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표류

Search Result 68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xperimental Study of the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Fluidic Thrust Vectoring Nozzle for UAV (UAV용 추력편향 노즐의 정량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ark, Sang-Hoon;Lee, Y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2 no.9
    • /
    • pp.723-730
    • /
    • 2014
  • Experimental study for supersonic co-flowing fluidic thrust vectoring control utilizing the secondary flow is perform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ust vectoring of two dimensional supersonic flow (Mach 2.0) are studied by Schlieren flow visualization and highly-accurate multi-component force measurements using the load cells. It is observed that the thrust deflection angle initially decreases and increases again forming a V-shaped variation as the pressure of the secondary flow increases.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coefficients of the system are also studied, and the detailed operating conditions for higher performance of the technique are suggested.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Study for Predicting Time-Averaged Velocity Fluctuations in Turbulent Jets (난류 제트 내 시간 평균 속도 변동 예측을 위한 기계 학습 알고리즘)

  • Seongeun Choi;Jin Hwan H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0-130
    • /
    • 2023
  • 제트류는 다양한 크기와 운동량의 에디가 복잡하게 혼합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정확하게 모델링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제트류의 다양한 특성들을 잘 반영하여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다양한 연구 수행 방법 중 수치해석 방법은 상대적으로 공간 및 시간적 비용이 적게 들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치해석 방법에는 DNS(Direct Numerical Simulation), LES(Large Eddy Simulation), RANS(Reynolds Averaged Navier Stokes) 등이 있으며, 그중 LES는 난류 모델링을 사용하는 RANS 방법에 비해 더욱 정확한 흐름 모델링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LES는 대규모 에디는 직접 해석하면서, 일정 크기 이하의 에디는 모델링을 사용해 해석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LE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그리드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모델의 정확성과 연산 비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여전히 적절한 그리드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이러한 LES 모델링을 사용할 때 적절한 그리드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시간 평균 속도 변동을 연구하는 것이 앞서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 기반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난류 제트 내 시간 평균 속도 변동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난류 제트 역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파라미터인 시간 평균 유속을 이용하여 시간 평균 속도 변동을 예측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모델의 성능은 평균 제곱 오차와 R-제곱 등 다양한 지표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 PDF

Regi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wans(Cygnus spp.) in the Nakdong River Downstream from October 2008 to September 2013, Busan, R. O. Korea (낙동강하류에서 고니류(Cygnus spp.)의 지역별 분포 특성)

  • Soon-Bok Hong;Ji-Pyo Hong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32 no.7
    • /
    • pp.493-502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gi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wans(Cygnus spp.) in downstream of t he Nakdong River , R.O.Korea from October 2008 to September 2013. During this period, a total of two species and 37,518 ind ividuals of Swans(Cygnus spp.) were observed, including 31,596 Whooper Swans(Cygnus cygnus) and 5,922 Tundra Swans (Cygnus columbianus), respectively.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s observed in fifteen different areas was 2255.33 in D aemadeung(A), 143.50 in Jangja·Sinjado(B), 304.00 in Sajado·Doyodeung(C), 1928.00 in Lower Ulsukdo(D), 1392.67 in Ulsu kdo(E), 50.17 in Ilwoongdo(F), 91.17 in Yeommak(G), 5.17 in Maekdogang(H), 0.00 in Pyeonggangcheon(I), 0.00 in Lower Noksan sluice(J), 2.83 in Upper Noksan sluice(K), 6.17 in Jomangang·Doonchido(L), 4.50 in Chideung(M), 0.83 in Joongsado (N)and 66.17 in Daejeo sluice(O). The total average of these fifteen areas was 480.8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 ong the survey areas (Kruskal-Wallis test, 𝒳2=4055.68, P<0.001). In particular, the observed numbers were larger in Dae madeung, Lower Ulsukdo and Ulsukdo than in the other regions.

