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질구

Search Result 67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물리.화학적 방법에 의한 참돔(Pagrus major)의 품질판정에 관한 연구

  • 김태진;배진한;심길보;여해경;정호진;조영제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55-156
    • /
    • 2003
  • 우리나라는 해방 후 어려웠던 경제난국에서 벗어나 산업발전기에 접어들면서 수산물보다는 식탁에서 육류의 섭취가 상대적으로 많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는 외식산업의 현저한 발달과 더불어 즉석편리식품이나 육류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비만, 동맥경화 및 영양의 과잉공급에 따른 각종 성인병이 만연하고 있는 실정이단, 이러한 시점에 수산물이 가지고 있는 건강기능성이나 생리효과가 식품관련 연구자들에 의해 밝혀지면서 생선회가 건강지향성과 기호성이라는 측면에서 두 가지 조건 모두를 만족시키는 식품으로 자리잡아 외식산업의 한 축을 이루어 생선회의 소비는 급증하고 있으나, 자연산 활어는 남획에 따른 자원고갈 및 어장축소 등 여러 가지 이유로 현재 유통되고 있는 생선회의 90% 이상은 양식산 활어이며, 양식 활어의 생산량 또한 1980년대 후반에 비하여 10배 이상 증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가까운 중국이나 일본 등지에서 생선회로 먹기 위하여 많은 량의 활어가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생산된 활어는 활어시장에서 활어의 품질에 관계없이 중량을 기준으로 거래되고 있어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활어 품질판정 기술의 개발은 우리나라 양식업의 대외경쟁력을 갖추게 할 뿐만 아니라 어민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활어의 유통 질서를 갖추기 위해서 양식활어 근육의 품질을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육질의 판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사육수조에서 운동여부와 운동횟수에 의한 양식 활어의 품질을 비교 검토하였다. 운동사육구(2회/1일, 0.5m/s)와 비운동사육구의 초기수분함량은 각각 73.44±0.87%, 72.88±0.25%의 함량이였다. 운동사육시간이 길어질수록 운동사육구에서는 수분함량이 운동5일째에는 73.56±0.22%였으며, 운동 20일에는 75.88±0.94%로 초기수분함량보다는 3%정도 증가하였다. 반면, 비운동사육구에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고 있지 않았다(p<0.05). 운동과 비운동시킨 참돔의 지질 함량의 변화는 운동시킨 참돔은 운동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로 인하여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r=-0.35), 비운동사육구에서는 절식으로 인하여 지질함량이 감소하였다(r=-0.38). 파괴강도와 가장 밀접한 영향을 가지는 콜라겐은 운동과 비운동 모두 사육기간동안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초기의 파괴강도값은 1.45±0.02kg(운동사육구), 1.36±0.18kg(비운동사육구)이였으며 사육기간동안 운동사육구는 파괴강도값이 증가한 반면, 비운동수조에서는 참돔의 파괴강도는 사육기간동안 큰 유의차가 없었다. 각 성분간의 상관도를 살펴보면, 수분함량과 파괴강도는 상관성을 가졌으며, 지질함량과 파괴강도도 같은 경향은 나타내었다. 운동기간동안의 파괴강도와 콜라겐 사이에는 상관성의 거의 없었다. 이는 운동기간에 따른 파괴강도의 증가가 콜라겐의 함량의 증가보다는 지질함량의 감소와 수분함량의 증가와 같은 성분과의 상관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는, 운동횟수에 의한 영향으로써 운동시간을 1일 6시간으로 설정하여, 운동횟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오전, 오후에 각 3시간씩 운동시키는 방법과 오전부터 6시간동안 운동시키는 두 방법을 이용하여 품질을 비교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 운동시킨 참돔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2회(오전 3시간, 오후 3시간)에 나누어서 운동시키기 위한 육의 수분함량은 73.37±2.02%를 나타냈으며, 1회(6시간 운동)운동시키기 위한 육은 71.74±1.66%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운동조건에서 양식된 참돔은 사육초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사육 5일 이후에는 수분함량이 증가하여 15일에는 76.40±0.14, 75.62±0.98%의 수분함량을 2회와 1회 운동시킨 참돔의 육에서 각각 나타났다. 운동횟수에 따른 지질함량은 2회 운동시킨 참돔은 5.83±2.08, 1회 운동시킨 참돔은 6.72±1.84%을 나타났으며, 사육기간이 증가할수록 함량은 감소하였다. 하루 1회운동시킨 참돔은 지질 함량의 감소율이 2회 운동시킨 참돔보다는 작았지만, 1회 운동시킨 참돔과 마찬가지로 운동기간동안 지질은 감소하였다. 운동횟수와 상관없이 운동기간동안 콜라겐의 함량은 큰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파괴강도값은 운동횟수가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운동시킨 참돔은 운동횟수에 상관없이 지질 함량이 감소할수록 파괴강도값이 증가하였으며, 운동횟수가 하루 2회인 참돔에서는 지질함량과 파괴강도값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p<0.05, r=0.866(2회/1일). 운동기간과 파괴강도의 값, 운동기간과 수분함량, 운동기간과 지질함량간의 상관성은 운동횟수에 상관없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콜라겐함량은 운동기간과 상관관계 없이 상관성이 낮았다. 그러므로, 본 실험의 목적인 양식산 활어의 품질판정을 하기 위한 요인으로 동일 어종에는 콜라겐보다는 파괴강도, 수분함량 및 지질함량과의 관계를 상관성을 가지므로, 양식 활어의 품질판정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 PDF

