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산업생태계

Search Result 157,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vegetation analysis of Northern region at Jungnang riverside - Between two bridges of Wallgae 1 and Sangdo - (서울시 중랑천 북부구간 하천변 식생과 식물상 분석 - 월계1교에서 상도교 구간을 대상으로 -)

  • Lee, Sanghwa;Lee, Kyunghee;Jeong, Jongcheo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3 no.4
    • /
    • pp.315-322
    • /
    • 2014
  • After the modern industrial revolution, rivers in cities became covered and disappeared due to the pressure to develop them. Likewise, their function which is to serve as the basis of natural ecology system in the cities began to be damaged.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re are a total of 268 categories when it comes to the list of plants, including 64 families, 179 genera, 230 species, 36 varieties, and 1 subspecies. When the relative abundance of the plants that were found at the target research site was studied, the secondary survey demonstrated Bromus japonicus 22.97,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16.76 and Erigeron annuus 15.69 while third survey demonstrated Digitaria ciliaris 26.78, Ambrosia trifida 16.29 and Aster pilosus 14.31. There were 54 species of naturalized plants that appeared. Analysis demonstrated annual plant 23 classification category (43%), perennial 11 classification category (20%), multi-perennation 17 classification category (31%), woody plant 3 classification category (6%) and others. When the naturalized plants that were found at the target research site were analyzed by the place of origin, North America and EU took up 76%, which accounts for 3/4 of the all the naturalized plants. At the target research site, naturalization degree of 5 pertained to 22 classification category (41%), which was the highest, followed by 19 classification category (35%) with naturalization degree of 3, 8 classification category (15%) with naturalization degree of 2 and 5 classification category (9%) with naturalization degree of 4 in the order mentioned. Flora of Jungnangcheon did not manifest any change compared to 10 years ago. Thu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of biodiversity efforts to improve SeoulCity's natural environment and cityscap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ollution Level of Heavy Metals of Asian Dust in Daejeon Area, 2007 (spring season) (2007년 봄철 대전지역에서 발생한 황사 및 대기부유물의 지구화학적 특성 및 중 금속의 오염도)

  • Lee, Pyeong-Koo;Youm, Seung-Jun;Bae, Beob-Geu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5 no.3
    • /
    • pp.217-235
    • /
    • 2012
  • We evaluated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potential pollution of Asian Dusts in Daejeon, Korea during spring 2007. Compared with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oils in source area of Asian Dust, those of aerosols in Daejeon were enriched with trace elements (ten to hundred fold), inferring that pollutants from China have affected on local environment in adjoining country such as Korea. Chemical analysis of aerosols during Asian dust showed that fine particles ($PM_{2.5}$) contained high contents of trace elements such as Cr, Cu, Pb, Zn, V, S, As, Cd, Co, Ni, Mo, Sb, Cs, Rb, Th, Sc and Y. In the case of TSP (Total Suspended Particle), Zr, Sr, Ba, Li, Th and U were contained much more than other trace elements. The contents of some elements (i.e. Li, Cs, Co, U, Cr, Ni, Rb, V, Th, Y, Sr and Sc) in aerosols collected in Asian Dust period, which are not likely enriched by air pollutants, were higher (2 - 4.2 fold) than those in Non Asian Dust period, indicating that these elements could be used as indicator elements for determining the occurrence of Asian Dust phenomena (especially, Sr, V, Cr & Li). In the case of Asian Dust coming through the big cities and/or industrial areas of China, the domestic aerosols had higher contents of trace elements (such as S, Cd, Zn, Pb, Cu, Mo and As) than those from Northeastern China via North Korea, indicating that the transportation courses of air mass are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pollution degrees. Using the enrichment factors of trace elements in aerosols during Asian Dust and Non Asian Dust, we identified that some elements (i.e. S, Zn, Cu, Pb, As, Mo and Cd) were most problematic in terms of environmental hazard aspects, and these elements could affect adverse effects on human health as well as ecosystem and surface environment (soil and water) through long-lived precipitation.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환경오염의 세계적인 경향)