The Changes of Brain Injury Markers(S100-$\beta$, Neuron-Specific enolase) After 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Under Total Circulatory Arrest in Pigs (돼지에서 역행성 뇌관류 시행 후 혈청 및 소변의 뇌손상 관련지표(S100-$\beta$, Neuron-specific enolase)의 변화)

  • 김상윤;김만호;김경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5 no.12
    • /
    • pp.847-853
    • /
    • 2002
  • We previously published the data that proved the safety of retrograde cerebral perfusion for 120 minutes. At this time, we planned to check the neuron-specific enolase and S100-$\beta$ in serum and urine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early detection of cerebral injury. Material and Method: We used pigs(Landrace species) weighing 35 kg and performed RCP for 120 minutes. After the weaning of cardiopulmonary bypass, we observed the pigs for another 120 minutes. Systemic arterial pressure, central venous pressure, and serum and urine levels of neuron-specific enolose (NSE) and S100$\beta$ protein were checked. Central venous pressure during RCP was maintained in the range of 20 to 25 mmHg. Result: Serum levels of NSE(ng/$m\ell$) were 0.67$\pm$0.18(induction of anesthesia), 0.53$\pm$0.47(soon after CPB), 0.44$\pm$0.27(20min alter CPB), 0.24$\pm$0.09(RCP 20min), 0.37$\pm$0.35(RCP 40min), 0.33$\pm$0.21 (RCP 60min), 0.37$\pm$0.22(RCP 80min), 0.41$\pm$0.23(RCP 100 min), 0.48$\pm$0.26(RCP 120min), 0.42$\pm$0.29(30min after rewarming), 0.35 $\pm$0.32(60min after rewarming, 0.42$\pm$0.37(CPBoff 30min), 0.47$\pm$0.34(CPBOff 60min), 0.47$\pm$0.28(CPBOff 90min), and 0.57$\pm$0.29(CPBOff 120mi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s between before and after RCP(ANOVA, p>0.05). Urine levels of NSE also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s between before and after RCP.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urine and serum levels of NSE(Pearson correlation, p>0.05). Serum levels of S100$\beta$ protein(ng/$m\ell$) during the same time frames were 0.14$\pm$0.08, 0.15$\pm$0.07, 0.22$\pm$0.15, 0.23$\pm$0.07, 0.28$\pm$0.10, 0.40$\pm$0.05, 0.47$\pm$0.03, 0.49$\pm$0.12, 0.43$\pm$0.11, 0.46$\pm$0.15, 0.62$\pm$0.17, 0.77$\pm$0.21, 0.78$\pm$0.23, 0.77$\pm$0.23, and 0.82$\pm$0.3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s between before and after RCP(ANOVA, p<0.05). Urine levels of NSE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s between before and after RCP(ANOVA, p<0.05).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urine and serum levels of NSE(Pearson correlation, p<0.05). Conclusion: The author observed the increase in serum and urine levels of S100$\beta$ after 120 minutes of RCP.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rum and urine levels was observed. The results were considered to be the fundamental data that could correlate this study with human-based study.

The Rainfall Quantile Change Analysis of the Different Duration and Return Period in Seoul (서울지역의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의 경년변화 분석)

  • Ahn, Sang-Hyun;Park, In-Chan;Cho, W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64-76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빈번히 발생하는 단시간 집중호우양상의 변화와 자료기간의 누적에 따른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별로 확률강우량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지점으로는 서울지점을 선정하였다. 강우자료는 기상청 산하의 강우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확률강우량 산정을 위한 강우지속시간은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120분, 180분, 360분, 720분, 1440분을 지속시간으로 선정하였고 재현기간은 5년, 10년, 15년, 20년, 25년, 30년, 50년, 80년, 100년, 200년으로 수공구조물 설계시 많이 고려되어지는 재현기간을 선정하였다. 먼저 최근의 강우양상의 변화와 확률강우량의 경년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지점의 강우자료에 대한 장기 변동성을 분석하였고, 연강우량과 지속시간별 연 최대 강우량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통계적 분석을 통하여 확률강우량의 경년변화 양상을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별로 분석하였다. 연강우량과 지속시간별 연최대강우량의 상관성 분석은 상호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확률강우량의 경년변화 분석 방법은 기본자료기간을 20년으로 산정하여 매해 강우자료를 추가하면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경년변화를 살펴보았다. 확률강우량의 산정은 국립방재연구소와 연세대학교가 공동으로 제작한 FARD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최근 강우량이 증가 추세에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연강우량과 지속시간별 연 최대 강우량의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확률강우량의 분석결과에서는 자료의 누적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지속시간 및 재현기간에 따라 차이가 상이하며, 변동폭은 20% 내외로 나타났다. 토양수분 계산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WEP 모형의 토양수분 해석능력에 대한 시험적용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토양 및 지표하 매개변수 정보가 충분히 갖추어지고, 토양수분 관측결과 있는 대상유역에 대한 적용이 요구된다.-Moment 방법에 의해 추정된 매개변수를 사용한 Power 분포를 적용하였으며 이들 분포의 적합도를 PPCC Test를 사용하여 평가해봄으로써 낙동강 유역에서의 저수시의 유출량 추정에 대한 Power 분포의 적용성을 판단해 보았다.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수문요소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역의 물순환 과정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

