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환경평가

Search Result 4,24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Studies on the Determin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tmospheric Aldehydes in Urban Area (도심지역의 알데하이드 측정 밀 특성에 관한연구)

  • 이종민;이재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105-107
    • /
    • 2000
  • 지금까지 국내외적으로 도심지역의 대기질 평가에 관한 연구로서 알데하이드의 분석은 상당히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광화학스모그의 전조물질로 널리 알려진 알데하이드는 대기중의 탄화수소가 광화학적으로 산화반응을 일으킬 때 형성되고 대기중의 라디칼의 주요 원천이며 유기 에어로졸 형성에도 크게 관여한다 대도시 지역에서는 공장굴뚝에서 방출되는 매연, 자동차의 배기가스가 알데하이드의 주요 인위적인 배출원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PSCF Model for Regional Scale data (지역적인 규모에서의 PSCF 모형의 적용 및 검증)

  • 정장표;이승훈;장영환;이승묵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23-124
    • /
    • 2003
  • 산업의 발달로 인한 대기오염의 심각화 현상은 국지적인 현상을 뛰어넘어 지역적인 문제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황사 현상의 경우만 하더라도 이제는 한국, 중국, 일본 만의 문제가 아닌 미국 서부해안까지도 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처럼 국가간 장거리 이동오염물질의 관측 및 평가에 즈음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중국 및 일본과 함께 동북아시아 지역에서의 장거리 이동오염물질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Calculation of Emission from Meter Vehicles Considering Traffic Volume (통행량을 고려한 자동차 대기오염 배출량 산출 조사연구)

  • 장영기;최상진;조규탁;김태승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33-35
    • /
    • 2000
  • 대도시 대기오염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정확하게 산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 나라는 이동오염원에 의한 배출량 산출자료가 부족한 상태이다. 그 이유는 배출량 산출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못하고 관련된 기초자료가 다양하며,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오염원중 자동차에 의한 지역별 대기오염 배출량 산출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의 지역별 둥록대수에 의한 방법 대신 지역별 통행량을 고려한 자동차 부문 대기오염배출량 산출 방법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중략)

  • PDF

Prediction of Ozone Concentration in Suwon by Empirical Kinetic Modeling Approach (EKMA를 이용한 수원시의 장래 오존농도 예측)

  • 서정배;장영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368-370
    • /
    • 1999
  • 고농도의 오존 농도를 예측ㆍ평가하기 위해서는 대상지역의 기상조건과 풍상쪽(up wind)으로부터의 오존ㆍ오존전구물질(precursor)의 중ㆍ장거리이동, VOCs 및 NOx의 배경농도 및 배출량과 관련된 VOC/NOx의 농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대상지역의 VOCs/NOx의 농도 특성에 따라 차후 고농도의 오존 생성을 예방하기 위한 오존전구물질의 저감대책이 결정되어지므로 대상지역의 광화학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져야 한다.(중략)

  • PDF

월성원자력 현안에 대한 이해관계자 참여 사례

  • Lee, Byeong-Il;Jeong, Jin-Uk;Mun, Ju-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11.10a
    • /
    • pp.45-46
    • /
    • 2011
  • 2009년 4월에 신월성원전 건설현장의 차수벽이 파손되면서 해수가 유입되는 사고가 발생한적이 있다. 이때 주민의 요구에 따라 사업자와 주민이 참여하는 공동조사위원회가 구성되어 침수구조물에 대한 안전성을 공동으로 평가하였다. 최근에는 주민이 참여하는 지역공동협의회를 구성하여 방폐장 안전성을 확인하였고, 삼중수소 방사능에 대한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주 지역에 원자력현안 발생 시 지역주민이 해결과정에 참여하여 성공적으로 해결했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사회적 해결 과제로 떠오른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Particulate Matter Forecasting Improvement by using Asian Dust Emissions in East Asia (황사배출량을 적용한 동아시아 미세먼지 예보 개선 연구)

  • Choi, Daeryun;Yun, Huiyoung;Chang, Limseok;Lee, Jaebum;Lee, Younghee;Myoung, Jisu;Kim, Taehee;Koo, Youns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 /
    • v.18 no.4
    • /
    • pp.531-546
    • /
    • 2018
  • Air quality forecasting system with Asian dust emissions was developed in East Asia, and $PM_{10}$ forecasting performance of chemical transport model with Asian dust emissions was validated and evaluated. The chemical transport model (CTM) with Asian dust emission was found to supplement $PM_{10}$ concentrations that had been under-estimated in China regions and improved statistics for performance of CTM, although the model were overestimated during some periods in China. In Korea, the prediction model adequately simulated inflow of Asian dust events on February 22~24 and March 16~17, but the model is found to be overestimated during no Asian dust event periods on April. However, the model supplemented $PM_{10}$ concentrations, which was underestimated in most regions in Korea and the statistics for performance of the models were improved. The $PM_{10}$ forecasting performance of air quality forecasting model with Asian dust emissions tends to improve POD (Probability of Detection) compared to basic model without Asian dust emissions, but A (Accuracy) has shown similar or decreased, and FAR (False Alarms) have increased during 2017.Therefore, the developed air quality forecasting model with Asian dust emission was not proposed as a representative $PM_{10}$ forecast model in South Korea.

