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표 미생물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2초

토양 미생물 다양성 지표를 이용한 토착 미생물 군집의 호기성 가솔린 오염분해능력 평가 기법 개발 연구 (A Novel Method to Assess the Aerobic Gasoline Degradation by Indigenous Soil Microbial Community using Microbial Diversity Information)

  • 황서윤;이나리;권혜지;박준홍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5호
    • /
    • pp.839-846
    • /
    • 2016
  • 유류오염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토양 비점오염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정화하는 토양의 능력은 토양 자원의 기능적 가치 평가에서 매우 유의하다. 특히 절/성토 설계 등의 친환경 건설기술 측면에서 토양의 유류오염정화능력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마이크로코즘 실험을 포함한 기존의 토양 유류 오염정화능력 평가기법은 경제적, 시간적인 제약이 많아 광범위한 지역에 적용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류 오염물질 중 가솔린의 대표적 오염물질인 톨루엔을 선정하여 쉽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토양의 미생물 다양성 지표를 이용, 토양의 유류오염 정화능력을 평가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 지표 중 Shannon index가 토양의 정화능력 인자인 Specific Degradation Rate ($V_{max}$)와 상관성 관계가 있음을 보였고, 두 인자 간의 상관식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상관식을 Michaelis-Menten kinetics에 적용하여 미생물 다양성 인자만으로 토양의 톨루엔 정화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기법을 통해 간단히 토양의 톨루엔 정화능력을 평가할 수 있으며, 친환경 건설기술분야와 같은 다양한 공학적 분야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활성오니에서 발견된 사상세균, 원생동물 및 후생동물의 유형과 우점도 분석 (Types and Abundance of Filamentous Bacteria, Protozoa and Metazoa in Activated Sludge)

  • 정재춘;김남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5-371
    • /
    • 1995
  • 슬러지 팽화의 원인이 되며 활성오니 공정운영상의 지표생물이 되는 사상세균과 원생동물을 동정하기 위하여 도시하수 활성오니 처리장 6개소와 산업폐수활성오니 처리장 5개소의 폭기조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현미경 경검법과 일부 생리학적 방법을 써서 미생물을 동정하였다. 가장 많이 출현하였던 사상세균은 Microthrix parvicella이었으며 다음이 type 0041, type 1701, Nocardia의 순이었다. 비록 시료수는 적었지만 이러한 출현빈도는 미국과 네덜란드에서 조사된 것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사상세균의 형태는 이전의 문헌에서 보고된 것과 대체로 일치하였는데 type 1701의 경우에는 전형적인 형태에 비해 사상체(filament)의 직경이 약간 가늘었다. 이러한 사상세균들은 낮은 유기물부하 또는 낮은 DO와 관계가 있는 것들이었으므로 더 많은 조사가 이루어지면 지표생물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원생동물에 있어서는 Voricella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다음이 Aspidisca, Opercularia, Diffugia의 순이었다. 후생동물에 있어서는 Philodina가 유일하게 출현한 속이었다. 이러한 속들은 활성오니성 미생물로서 처리상황이 좋을때 우점적으로 나타나는 미생물이라고 알려져 있으므로 처리수의 수질과 관련하여 유추해 볼때 상당한 타당성이 인정되었다.

  • PDF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계절별 미생물분포에 관한 연구 (Seasonal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effluent water in various sewage treatment plants)

  • 김영준;정명희;정두영;이혜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16권1호
    • /
    • pp.53-61
    • /
    • 2008
  • 07년 1월부터 11월까지 하수처리장별로 각각의 세균에 대한 계절별 분포도를 조시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미생물은 호기성 및 통성혐기성 종속영양세균으로 대표되는 총 세균과 지표생물군인 대장균, 대장균군, 장내세균군 및 포도상규군과 효모/곰팡이로 구성하였다. 총 세균 및 대장균 대장균군, 장내세균군 등의 지표생물군의 경우엔 대체로 온도가 높은 하절기에 균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식중독의 원인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의 경우, 대부분의 하수처리장에서 오히려 11월과 1월에 균체수가 증가하는 등, 계절과 관계없이 출현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한편, 방류수의 소독처리방법과 균체생성은 큰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작은규모의 마을하수의 경우 도시하수와 비교하여 균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지표종을 이용한 생태계 위해성평가 (Ecosystem Risk Assessment Using the Indicator Species)