  • PDF

Automatic Discharge Measurement Using the Velocity Index Method (유속지수법을 이용한 자동유량측정)

  • Kim, Chi-Young;Kim, Won;Lee, Chan-Joo;Kim, D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42-246
    • /
    • 2006
  •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유량측정 분야의 큰 변화의 방향은 자동화이다. 전자, 전기 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을 유량측정 분야에 적용하여 자동적으로 유량측정을 수행하고 실시간으로 모든 유량자료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최근에 초음파 유량계와 더불어 자동 유량측정 기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기법이 유속지수법(index velocity method)이다. 유속지수법의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수위 기록을 통하여 수위-면적 관계로부터 흐름 단면적을 구하고, 임의의 영역에서 측정된 유속이 단면 평균 유속으로 환산될 수 있다면, 흐름 단면적과 평균 유속에 의해 연속적으로 유량을 구할 수 있다. 유속지수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전체 평균 유속을 대표할 수 있는 유속지수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유속지수법에 의한 연속 유량측정 목적으로 최근에 ADVM(Acoustic Doppler Velocity Meter)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ADVM은 수중에 초음파를 발사해서 산란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초음파의 주파수 편이, 즉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ADVM을 괴산댐 하류에 위치한 시험하천에 설치하여, 유속지수법에 의한 유량측정기법을 적용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속지수법으로 측정된 유량을 괴산댐 방류량과 비교한 결과 평균 4.0%의 상대오차를 지니고 있어 비교적 정확한 연속 유량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유속지수법을 하천 유량측정에 활용하면 보다 정확한 유량을 연속적으로 자동화하여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연계모형의 한계로 인하여 두 모형의 통합모형이 필요하다. 즉, 강우 혹은 월류유량으로 발생한 지표유량 중 일부분이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는 유입구 지점을 통과할 때 배수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고, 유입된 유량은 배수시스템 내의 흐름에 반영되도록 배수시스템과 침수해석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표면과 배수시스템에 대한 수리학적 관계를 정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과 도시침수해석 모형을 통합하고, 두 모형간의 유량의 전송과정을 수리학적 관계를 고려한 dual-drainage 도시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지역 배수시스템 해석 모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SWMM모형을 이용하여 지표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 PDF

Distribution of Copepod Indicator Species and Zooplankton communities in Pusan Harbor, Korea (부산항 해역의 지표성 요각류 분포 및 동물플랑크톤 군집)

  • 홍성윤;마채우
    • 한국해양학회지
    • /
    • v.29 no.2
    • /
    • pp.132-144
    • /
    • 1994
  • The relationship of zooplankton communities and distributions of copepods as indicator species to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temperature, salinity,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total inorganic nitrogen (TIN) was studied in Pusan Harbor in October 1990 and January, April and July 1991. Zooplankton communities were analysed by using cluster analysis and species diversity index. Four groups of copepods as indicator species were Acrocalanus gacilis, Euchaeta plana, pareuchaeta russell and Pleuromamma gracilis as the oceanic warm water species; Cemtropages abdominalis as the neritic cold water species; Meridian lucens as the oceanic cold water species Acartia omorii as the polluted water species. the offshore waters of Pusan harbor was dominated by the oceanic warm water species in October and by the neritic cold water species in January and April. This area showed the low values of COD and Tin. the inshore waters of Pusan harbor, where the high values of cod And Tin and the low value of diversity were recorder was represented by A.. omorii. Cluster analysis of the zooplankton community revealed two or three regional areas in Pusan harbor. Area I, the offshore area of Pusan harbor, not only was represented high species diversity and low density of A. omorii but also was dominated copepods in zooplankton roups. Areas II and III were grouped horizontally from offshore to inshore of Pusan harbor. Area II was showed intermediate values in diversity, density of A. omorii and percentage composition of copepods. Area III was revealed the lowest diversity,density of A.omorii and percentage composition of Cladocerans.Coperpoda was a dominant zooplankton group in each area during the study periods except two special cases.Area II was dominated by Noctiluca scintillans in April and Area III was occupied by Cladocerans in July.Distribution of Indicator species and areas demarcated based on cluster analysis showed a close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s.