Assessment of Sorption Behavior on Slag Against Heavy Metals (카드뮴, 납, 구리에 대한 슬래그의 흡착특성평가)

  • Lee, Gwang-Hun;Choi, Sung-Dae;Chung, Jae-Shik;Park, Jun-Boum;Nam, Kyoung-Phile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4 no.6
    • /
    • pp.17-25
    • /
    • 2008
  • Permeable reactive barriers (PRBs) technology can be applied to contaminated groundwater remedia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 adequate reactive material according to contaminant characterization. In groundwater. In this research, the reaction between reactive material and heavy metal contaminants was estimated through batch test. Reactive material was slag, which has been produced in Gwangyang power plant, and heavy metal contaminants were cadmium, lead and copper. Batch test consisted of two testes: 1) sorption equilibrium test and 2) sorption kinetic test. Sorption equilibrium test was performed for estimating slag sorption capacity against contaminants. And sorption kinetic test was performed for slag sorption rate with contaminants species, contaminants initial concentration and sulfate. Sorption capacity and sorption rate were affected by contaminant species. Sorption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concentration in lead and copper but decreased with increasing initial concentration in cadmium. Sorption rate increased in existing sulfate. In low concentration, film diffusion was domain mechanism, and in high concentration, particle diffusion was domain mechanism.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for Buffering Region in Railway Development Areas (철도 개발지 완충지역 기준 설정에 대한 연구)

  • Kim, Min Kyeong;Kim, Dong Yeob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5 no.1
    • /
    • pp.45-53
    • /
    • 2018
  • Ecological networks can be generally classified into core areas, buffer zones, and corridors. Particularly, buffer zones connect core areas or ecological corridors, and preserve ecological network by reducing the impact from outside. We examined related laws and researches about buffer zone establishment associated with the resources of high ecological and conservation value to find out more researches are need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various examples of the criteria for establishing buffer zones at domestic and overseas. Based on the results of railwa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railway construction guidelines, we analyzed the application methods applicable to the railway development area and proposed the criteria to evaluate land cover status, species diversity, rarity, and connectivity. Through this study,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value around the development area of the railroad was examined to reduce the environmental damage from railroad construction.

Analysis of applicability of water permeability blocks in urban inundation areas using XP-SWMM (XP-SWMM을 이용한 도시 침수지역에서의 투수성 블록 적용성 분석)

  • Jung, Min Jin;Jun, Kye Won;Jang, Chang Deok;Kim, Ju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6-316
    • /
    • 2022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강우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IPCC는 제6차 기후변화 평가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지역에 이상 기온 현상이 발생하고 강수 변동성이 증가해 도시를 중심으로 홍수로 인한 도시 기반시설 피해가 발생하는 등 이상기후로 인한 자연재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한 서울시 신림지역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도시침수 해석모형인 XP-SWMM을 이용하여 저영향개발기법(LID)중 하나인 투수블럭의 적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역인 신림2배수구역은 상류에서 서울대배수구역에서의 유출량이 유입되며 하류에서 봉천천배수구역과 합류 후 신림1배수구역으로 유출되며 상류와 하류에서의 경계조건은 도림천 전 유역에 대해 수립된 도림천의 「도시하천 유역종합치수계획」 수립에 따른 유출분석 및 내수침수 해석결과를 적용하였다. XP-SWMM을 적용하여 내수침수를 해석한 결과, 투수블럭을 설치가능한 공간에 최대한 설치할 경우 피해면적에 대한 저감효과가 약 60%이상으로 나타나 불투수면적의 비율이 높은 도시지역에서 효과적인 침수저감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대상지역으로 선정한 연구지역에서 기왕 일최대강우에 대한 침수지역은 평균 침수심이 매우 얕고, 홍수량 또한 작은 규모이기 때문에 투수성블럭의 침수저감효과가 비교적 과도하게 평가되었다는 한계가 있으나, 빗물펌프장 등 구조적 침수대책이 수립된 후에도 일부 침수지역이 발생하는 소규모 침수지역에 대한 대책으로 투수성블럭이 유의미한 대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