난황형성기 모체내 3,5,3'-triiodo-L-thyronine ($T_{3}$) 주사에 의한 조피볼락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율 향상

  • 강덕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1998.07a
    • /
    • pp.66-67
    • /
    • 1998
  • 난황형성기의 난소를 가진 암컷 어미에게 갑상선 호르몬인 3,5,3'-triiodo-L-thyronine ($T_{3}$)를 20 mg $T_{3}$/kg체중으로 주사하여 출산된 조피볼락 자어를 대조구 자어와 함께 30일간 사육하면서 성장과 생존율을 비교하였고, 실험종료시인 전어체를 갈아 체성분 조성을 파악하였다. 출산자어의 성장은 대조구에 비해 $T_{3}$구에서 유의하게 빨랐으며, 생존율 역시 $T_{3}$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실험종료시 치어의 비만도는 대조구가 $T_{3}$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실험종료시 $T_{3}$구의 어체내 수분과 회분함량은 대조구의 결과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단백질 함량은 $T_{3}$구에서 대조구 보다 높았으며, 지질은 $T_{3}$에서 오히려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조피볼락에 대한 $T_{3}$의 모체주사는 출산자어의 성장과 생존율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Adipogenesis와 비만마우스에 대한 Lactoferrin의 효과

  • Nam, Myeong-Su;Bae, Hyeong-Cheol;Jo, Min-Cheol;Yun, Do-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05a
    • /
    • pp.362-364
    • /
    • 2004
  • 지방세포인 murine pre-adipocyte 3T3L1 cell에 분화호르몬 혼합물을 처리하여 mature adipocyte로 분화시켜서 bovine LF을 100 ug 처리하였다. Bovine LF을 처리한 mature adipocyte 3T3L1 cell은 대조구보다 지방세포의 지질방울들의 수와 크기가 작아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LF가 비만마우스의 체중감소에 미치는 영향은 매일 5mg의 LF을 투여구는 대조구와 같은 경향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체중이 증가 되었으나 매일 10mg의 LF 투여구는 투여 후 10일부터 대조구보다 약 15${\sim}$25% 정도 체중이 감소되었다. Cholesterol은 대조구에서는 138mg/ml이었으나 LF 10mg 투여구에서는 130mg/ml로 감소되었고 혈당량은 대조구에 비해 LF 10mg 투여구에서 약 10% 정도 높았다.

  • PDF

Biochemical mechanism of Jijang-Kimch on anti-obesity effect and blood lipid metabolism in obesity model rats (비만모델 랫드에서 지장김치의 혈액 지질대사, 항비만 효능 및 메카니즘)

  • Shin, J.S.;Um, K.H.;Choi, Y.S.;Lee, H.S.;Park, H.J.;Park, B.S.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6 no.4
    • /
    • pp.1198-1207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action mechanism and biological effect of Jijang-kimch, including its anti-obesity effect and blood lipid-decreasing effect in a high-fat diet-induced obese model animals. There were four treatment groups: CD (chow diet as normal control), HFD (high fat diet as obesity control), HFDCK (HFD plus commercial kimchi extracts), and HFDJK (HFD plus Jijang-kimchi extract). Kimchi extracts were orally administered for 28 days. Body weight, liver, and adipose tissue weight declined in HFDJK compared to those in HFDCK(p<0.05). Bloo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and glucose level decreased in CD, HFDJK, and HFDCK compared to those in HFD(p<0.05). Those in HFDJK were lower than those in HFDCK(p<0.05). Sizes of liver and adipose cells increased in HFD, HFDCK, and HFDJ that those in CD(p<0.05). Those in HFDJK were greatly decreased than those in HFDCK(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gestion of Jijang-kimchi in obese model animals has anti-obesity effect by lowering blood lipid and glucose levels and decreasing adipocyte size compared to that of commercial-kimchi.