  • PDF

Differences in the Community Structures of Macrobenthic Polychaetes from Farming Grounds and Natural Habitats in Gamak Bay (가막만 양식장과 자연 서식지에서의 대형저서다모류 군집구조 차이)

  • Jang, So Yun;Shin, Hyun Cho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9 no.4
    • /
    • pp.297-309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benthic polychaete communities between farming grounds and natural habitats (non-farming ground) in Gamak Bay. Sampling stations of natural habitats were evenly distributed in the entire bay. And mussel farm, oyster farm and ark-shell farm were selected as farming grounds. Dominant sedimentary facies was mud in most sampling stations of farming grounds and natural habitats. However organic contents were higher in the farming grounds than natural habitats of the bay. The species number and mean density of polychaetous community in the natural habitats were greater than those from the farming grounds. Lumbrineris longifolia, known as potential organic enrichment indicator species, was first dominant species both in farming grounds and natural habitats of the bay. However, the next dominant species consisted of different species between two benthic habitats. As a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using cluster analysis and nMDS, the natural habitats were divided into several station groups, but most of stations in farming grounds were clustered into one group.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PCA showed high relationships between sedimentary environmental factors and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natural habitats, but low or no relationships in farming grounds. That means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established in farming ground was under unusual condition such as high input of organic matter. Th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benthic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farming grounds as well as the north-western inner part in Gamak Bay through long-term monitoring efforts.

Overview of UV-B Effects on Marine Algae (자외선이 해조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 한태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17 no.1
    • /
    • pp.1-9
    • /
    • 1999
  • Numerous observations revealed strong evidence of increased middle ultraviolet radiation or UV-B (280 ~ 320 nm) at the earth's surface resulting from stratospheric ozone depletion. UV is the waveband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which is strongly absorbed by nucleic acids and proteins, thus causing damage to living systems. It has been recorded in the East Sea, Korea that solar UV-B impinging on the ocean surface penetrates seawater to significant depths. Recent researches showed that exposure to UV-B for as short as 2h at the ambient level (2.0 Wm$^{-2}$) decreased macroalgal growth and photosynthesis and destroyed photosynthetic pigments. These may suggest that UV-B could be an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to determine algal survival and distribution. Some adaptive mechanisms to protect macroalgae from UV-damage have been found, which include photoreactivation and formation of UV-absorbing pigments. Post-illumination of visible light mitigated UV-induced damage in laminarian young sporophytes with blue the most effective waveband. The existence of UV-B absorbing pigments has been recognized in the green alga, Ulva pertusa and the red alga, Pachymeniopsis sp., which is likely to exert protective function for photosynthetic pigments inside the thalli from UV-damage. Further studies are however needed to confirm that these mechanisms are of general occurrence in seaweeds. Macroalgae together with phytoplankton are the primary producers to incorporate about 100 Gt of carbons per year, and provide half of the total biomass on the earth. UV-driven reduction in macroalgal biomass, if any, would therefore cause deleterious effects on marine ecosystem. The ultimate impacts of increasing UV-B flux due to ozone destruction are still unknown, but the impression from UV studies made so far seem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etting up long-term monitoring system for us to be able to predict and detect the onset of large -scale deterioration in aquatic ecosystem.

  • PDF

Zooplankton Fauna and the Interrelationship Among Cladoceran Populations and Microcystis aeruginosa (Cyanophyceae) during the Cyanobacterial Blooming Season at Daecheong Lake, South Korea (대청호 남조류 대발생기의 동물플랑크톤상(相) 및 Microcystis aeruginosa와 물벼룩류 개체군 변동의 상관관계)

  • Lee, Ji-Min;Lee, Jung-Joon;Park, Jong-Geun;Lee, Jung-Ho;Yoon, Seong-Myeong;Chang, Cheon-You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8 no.2 s.112
    • /
    • pp.146-159
    • /
    • 2005
  • Fifty-four zooplankton species from Daecheong Lake were identified during the research period from June to October 2001. The representative zooplanktons mostly comprised the index species indicating the intermediate stage from oligosaprobity to ${\beta}$-mesosaprobity. During the blooming season of blue-green algae, the population of large cladocerans like Daphnia galeata precipitously decreased in size, while rotifers and small cladocerans like Bosmina longirostris increased in population size. Therefore, soon after the peak of the blooming of blue-green algae, whole zooplankton standing crop and number of species showed the tendency of recovery, or even the sharp increase. The population size of Daphnia galeata was affected very sensitively by the change of cyanobacterial den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