계시스템 개발

  • 송영철;조명석;방기성;우상균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891-896
    • /
    • 1998
  • 최근 도시의 기능이 날로 다양화되고 복잡해짐에 따라 지하공간에 대한 활용도가 대단히 높아지고 있으며, 한국전력공사에서도 원자력 발전소에 많은 전력구조물을 지하에 건설하고 있다. 이러한 지하구조물을 보다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유지관리하기 위해서는 지하 구조물의 구조설계 및 도면제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한국전력공사 전력 연구원에서는 기존의 설계도면 및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구조설계에서부터 도면제작에 이르는 과정을 일괄 처리할 수 있는 “Box 구조물 자동화 설계 시스템”을 개발하여 실무에 적용하고 있다. 본 시스템의 개발은 지하구조물의 계획, 설계, 시공조건 등의 변경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으므로 설계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함은 물론 생산성의 향상, 품질의 고급화 및 설계자료 유지관리의 선진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ep-learning-based GPR Data Interpretation Technique for Detecting Cavities in Urban Roads (도심지 도로 지하공동 탐지를 위한 딥러닝 기반 GPR 자료 해석 기법)

  • Byunghoon, Choi;Sukjoon, Pyun;Woochang, Choi;Churl-hyun, Jo;Jinsung, Yoon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5 no.4
    • /
    • pp.189-200
    • /
    • 2022
  • Ground subsidence on urban roads is a social issue that can lead to human and property damages. Therefore, it is crucial to detect underground cavities in advance and repair them. Underground cavity detection is mainly performed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surveys. This process is time-consuming, as a massive amount of GPR data needs to be interpreted, and the results vary depending on the skills and subjectivity of experts. To address these problems, researchers have studied automation and quantification techniques for GPR data interpretation, and recent studies have focused on deep learning-based interpretation techniques. In this study, we described a hyperbolic event detection process based on deep learning for GPR data interpretation. To demonstrate this process, we implemented a series of algorithms introduced in the preexisting research step by step. First, a deep learning-based YOLOv3 object detection model was applied to automatically detect hyperbolic signals. Subsequently, only hyperbolic signals were extracted using the column-connection clustering (C3) algorithm. Finally, the horizontal locations of the underground cavities were determined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 hyperbolic event detection using the YOLOv3 object detection technique achieved 84% precision and a recall score of 92% based on AP50. The predicted horizontal locations of the four underground cavities were approximately 0.12 ~ 0.36 m away from their actual locations. Thus, we confirmed that the existing deep learning-based interpretation technique is reliable with regard to detecting the hyperbolic patterns indicating underground cavities.

A comparative study on stability evaluation of caverns by 2D continuum analysis in terms of shape factor (2차원 연속체 해석에 의한 지하공동 형상비별 안정성 평가 비교)

  • You, Kwang-Ho;Jung, Ji-Sung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0 no.2
    • /
    • pp.193-205
    • /
    • 2008
  •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such as oil and food storage caverns are recently increasing in our country. The stability of those underground caverns are greatly influenced by their shape and size. In this study therefore, the effect that the shape of an underground cavern have on its stability were analyzed in terms of safety factor. To this end, caverns with 5 different shapes were investigated and sensitivity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rock class, overburden, and lateral earth pressure coefficient. The proper amount of shotcrete and rockbolt as supports of a cavern was also assumed based on the shape and site of the cavern and rock condi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designing and evaluating the stability of caverns in future.

  • PDF

지하수위 변동 특성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국가 지하수 관측망 자료에의 적용

  • 강인옥;구민호;원종호;백건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92-9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변동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건설교통부에서 설치, 운영하고 있는 169개 국가 지하수 관측소의 264개 지하수관측정에서 측정된 지하수위자료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암반대수층과 충적층대수층의 평균수위 및 변동양상이 대체적으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관측소 설치 지역의 대부분에서 충적층(10m 내외)과 암반층(70m 내외)이 수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6시간 간격의 지하수위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위가 상승하는 횟수, 상승량의 합계 산정 등 변동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양 및 지구 조석의 영향을 받는 관측정의 경우 지하수위 상승 개수가 450개/yr 이상이 대부분이며, 수위 변동량은 0.1 ~ 1m 정도이고, 수위변동 자료를 시계열로 나타내 보면 하루에 약 2번의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수위변동 형태를 볼 수 있었다. 양수의 영향이 우세한 관측정에서는 수위 상승 개수가 약 360개/yr, 수위 변동량은 1m 이상의 값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지하수위 상승량은 암반/충적 관측정 모든 관측정에서 전반적으로 강수량과의 상관계수가 높았으며, 같은 관측정의 .자료라도 6시간 간격의 관측 자료보다, 12시간 및 24시간 관측 간격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12시간 및 24시간 관측 간격으로 분석할 경우 조석 및 양수에 의해 발생된 주기적인 지하수위 변동 성분이 제거되면서 강수에 대한 지하수위 반응의 상관도가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 PDF

Real-time Underground Facility Map Production Using Drones (드론을 이용한 실시간 지하시설물도 작성)

  • NO, Hong-Suk;BAEK, T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0 no.4
    • /
    • pp.39-54
    • /
    • 2017
  • Between 1998 and 2010, the computeriz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was completed in 84 cities. Since 2011, new pipelines have been laid or existing pipelines have been maintained, renovated, and renewed. To measure the exact location and depth of the exposure pipe, a map of underground facilities was created before filling the ground. This method is based on the time when the underground facilities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Regulation No. 134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Office revised in 2010 were drafted. The process of the drone taking the video is based on a theoretical basis of ground control points. The method works by removing all ground control points located outside of the error range and re-processing it for calculating the best result. Furthermore, using a drone-based spontaneous measuring method allows workers to obtain a high accuracy underground facilities map in error bound.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used as a new way to standardize the processing.

Construction Plan of 3D Cadastral Information System on Underground Space (지하공간 3차원 지적정보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 Song, Myungsoo;Lee, Su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6
    • /
    • pp.57-65
    • /
    • 2014
  • Recently, Construction business is changing from on the ground to underground space because of deficit of developing space, creation of green space and of incremental of land compensation expenses. Meanwhile, 3D Topographic, Marine and Cadastral maps need to have Spatial Interrelation. Also,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is also needed. Spatial information object registration system is impossible to contact and understanding intelligence mutually because the former one is managed as automatic ID system. Therefore, 3D Object information ID System of underground space is managed based on Object Identifier. Constr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integration ID System is required and it will offer Division Code (Ground, Index, Underground) and depth information. We are defined and classified Under Spatial Information in this paper. Moreover, we developed the integration ID System based on UFID for cadastral information Construction. We supposed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DB Construction and a developed the way of exploiting 3D cadastral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 will be the base data of Standard ID system, DB Construction and system Development of National spatial data which is considered together with spatial inter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