농산부산물의 기능성 식품화 연구: 곶감 부산물의 유용성분과 생체기능성

  • Jeong, Sin-G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9-16
    • /
    • 2002
  • 농산부산물 중 식품화 요건이 비교적 적합한 곶감부산물을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고자 전처리에 따른 유용성분인 카로티노이드의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추출물의 항고혈압활성 및 동물실험에 의한 항당뇨 및 지질대사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1. 농산부산물의 기능성 식품화에는, 함유 성분의 특정 생체 기능성, 수집성, 함수율, 안전성 등의 요건이 만족될 필요가 있다. 2. 입도와 건조온도에 따라 보존기간 중 감피의 총카로티노이드와 베타카로틴의 함량은 60일 후에 80% 정도 감소하였으며 입도가 적을수록 감소폭이 컸다. 3. 감과피의 메탄올 조추출물에 대한 항고혈압성은 $11.76{sim}58.61%$의 저해활성을 보여 품종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4.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도한 실험쥐에 대하여 감껍질 분말의 혈당강화 및 지질대사의 개선능력을 검정한 결과 혈당치, 총지질 및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 PDF

Antioxidative Activity of Zinc-Enriched Saccharomyces cerevisiae FF-10 in In vitro Model Systems (아연-고함유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FF-10 세포액의 항산화효과)

  • Cha, Jae-Young;Park, Bo-Kyung;Ahn, Hee-Young;Eom, Kyung-Eun;Jun, Bang-Sil;Cho, Young-S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9 no.2
    • /
    • pp.179-184
    • /
    • 2009
  • Zinc is an essential trace element for human and plays an important biological role in antioxidant properties. We have been reported that zinc-enriched S. cerevisiae FF-10 contained 392 mg% in the YM basal and 3,193 mg% in the YM optimal medium. Antioxidative activity of FF-10 was tested in vitro models by DPPH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using linoleic acid (LA) and rat liver homogenat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er in the cell-free extract of FF-10 cultured in the YM optimal medium (YMOM) than that in the YM basal medium (YMBM). The inhibition activity of lipid peroxidation using rat liver homogenate was shown in the following order: BHT > YMOM > YMBM and these values were dose dependently. The lipid peroxidation of the control mixture by ferric thiocyanate and TBA methods using LA was increased rapidly as typical peroxidation curve of LA from one day and the antioxidation activity of the cell free extracts by cultivating FF-10 in the YMOM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YMBM.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cell-free extracts containing a high intercellular zinc of S. cerevisiae FF-10 cultured in YMOM showed strong antioxidation capacities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lipid peroxidation using LA and rat liver homogenate.

비육돈에 대한 옻의 급여가 돈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

  • Kim, Dong-Uk;Yang, Seong-Un;Gang, Seon-Mun;Kim, Yong-Seon;Lee, Se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4.10a
    • /
    • pp.169-173
    • /
    • 2004
  • 본 실험은 비육돈에 대한 옻의 급여가 돈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사료내 옻나무 첨가 급여 수준은 비육후기 사료에 옻 분말 2%, 4%를 첨가하여 5주 동안 급여 하여 돈육의 육질 분석에 이용하였다. 옻 사료 급여수준(0%, 2%, 4%)에 따라 5주간 급여한 돈육의 육질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명도($L^{\ast}$값), 적색도($a^{\ast}$값), 황색도($b^{\ast}$값)값에 있어서 4% 급여구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지질의 산패도(TBARS)는 급여수준과 관계없이 모두대조구의 TBARS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다른 처리구에 비해 산패가 빨리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보수력은 4%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에서는 경도와 씹힘성에서 옻 급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p<0.05). 융점은 4% 급여구가 대조구와 2% 급여구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Supplemental Undaria, Obosan and Wasabi in the Experimental Diets on Growth, Body Composition, Blood Chemistry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배합사료에 미역, 어보산 및 고추냉이 첨가가 넙치 치어의 성장, 체성분, 혈액성상 및 비특이적 면역능에 미치는 효과)