  • 송인현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2.03a
    • /
    • pp.3.4-5
    • /
    • 1972
  • 생활수준이 낮은 단계에 있어서는 우선 식량에 대한 수요가 강하다. 인간의 욕구가 만족스럽게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제일 강하게 발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점차 과학기술과 산업과 경제가 발전하여 성장과정에 오르게 되고 소득수준도 향상하게 되면 시장기구를 통해서 구입 할 수 있는 개인의 물적 소비재에 대해서는 점차 충족하게 되며 식량이외에도 의복, 전기기구 및 일용생활용품, 자동차 등에 이르기까지 더욱 고차원의 소비재가 보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며는 사람의 욕구는 사적 재물이나 물적 수요에서 점진적으로 공공재나 또는 질적 수요(주택, 생활환경 등)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으로써 여기에 환경오염 또는 공해문제에 대하여 의식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욱이 문제점이 되는 것은 소득 수준의 향상 과정이란 그 자체가 환경오염의 커다란 요인이라는 점이며 자동차의 급격한 보급과 생활의 편의성을 구하여 집중되는 도시인구의 집적, 높은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생산성 높은 중화학공업의 발전 등등은 그 자체가 환경권이란 사람이 요구하는 고차원의 권리를 침해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나 공해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논의는 이미 시작된 지 오래이지만 현재는 우리의 건강보호를 위해서나 생활환경의 보전을 위해서라는 점에서는 그치는 것이 아니고, 더욱 넓혀서 자연의 보호, 자원의 보호라는 견지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확대된 이해와 이에 대한 대책강구의 제안은 1968년 국제연합의 경제사회이사회에서 스웨덴 정부대표에 의하여 제시되었으며 1969년의 우- 탄트 사무총장의 인간환경에 관한 보고서, 1970년 Nixon 미대통령의 연두일반교서 그리고 1972년 5월 6일 스웨덴의 스톡홀롬에서 개최되는 인간환경회의의 주제 등을 통해서 알 수 있고, 종래의 공해나 생활환경의 오염문제라는 좁은 개념에서가 아니고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 다루고 있는 것이다. 즉 환경개발(도시, 산업, 지역개발에 수반된 문제), 환경오염(인위적 행위에 의하여 환경의 대인간조건이 악화하는 문제) 자연ㆍ자원의 보호관리(지하, 해양자원, 동식물, 풍경경치의 문제)란 3개 측면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다. 환경오염이란 문제를 중 심하여 보면 환경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대기, 물, 토지 또는 지각. 그리고 공간의 사대요소로 집약하여 생각할 수 있음으로 이 4요소의 오염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대기의 오염은 환경의 오염중 가장 널리 알려진, 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오염의 문제로써 이에 속하는 오염인자는 분진, 매연, 유해가스(유황산화물, 불화수소, 염화수소, 질소산화물, 일산 화염소 등) 등 대기의 1차 오염과 1차 존재한 물질이 자외선의 작용으로 변화발생 하는 오존, PAN등 광화학물질이 형성되는 2차적인 오염을 들 수 있다. 기외 카도미움, 연등 유해중금속이나 방사선물질이 대기로부터 토지를 오염시켜서 토지에 서식하는 생물의 오염을 야기케 한다는 점등이 명백하여지고 있으며 대기의 오염은 이런 오염물질이 대기중에서 이동하여 강우에 의한 침강물질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소위 광역오염문제를 발생케하며 동시에 토지의 토질저하등을 가져오게 한다. 물의 오염은 크게 내육수의 오염과 해양의 오염의 양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하천을 보호하기 위한 움직임 역시 환경오염의 역사상 오래된 문제이며 시초에는 인분뇨와의 연결에서 오는 세균에 의한 오염이나 양수 기타 일반하수와의 연결에서 오는 오염에 대비하는 것부터 시작하였지만 근래에는 산업공장폐수에 의한 각종 화학적유해물질과 염료 그리고 석유화학의 발달에 의한 폐유등으로 인한 수질오탁문제가 점차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것은 측 오염이란 시초에 우리에게 주는 불쾌감이 크므로 이것을 피하자는 것부터 시작하여 인간의 건강을 지키고 각종 사용수를 보존하자는 용수보존으로 그리고 이제는 건강과 용수보존뿐만 아니라 이것이 농림 수산물에 대한 큰 피해를 주게됨으로써 오는 자연환경의 생태계보전의 문제로 확대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간 특히 해양오염에 대한 문제는 국지적인 것에만 끝이는 것이 아니고 전세계의 해양에 곧 연결되는 것이므로 세계각국의 공통관심사로 등장케 되었으며 이것은 특히 폐유가 유류수송 도중에 해양에 투기되는 유류에 의한 해양의 유막성형에서 오는 기상의 변화와 물피해등이 막심함으로 심각화 되고 있다. 각국이 자국의 해안과 해양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치를 서두르고 있는 현시점에서 볼 때에는 이는 국제문제화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국제적 협력과 협조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좋은 예라 하겠다. 토양의 오염에 있어서는 대기나 수질의 오염이 구국적으로 토양과 관련되고 토양으로 환원되는 것이지만 근래에 많이 보급사용되는 농약과 화학비료의 문제는 토양자체의 오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농작물을 식품으로 하여 섭취함으로써 발생되는 인체나 기타생물체의 피해를 고려할 때 더욱 중요한 것이며, 또 토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하여 농림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다. 지반강하는 지각 에 주는 인공적 영향의 대표적인 것으로써 지하수나 지하 천연가스를 채취이용하기 위하여 파들어 감으로써 지반이 침하 하는 것이며 건축물에 대한 영향 특히 풍수해시의 재해를 크게 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공간에 있어서의 환경오염에는 소음, 진동, 광선, 악취 등이 있다. 이들은 특수한 작업환경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강에 직접적인 큰 피해를 준다고 생각할 수 없으나 소음, 진동, 관선, 악취 등은 일반 일상시민생활에 불쾌나 불안을 줌으로써 안정된 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공간의 오염물로써 새로운 주목을 끌게된 것은 도시산업폐기물로써 이들은 대기나 물 또는 토지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공간을 점령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이나 기능을 손상케 하는 것이다. 즉 노배폐차의 잔해, 냉장고등고형폐기물등의 재생불가능한 것이나 비니루등 합성물질로 된 용기나 포장 등으로 연소분해 되지 않은 내구소비재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maker의 양식에 호소하여 그 책임 하에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본다. 이렇듯 환경오염은 각양각색으로 그 오염물질의 주요 발생원인 산업장이나 기타 기관에서의 발생요인을 살펴보며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A. 제도적 요인 1. 관리체재의 미비 2. 관리법규의 미비 3. 책임소재의 불명확 B. 자재적 요인 1. 사용자재의 선택부적 2. 개량대책급 연구의 미흡 C. 기술적 요인 1. 시설의 설계불량, 공정의 결함 2. 시설의 점검, 보전의 불충분 3. 도출물의 취급에 대한 검사부족 4. 발생방지 시설의 미설치, 결함 D. 교육적 요인 1. 오염물질 방제지식의 결여 2. 법규의 오해, 미숙지 E. 경제적 요인 1. 자금부족 2. 융자상의 문제 3. 경제성의 문제 F. 정신적 요인 1. 사회적 도의심의 결여(이기주의) 2. 태만 3. 무지, 무관심 등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방지란 상기한 문제의 해결에 기대하지 않을 수 없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국내적 국제적 상호협조에 의한 사회각층의 총력적 대책이 시급한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단속된다 하며는 미구에 인류의 건강은 물론 그 존립마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며, 현재는 점진적으로 급성피해에 대하여는 그 흥미가 집중되어 그 대비책도 많이 논의되고 있지만 미량의 단속접촉에 의한 만성축적에 관한 문제나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앞으로 태어날 신생률에 대한 영향이나 유전정보에 관한 연구는 장차에 대비하는 문제로써 중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기외에 우려되는 점은 오염방지책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올 수 있는 파생적인 문제이다. 즉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산기업체가 투자를 하게 되며는 그만큼 생산원가가 상승할 것이며 소비가격도 오를 것이다. 반면 이런 시책에 뒤떨어진 후진국의 값싼 생산국은 자연 수입이 억제 당할 것이며, 이렇게되면 후진국은 무역경쟁에서 큰 상처를 입게될 것이고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 필요한 오염물질의 발생이 높은 생산기기를 자연후진국에 양도하게 될 것임으로 후진국의 환경오염은 배가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 해양오염을 방지할 목적에서와 같이 자국의 해안보호를 위하여 마련된 법의 규제는 타국의 선박운항에 많은 제약을 가하게 될 것이며 이것 역시 시설이 미약한 약소후진국의 선박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으로 교통, 해운, 무역등을 통한 약소후진국의 경제성장에 제동을 거는 것이 될 것이다. 이렇듯 환경오염의 문제는 환경자체에 대해서만 아니라 부산물적으로 특히 후진국에는 의외 문제를 던져주게 되는 것임으로 환경오염에 대해서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써 Nixon 대통령이 말한 결의와 창의와 그리고 자금을 가지고 과감하게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Retrospect and Prospect of Economic Geography in Korea (한국 경제지리학의 회고와 전망)