  • 장진수;김경웅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1호
    • /
    • pp.103-115
    • /
    • 2007
  • 생태계 위해성평가는 유해물질의 노출로 인한 생태계 교란, 생물 공생의 파괴 및 부적합한 서식조건에 의한 생물집단구조의 문제를 적절히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초기의 위해성 평가는 오염의 수준을 숫자로 표기하여 단일된 공식으로 평가하였으나, 현재 이러한 평가는 실제로 생태계에 미치는 위해성을 평가하는데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지표종을 이용한 생태 위해성평가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며 육안적 지표의 변화 뿐만 아니라 유전자 수준에서의 변화까지도 감지함으로써 위해성 평가의 폭을 넓힐 수 있게 한다. 국외의 경우 오염의 평가 및 오염 지역 복원의 평가기준으로 여러 지표종을 이용하고 있으며, 여러 지표종을 국가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관리하며 오염으로 인한 변화를 유전자 돌연변이 및 암발생 수준까지 연구함으로써 생태계 위해성 평가를 하는 추세이다. 국내의 경우에도 점차 지표종을 이용한 유해성 평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오염물질의 인체에서의 발암 메커니즘, 동물실험을 통한 발암 메커니즘에까지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이용되는 여러 지표종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중금속으로 오염된 폐광산에서 발견된 생지표종인 고사리, 지렁이, 미생물 및 도룡뇽의 변화를 생태계 위해성 평가에 활용되어진 다양한 예가 소개되어 질 것이다.

배추 재배에 이용되는 농업용수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및 이화학성분 분석 (Investigation of Microbiological and Physiochemical Quality for Irrigation Water used in Napa Cabbage Cultivation)

  • 윤보현;김민경;류진희;김원일;박병용;김현주;이승돈;김세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96-403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배추 주산단지 5지역을 대상으로 배추재배에 활용되는 농업용수를 각 지역의 수확 시기에 채취하여 위생지표세균(총대장균군, 대장균, 장구균)과 이화학 성분을 분석함으로써 농업용수의 수질의 오염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지하수 보다 지표수에서 위생지표세균이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지표수의 경우 총대장균군 1.96-4.96 log MPN/100 mL, 지하수의 경우 0-3.98 log MPN/100 mL 수준이었다. 장구균의 경우 지표수에서 95% (72/75), 지하수에서 22% (8/36) 빈도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의 경우 지표수에서 100% (72/75), 지하수에서 22% (8/36) 빈도로 검출되었다. 위생지표세균과 이화학성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지표수의 경우 대장균군과 대장균은 총인과 상관성을 보였으며, 장구균은 부유물질과 생물학적산소요구량에 상관성을 보였다. 지하수의 경우 위생지표세균은 부유물질과 화학적산소요구량에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엽채류 재배에 사용되는 농업용수의 미생물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농 시설엽채류의 유해미생물 오염평가 (Analysi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mination on Organic Leafy Vegetables at Greenhouse in Korea)

  • 오소영;남기웅;윤덕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1-37
    • /
    • 2018
  • 본 연구는 시설엽채류에서 재배농법별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깻잎과 상추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유기농 및 관행 농가로부터 생산 및 수확 단계에서 식물체, 수확장갑, 수확비구니, 토양피복재 등으로부터 총 2,304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E.coli, Environmental Listeria, Yeast & mold 등의 위생지표세균과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spp., Clostridium spp., L. monocytogenes등의 병원성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시설엽채류의 생산과정에서는 재배농법에 상관없이 위행지표세균은 검출되지 않거나 $3.4\;Log\;CFU/100cm^2$ 이하로 검출되었다. 유기농법으로 생산되는 깻잎과 상추에서 B. cereus와 S. aureus가 0.22~1.55 Log CFU/g로 조사되었고, 관행농법에서는 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B. cereus는 0.42~2.19 Log CFU/g으로 조사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수확도구 및 멀칭필름에서도 재배농법과는 관계없이 위생지표세균과 유해균의 오염도는 낮았으며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수확도구에서의 미생물 오염도가 높아질수록 식물체 표면의 미생물 오염도도 높아지는 정의 상관관계($R^2=0.4526$)가 있었다. 또한 유기농 시설엽채류 생산시 토양 피복시 위생지표세균과 병원성미생물이 검출되지 않거나 피복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시설엽채류 생산시 재배농법의 차이보다는 토양피복 및 수확과정의 미생물적 위생관리가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혐기성퇴적물에서 비소거동에 미치는 미생물의 영향

