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개발

Search Result 1,96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Quality Level of Underground Spacial Information for Accuracy Improvement (지하공간정보 정확도 향상을 위한 품질등급제 연구)

  • Kim, Wondae;Lee, Kang Won;Kim, Tae 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9 no.3
    • /
    • pp.167-177
    • /
    • 2021
  • Facilities located in the underground space are closely related to the sanitation and safety of the city, and the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s precisely constructed and used as important information for facility maintenance, safety, and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In this study, a method was studied to increase the field usability 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ed in Korea and used in the field. For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in Korea was summarized, and cases of the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quality grading system applied in the US, UK, Canada, France, and Australia, which are advanced geospatial information countri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field usabilit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systems, standards, and management methods related to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of field experts and consumers working in related fields in Korea,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evance of the introduc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quality grading system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accuracy and reliability, and to improve related systems and regulations.

Effects of Tidal Fluctuation on Seawater Intrusion in Groundwater (조위 변화가 지하수 해수침투에 미치는 영향)

  • Nam, Byung Hee;Park, Nam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9-139
    • /
    • 2017
  • 우리나라 수자원의 잠재적 문제점중 하나는 단일 하천 혹은 댐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한반도의 지형, 기상, 경제성 등의 요인에 의해 야기된 결과이기도 하지만, 지하수 수자원의 불확실성과 적정 관리의 어려움에서 기인하였다. 지하수는 유속이 매우 느리며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지하수 과잉개발 및 오염 등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지하수자원을 활용하지 않고 무작정 보존하기 보다는 많은 연구개발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수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해안에 위치한 지하수개발관정의 경우 바닷물이 대수층을 통해 침투하여 지하수관정을 오염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해안지하수의 주된 오염 원인은 과잉양수로 해수침투를 야기한 결과이다. 이러한 경우 수질을 회복하기까지 수년이 걸리게 되며, 그동안 취수원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해수면상승에 따른 해수침투길이가 길어져 기존의 해안지역 지하수의 오염위험성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외에서 해안지하수 개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많은 해안지하수 수치해석연구에서는 해안경계에 평균해수면(MSL)이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위변화가 지하수위 및 해수침투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Design Technique of First Flush Treatment System Using Waterside Land (제외지 지하공간을 활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설계기술)

  • Seo, Dongil;Koo, Young Min;Kim, Jaeyoung;Kim, Byung R.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52-652
    • /
    • 2015
  • 도시유역의 소하천은 불투수 면적의 증가 및 우수관거의 설치로 인해 오염물질 및 강우의 유달률이 증가한 반면 침투 및 저류 기능의 감소로 인해 지하수위가 저하되어 비강우시에 현저하게 유량이 감소되어 하천환경에 심각한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연구에서 유역에 저영향개발기술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들은 과다한 면적을 필요로 함에 따라 설치 및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도시유역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소하천의 유량과 수질 문제를 저감하기 위해 위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하천 제외지 지하공간을 이용하여 초기 우수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시스템은 도시유역에서 강우에 의해 초기에 오염물질이 다량으로 유출되는 소위 초기세척효과를 제어하기 위해 침전시스템을 설치하고 및 교체가 가능한 카트리지형 여과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여과 시스템에서 섬유필터를 이용하여 수질을 개선하고 또한 침전 및 여과시스템에 저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도시 소하천의 유량에 따라 방류를 조절함으로써 도시 하천의 건천화 감소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 적용 결과와 자동모니터링 스시템을 활용하는 종합설계 및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범 유역에 SWMM을 구축하고 보정 및 검증을 실시하였다. ?측 및 SWMM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연구대상 지역에서 처리시설에서 수용할 수 있는 초기우수유출량의 적정량은 초기강우 4시간 또는 6 mm의 누적강우량으로 산정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현장의 지형여건에 따라 시스템의 설계기준이 수립될 수 있다.

  • PDF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BOX 구조물자동화 설계시스템(BOXCAD)"에 대한 소개

  • 송영철;우상균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2
    • /
    • pp.34-39
    • /
    • 1997
  • BOXCAD Vㄷㄱ.2.00의 개발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설계조건 즉 설계차량하중, 토피, 지하수위, 사용재료의 강도 등의 변화에도 쉽게 자동화설계가 가능하도록 설계시스템이 개발되었다. 2) 개발된 설계시스템은 도로교 표준시방서와 콘크리트 시방서의 하중계수에 의한 방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설계시방서에 따른 변화에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3) 개발된 본 설계시스템에 국부적인 기하조건, 설계하중, 구조세목만 보완하면 전력구 외에도 발전소의 배수 BOX구조, 도로 및 철도 횡단용 BOX구조, 지하차도 및 보도, 하수도 및 배수 BOX구조, 분류하수관거, 지하철 BOX구조 등의 자동화설계에도 작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4)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동설계시스템은 단면의 산정, 설계도면의 제작기능은 물론 설계 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기능이 있으므로, 실무에서 활용할 경우 설계도면 재료량 산출 및 설계정보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ore flow Characteristics in Seabed around Dike Due to Variation of Ground Water Level (지하수위 변화에 따른 호안 주변 지반내의 흐름특성)