  • Lee, Won-Ho;Lee, Sung-Cheol;Koo, Yang-Mi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7 no.4
    • /
    • pp.522-540
    • /
    • 2012
  • The main aim of the paper is to identify the position or status of Korean economic geography in changing global economic geography by reviewing papers published in Korean geographical journals since the mid-1950s. Since the late 20th century as economic geography has developed significantly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research issues, methodologies, and theory and concepts, economic geography in Korea also has gone through rapid development in terms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The paper attempts to analyze trends in Korean economic geography by reviewing agricultural, industrial, commercial geographies, and others since the mid-1950s. The review of economic geography in Korea would be based on four periods classified by research issues and approaches; foundation (~1950s), positioning (1960s and 1970s), jump and rush (1980s and mid-1990s), and transitional period (late 1990s~). Agricultural geography in Korea has decreased due to increases of the interests in industrial geography since the 1980s. In particular, since the late 1990s industrial geography has undergone a significant tran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emergence of new theories of institutional perspectives, centering around issues on value chains, innovative cluster, cooperative and competitive networks, foreign direct investment, flexible specialization and venture ecology. Along with this, there has been changes in the interest of commercial geography in Korea from researches on periodical markets, the structure of store formats, and distributions by commodity, to researches on producer services and retailer's locational behaviors and commercial supremacy according to the emergence of new store formats. Since the late 1990s, many researches and discussions associated with the new economic geography began to emerge in Korea. Various research issues are focused on analyzing changes of local, regional and global economic spaces and their processes in relation to institutional perspectives, knowledge and innovation, production chain and innovative networks, industrial clusters and RIS, and geographies of service. Although economic geography in Korea has developed significantly both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we pointed out that it has still limited in some specific scope and issues. Therefore, it is likely to imply that its scope and issues should be diversified with new perspectives and approaches.