  • 이종운;이상우;김경웅;윤정한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2-84
    • /
    • 2003
  • 산업화가 가속화되며 독성 중금속에 의한 토양, 지하수 및 하상퇴적물의 오염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지표 산화환경에서의 이들 중금속의 이동 및 거동에 관한 연구는 그간 수차례 수행된 바 있고 이에 관하여 적절한 오염처리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도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중금속이 심부 환원환경으로 이동한 경우에 대하여는 이들 오염물질의 거동 및 그에 따른 적절한 처리에 관한 연구가 거의 수행된 바 없는 실정이다. (중략)

  • PDF

16S rRNA 유전자 서열 분석을 이용한 DNA 및 cDNA 기반 장내 미생물 군집 분석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DNA- and cDNA-based gut microbial community analyses using 16S rRNA gene sequences)

  • 조혜준;홍지완;운노타쯔야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20-225
    • /
    • 2019
  • 최근 10년간 미생물생태분석 기반의 연구는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이 개발된 이래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장내미생물생태와 건강의 연관성은 미생물 생태학 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결과로 여겨지고 있다. 미생물 군집 분석은 주로 16S rRNA 유전자 가변 영역의 염기서열을 통해 분석되지만 이는 미생물의 활성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cDNA 기반의 미생물 생태분석을 수행하고 DNA 및 cDNA기반의 미생물생태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접근법이 Butyrate producer와 probiotics와 같이 장내 대사과정에서 중요한 미생물의 abundance 뿐만 아니라 비만 지표로 알려진 Firmicutes 와 Bacteroidetes의 비율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cDNA 기반 미생물 군집은 이전에 수행된 DNA 기반 미생물 군집 분석과 비교하여 장내미생물생태의 역할과 관련된 또 다른 분석 방향성을 제공한다.

지하수 종속 생태환경에서 수문-생태학적 특성 조사 및 분석 (Hydro-ecological characterizations in groundwater dependent ecosystem)

  • 김희정;현윤정;이강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
    • /
    • 2009
  • 자연 하천과 연계된 지하수 종속 생태환경은 지하수와 지표수의 화학적, 수리적 구배차이에 의해 혼합이 활발히 일어나는 지역이다. 지표수와 지하수 사이의 상호작용은 지하수 종속 생태 환경에서의 생지화학 과정에 중요한 역할뿐만 아니라 이 지역을 수리생태학적 열점으로 만든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질산성 질소로 오염된 자연하천과 연계된 지하수 종속 생태환경의 특성을 수리지질학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지하수 종속 생태환경에서 일어나는 지표수와 지하수 사이의 수직교환률은 현장에 다양한 깊이로 설치한 소형관정에서 측정한 수두구배를 근거하여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자연저감 퍼텐셜을 조사하기 위해 연쇄중합반응 및 클로닝 방법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지하수 종속 생태환경의 혼합수 유동률은 다소 미생물의 활동, 그리고 질산성 질소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표수-지하수 혼합구간의 토양에서 분리된 탈질미생물은 특정조건하에서 지하수 종속 생태환경에서의 생분해능력을 고무할 수 있다.

  • PDF

혐기/무산소/호기공법의 원생동물 군집구조 (Protozoa Structure of Anaerobic/Anoxic/Oxic Process.)

  • 이찬형;문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64-270
    • /
    • 2003
  • 1.북부 하수처리장에서 동정된 원생동물 및 후생동물의 종류는 32속으로 섬모충류는 17속이었다. 총 개체수는 연평균 5,266개체/ml(2,631∼9,744)이며, 속별 개체수는 Trachelophyllum이 가장 많았다. 종류별로는 편모충류가 6속(11%), 육질충류 3속(7%), 섬모충류 17속(78%), 후생동물이 6속(4%)이며, 섬모충류는 나구류와 시모류가 각각 33%, 23%을 차지하였다. 총 개체수는 하절기에 감소하고 동절기에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수온 $20^{\circ}C$ 미만인 경우, 속별 개체수와 유출수 BOD, SS농도는 음의 상관관계가 형성되고, 속별 개체수와 유출수 COD, TN, TP농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형성되었다. 상관분석의 결과 $20^{\circ}C$미만의 자료에서 Lepadella가 TP제거율에 대한 지표 미생물로의 가능성이 나타나며, Trochilia, Entosiphon, Coiepus는 TN제거율의 지표미생물로의 가능성이 추정된다. 3. 수온 $20^{\circ}C$ 이상인 경우, $20^{\circ}C$ 미만인 경우보다 상관계수가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속별 개체수와 수질 항목이 음의 상관관계를 형성하였다. Entosiphon, Paramecium은 출현빈도는 낮지만 유출수 TP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TP제거율과 음의 상관관계를 형성함으로 이들 원생동물속의 개체수 증가시에는 유출수 TP가 악화된다는 점에 주의하면서 운전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