  • Kim, Chang-Hoon;Kim, Do-Sam;Hur, Do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9 no.5
    • /
    • pp.408-417
    • /
    • 2007
  • Recently, an artificial beach has been constructed compensating for loss of the natural one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coastal area, as well as serving as a location for recreational activities such as sea bathing. It is well known that some structure should be constructed to protect an artificial beach from the outflow due to wave action of the reclaimed sand. In general, dike is utilized as the structure to protect an artificial beach. And, one of the factors which may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stability of dike on seabed foundation is the ground water behavior behind dike. However, the interrelated phenomena of nonlinear wave and ground water response have relatively little attention although these interactions are important for stability of structure and sand suction to the artificial beach. In this paper, the numerical wave tank was developed to clarify nonlinear wave, dike and ground water dynamic interaction, which can simulate the difference of ground water and mean water level. Using the developed numerical wave tank,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how variation of ground water level influences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in seabed around dike and numerically simulates the wave fields, pore flow patterns, pore water pressures and vorticities according to variation of ground water level. Numerical results explain well how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in seabed around dike is affected by the variation of ground water level.

Groundwater Flow Analysis During Excavation for Underground Tunnel Construction (지하 터널 건설을 위한 굴착 시 지하수 유동 분석)

  • Sungyeol Lee;Wonjin Baek;Jinyoung Kim;Changsung Jeong;Jaemo Ka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5 no.6
    • /
    • pp.19-24
    • /
    • 2024
  • Urban densification has necessitated the development of subterranean spaces such as subway networks and underground tunnels to facilitate the dispersal and movement of populations. Development of these underground spaces requires excavation from the ground surface, which can induce groundwater flow and potentially lead to ground subsidence and sinkholes, damaging structures. To mitigate these risks, it is essential to model groundwater flow prior to construction,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nd predict potential groundwater discharge during excavation. In this study, we collected meteorological, topographical, and soil conditions data for the city of ○○, where tunnel construction was planned. Using the Visual MODFLOW program, we modeled the groundwater flow. Excavation sections were set as drainage points to monitor groundwater discharge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and the effectiveness of seepage control measures was assessed. The model was validated by comparing measured groundwater levels with those predicted by the model, yielding a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0.87. Our findings indicate that groundwater discharge is most significant at the beginning of the excavation. Additionally, the presence of seepage barriers was found to reduce groundwater discharge by approximately 59%.

절리에서의 주입재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 김문상;문현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1995.03a
    • /
    • pp.48-55
    • /
    • 1995
  • 주입공법은 지하공간을 개발할 때 굴착면의 붕괴와 지하수의 유입으로 인한 지하 공동의 불안정성을 방지하고 지반 침하를 최소화하여 지상 구조물에 미치는 피해를 줄이는 목적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주입공법은 설비가 간단하고 소규모이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나 공간에서도 시공할 수 있고 진동 및 소음에 대한 영향이 적기 때문에 공사현장에서 요긴하게 사용되는 공법이다. $^{(1)}$ (중략)

  • PDF

Development of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of Utility-Pipe Conduit(Power Tunnel) using PLC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지하공동구 종합감시제어 시스템 개발)

  • Ju Seong-Ho;Lee Tae-Young;Park Byung-Seok;Lim Yong-Hoon;You Dong-Hee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4.07b
    • /
    • pp.728-732
    • /
    • 2004
  • 기존의 지하 공동구 감시 시스템은 광케이블, 누설 동축케이블(LCX), 각종 제어케이블을 사용하여 통신 선로를 구축하기 때문에 시설비가 대단히 고가이며, 여러 가지 통신선로의 이용에 따른 유지보수가 어렵고 시공기간이 길어 시설 확대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통신케이블의 설치 없이 기존에 설치된 공동구의 전등용 저압 전력선을 통신선로로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저비용의 지하 공동구 감시제어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동구에서의 전력선 통신의 특성을 조사, 시험시스템 설계${\cdot}$제작, 현장실증시험을 통한 성능시험 및 분석을 수행하여 전력선 통신을 적용한 안정적인 공동구 감시제어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Information interface for underground pipelines (지하매설관 하부 정보전달)

  • Chae, Su-Gwon;Seo, Jae-Soon;Kim, Jo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19-220
    • /
    • 2016
  • 도시 운영 시스템들은 모두 자기 고유의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서 개발되고 있으며, 또한 이들 운영 시스템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합하여, 도시 운영의 효율화를 꽤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하매설배관의 실시간 통합 유지관리를 위하여 최상위의 관제 및 유지관리 서버 소프트웨어와 정보전달 체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시티를 끌어가는 국내의 다양한 플랫폼 운영 소프트웨어를 조사하고. 시장 지배력이 가장 큰 플랫폼을 선정하여 이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전달 인터페이스에 맞도록 소프트웨어 모듈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