  • 박상언;권문경;이윤호;김경덕;신일식;이상민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6 no.4
    • /
    • pp.210-215
    • /
    • 2003
  • When fed on one of the six isonitrogenous (45%) and isolipic (8%) feed containing 5 or 10% Undaria, 2% wasabi leaf, 2% wasabi stem and 0.5% herb (Obosan) for a period of 8 weeks, 95-98% juvenile flounder survived. Growth, feed efficiency and condition factor of the flounder fed on diet containing 0.5% herb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fed on diet supplemented with 10% Undaria. There was no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in moisture, crude protein, lipid and ash of the flounder receiving the different diets. The flounder fed on diet supplemented with 10% Undaria had the highest moisture but the lowest lipid in liver. Hematological parameters such as red blood cell, hematocrit and hemoglobin and serum constituents such as glucose, total cholesterol and glutamic-oxaloacetic transaminase of the flounder fed on the diets varied but no specific trend became apparent. Lysozyme activity in the serum of the flounder fed on diet supplemented with 5% Undaria and the herb, as well as nitroblue tetrazolium (NBT) reduction of macrophage in the head kidney of the flounder fed on diet containing the herb and 2% wasabi stem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ose receiving control diet. Briefly, the herb supplementation promoted growth and that of Undaria and wasabi stem enhanced non-specific immune response.

Pharmacological Effect of Hawangyeonhaedoktang on Experimental Triglyceride Accumulated HepG2 Cells (실험적 중성지질 축적 HepG2세포에 미치는 황련해독탕의 약리적 효과)

  • 차재영;김대진;김석환;김영길;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2 no.4
    • /
    • pp.586-590
    • /
    • 2003
  •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Korean-Chinese traditional herbal medicine, Hawangyeonhaedoktang (HT) on experimentally induced-triglyceride accumulation in cultured human hepatocyte HepG2 cells was studied. HePG2 cells were cultured in the Dulbecco's modified Eagle's (DME) medium without (Control medium) or with HT (0.5 mg/mL and 5.0 mg/mL) containing 1 mM oleate, 0.2% bovine serum albumin (BSA), and glucose 4.5 mg/mL for 6 and 24 hours in experiment I and 2 mM oleate, 0.5% BSA, and glucose 4.5 mg/mL for 6, 24 and in hours in Experiment II or 1 and 3 hours in Experiment III. Oleate [$^{14}$ C](0.5 $\mu$Ci/mL medium) added as a radioactive lipid precursor in the experiment I. In the experiment I, the intracellular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decreased remarkably during incubation for 6 and 24 hours,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the same time, HT caused a decrease in the incorporation of [$^{14}$ C] oleate into intracellular triglyceride fraction and the secretion of triglyceride labeled with [$^{14}$ C] oleate into medium. In the experiment II and III compared to experiment I, the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HepG2 cells was occurred, and HT prevented the accumulation of triglyceride during incubation for 24 and 48 hours. This result suggest that HT prevent the triglyceride accumulation in human hepatocytes by its inhibiting action on the intercellular triglyceride biosynthesis.

Effects of Dietary Locally Grown Herbs (Mentha piperascens, Rubus coreanus, Tagetes patula)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 (국내 자생 약용식물자원(박하, 복분자 및 매리골드)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 Kim, Yong-Ran;Lee, Bo-Keun;Kim, Jae-Young;Kim, Ji-Suk;Lee, Wan-Seob;Lee, So-Yeon;Kim, Eun-Jib;Ahn, Byoung-Ki;Kang, Chang-Won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9 no.2
    • /
    • pp.168-17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effects of locally grown herbs (Mentha piperascens, PM; Rubus coreanus, RC; Tagetes patula, MG)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 A total of 600 1-d-old Ross male broiler chicks were divided into eight groups and were fed control diets (antibiotics-medicated or non-medicated commercial diets) or experimental diets (non-medicated diets containing 0.3 or 0.5% PM, 0.3 or 0.5% RC, or 0.3 or 0.5% MG) for 5wk. The body weight gains and feed conversion rates (FCRs) in all the groups that were fed diets containing PM, RC, or M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ose in the non-medicated control group (p<0.05). The relative weights of various organs, the serum cholesterol levels, and the GOT/GPT activities in all the groups were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in the groups that were fed diets containing 0.3% PM or 0.3% MG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non-medicated control group (p<0.05). The number of cecal lactic-acid bacteria in the groups that were fed diets containing 0.3% PM or 0.5% RC tended to increase. The malondialdehyde contents in the leg muscles were significantly lowered by feeding with PM or MG (p<0.05).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edible meat, including the shear force, water-holding capacity, heat loss, pH, and muscle color degrees $(CIEL^*.\;a^*.\;b^*)$, were not affected by the dietary treatments. It has been suggested that spontaneous Korean plants promote the growth of broilers and may delay lipid oxidation in edible muscles without any negative effect when added in broiler di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