  • PDF

Characteristics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the Stormwater Runoffs from Industrial Region Discharged into Shihwa Lake (시화호 산업지역 강우유출수 내 중금속 유출특성 및 위해성 평가)

  • Ra, Kongtae;Kim, Joung-Keun;Lee, Jung-Moo;Lee, Seung-Yong;Kim, Eun-Soo;Kim, Kyung-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7 no.4
    • /
    • pp.283-296
    • /
    • 2014
  •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the stormwater runoffs from industrial sites around Shihwa Lake that implements the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TPLMS) was studied to characterize the temporal changes of metal concentrations and to assess the ecological risk in dissolved and particulate phases of the selected metals. The dissolved Co and Ni concentration demonstrated first flush and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of the duration of rainfall. The intensity of precipitation was found to be the main controlling factor of particulate metals in the stromwater runoffs. The particulate concentration of Pb accounted for 97.2% so the particulate phase was its main form. Other metals followed the sequence: Pb>Cu>Cd>Co>Zn>Ni. The particulate-dissolved partitioning coefficient ($K_d$) indicated that the $K_d$ of Pb were bigger than that of other metals because the metal Pb in the stormwater runoffs is quickly removed into the particulate phase. In a single day rainfall event, total runoff fluxes for total metals as the sum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forms through only two sewer outlets were 2.21 kg for Co, 30.5 kg for Ni, 278.3 kg for Cu, 398.3 kg for Zn, 0.39 kg for Cd and 40.0 kg for Pb, respectively. Given the annual rainfall, the number of rain days and the basin area for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TPLMS) of Shihwa area, enormous amount of non-point metal pollutants were entered into Lake with any treatment. The dissolved metals (e.g., Ni, Cu and Zn) in the stormwater runoffs exceeded the acute water quality criteria. Additionally, all metals were significantly enriched in the particulate phase and exceeded the PEL criteria of sediment quality guidelines (SQG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eavy metals in the stormwater runoffs may pose a very high ecological risk to the coastal environments and ecosystem.

