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rospect and Prospect of Economic Geography in Korea

한국 경제지리학의 회고와 전망

  • Lee, Won-Ho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Lee, Sung-Cheo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Campus)) ;
  • Koo, Yang-Mi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2.07.31
  • Accepted : 2012.08.10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main aim of the paper is to identify the position or status of Korean economic geography in changing global economic geography by reviewing papers published in Korean geographical journals since the mid-1950s. Since the late 20th century as economic geography has developed significantly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research issues, methodologies, and theory and concepts, economic geography in Korea also has gone through rapid development in terms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The paper attempts to analyze trends in Korean economic geography by reviewing agricultural, industrial, commercial geographies, and others since the mid-1950s. The review of economic geography in Korea would be based on four periods classified by research issues and approaches; foundation (~1950s), positioning (1960s and 1970s), jump and rush (1980s and mid-1990s), and transitional period (late 1990s~). Agricultural geography in Korea has decreased due to increases of the interests in industrial geography since the 1980s. In particular, since the late 1990s industrial geography has undergone a significant tran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emergence of new theories of institutional perspectives, centering around issues on value chains, innovative cluster, cooperative and competitive networks, foreign direct investment, flexible specialization and venture ecology. Along with this, there has been changes in the interest of commercial geography in Korea from researches on periodical markets, the structure of store formats, and distributions by commodity, to researches on producer services and retailer's locational behaviors and commercial supremacy according to the emergence of new store formats. Since the late 1990s, many researches and discussions associated with the new economic geography began to emerge in Korea. Various research issues are focused on analyzing changes of local, regional and global economic spaces and their processes in relation to institutional perspectives, knowledge and innovation, production chain and innovative networks, industrial clusters and RIS, and geographies of service. Although economic geography in Korea has developed significantly both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we pointed out that it has still limited in some specific scope and issues. Therefore, it is likely to imply that its scope and issues should be diversified with new perspectives and approaches.

본 연구는 1950년대 중반 이후 나타난 한국 경제지리학의 연구 성과와 과제를 검토하여 한국 경제지리학의 지향점과 연구 과제를 제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20세기 후반 이후 경제지리학은 새로운 이슈, 이론, 방법론 등의 도입과 함께 크게 발전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 경제지리학도 지난 반세기 동안 연구의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크게 발전하였다. 본 논문은 1950년대 중반 이후 한국의 농업지리학, 공업지리학, 상업지리학 등의 문헌을 검토함으로써 한국 경제지리학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 경제지리학은 연구의 주제와 접근방법을 기반으로 네 개 시기- 요람기(1950년대), 정립기(1960~1970년대), 도약기(1980~1990년대 중반), 전환기(1990년대 후기 이후) -로 구분할 수 있다. 1980년대 한국 경제지리학의 연구 관심이 공업지리학으로 옮겨지면서 농업지리학은 크게 쇠퇴하였다. 특히, 1990년대 후반 이후 가치사슬, 혁신 클러스터, 협력과 경쟁 네트워크, 해외직접투자, 유연적 전문화, 벤처 생태계 등과 같은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새로운 제도적 관점의 이론이 도입되면서 공업지리학은 크게 성장하였다. 상업지리학에서는 1980년대까지 정기시장, 상품 유통, 상가 구조 등에 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나, 1990년대 이후에는 생산자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 서비스 산업과 새로운 양식의 출현에 따른 소비 입지 형태와 상권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이와 더불어 1990년대 후반 이후 신경제지리학과 관련된 많은 연구와 담론들이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제도적 관점, 지식과 혁신, 생산 사슬과 혁신 네트워크, 산업 클러스터와 지역혁신체제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경제공간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한국 경제지리학은 1990년대 이후 급격한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었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연구가 몇몇 특정 공간과 이슈에 집중되어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경제지리학 전반에서 볼 때, 새로운 이론적 및 방법론적 관점과 접근 방식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연구 주제를 다양화 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연구의 공간 범위도 다층화하는 것이 앞으로 중점으로 지향해야 할 주요 연구 과제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