Constructing a Conceptual Framework of Smart Ageing Bridging Sustainability and Demographic Transformation (인구감소 시대와 초고령 사회의 지속가능한 삶으로서 스마트 에이징의 개념과 모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Hyunjeong Lee;JungHo Par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4 no.4
    • /
    • pp.1-16
    • /
    • 2023
  • As population ageing and shrinking accompanied by dramatically expanded individual life expectancy and declining fertility rate is a global phenomenon, ageing becomes its broader perspective of ageing well embedded into sustained health and well-being, and als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peeds up a more robust and inclusive view of smart ageing. While the latest paradigm of SA has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midst of sharply surging demand for health and social services and rapidly declining labor force, the definition has been widely and constantly discussed. This research is to constitute a conceptual framework of smart ageing (SA) from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the use of a series of secondary data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GIS), and to explore its componen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SA is considered to be an innovative approach to ensuring quality of life and protecting dignity, and identifies its constituents. Indeed, the construct of SA elaborates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independent living, encompassing three spheres - Aging in Place (AP), Well Aging (WA), and Active Ageing (AA). AP aims at maintaining independence and autonomy, entails safety, comfort, familiarity and emotional attachment, and it values social supports and services. WA assures physical, psycho-social and economic domains of well-being, and it concerns subjective happiness. AA focuses on both social engagement and economic participation. Moreover, the three constructs of SA are underpinned by specific elements (right to housing, income adequacy, health security, social care, and civic engagement) which are interrelated and interconnected.

Aquatic and Riparian Flora of the Nakdonggang River Tributary (Sangju: Byeongseong-cheon, Buk-cheon, Oeseo-cheon) (낙동강 지류의 수생 및 수변 식물상(상주: 병성천, 북천, 외서천))

  • Hwang, Yong;Hong, Jeong-Ki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3 no.5
    • /
    • pp.516-535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local resource plants by identifying aquatic and Riparian flora. We investigated the aquatic and riparian floras in 3 streams(Byeongseong-cheon, Buk-cheon, Oeseo-cheon) from February to October 2019. 321 taxa (i.e. 300 species, 5 subspecies, 15 varieties 1 Cultivars from 203 genera of 78 families) of the vascular plants were found in the survey area. Byeongseong-cheon is 133 taxa, Buk-cheon is 233 taxa and Oeseo-cheon is 132 taxa. Among 321 taxa, we found 5 endemic species, 3 red list plants, and However, endangered plants were not found in 3 streams. Aquatic and Riparian plant 138 taxa(i.e. Aquatic plant 20 taxa, Riparian plant 118 taxa). Life forms is annual plant 43 taxa, biennial plant 24 taxa, perennial plant 71 taxa. Aquatic plant growth forms emergent hydrophyte 13 taxa, floating leaved hydrophyte 1 taxa, submerged hydrophyte 6 taxa. The number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was 15 (i.e. 1 species of IV degree, 3 taxa of III degree, 5 taxa of II degree, and 6 taxa of I degree). Approved foreign export plants 31 taxa. In addition, 52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and Urbanization Index (UI) were 16.1%, and 16.2%, respectively. Vascular plant usability and reclassification result is Edible 213 species (66%), Medicinal 244 species (76%), Flavor 10 species (3%), Industrial 136 species (42%), Ornamental 137 species (36%), Restoration 117 species (36%), Compost 155 species (48%), Unknown 7 species (5%). We hope that our results provide reference data to set up strategy of resources plants,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in the 3 streams and Sangju-si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