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의 구성

Search Result 6,622,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Geographic Expansion of the Leverage Cycle Theory: Focusing on the Subprime Real Estate Investor in the Depressed Housing Market (레버리지 주기 이론의 지리적 확장: 불황 주택시장의 서브프라임 부동산 투자자를 중심으로)

  • Lee, Hoobi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4
    • /
    • pp.592-609
    • /
    • 2019
  • This study attempts to expand the leverage cycle theory using the subprime real estate investors. The leverage cycle theory has demonstrated asset price fluctuations irrelevant to changes in fundamentals through the restructuring of transaction composition centered on optimistic buyers. However, it needs to understand how this theory works in the depressed housing market with low-income residential regions to explain the geographic origins of the financial crisis. In the depressed housing market, the subprime real estate investors focused on low-income residential regions. Through this spatial focus, the low-income residential regions solely have real estate investor-oriented composition of new purchase transactions in the depressed housing market. The discovery of the subprime real estate investors as new actors lays the foundation for applying the leverage cycle theory to the depressed housing market which has been a underserved area for capital investment. This attempt illustrates how the geographical reinterpretation of an economic theory reestablishes spatio-temporal context of economic phenomena.

Automatic Change Detection of Urban Areas using LIDAR Data (라이다데이터를 이용한 도시지역의 자동변화탐지)

  • Choi, Kyoung-Ah;Lee, Im-P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6 no.4
    • /
    • pp.341-350
    • /
    • 2008
  • Change detection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eps to update city models. In this study, we thus propose a method to detect urban changes from two sets of LIDAR data acquired at different times. The main processes in the proposed method are (1) detecting change areas through subtraction between two DSMs generated from the LIDAR sets, (2) organizing the LIDAR points within the detected areas into surface patches, (3) classifying the class of each patch such as ground, vegetation, and building, and (4) determining the kinds of changes based on the properties and classes of the patches. The results which were obtained from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ethod to real data were verified as appropriate using the reference data manually acquired from the visual inspection of the orthoimages of the same area. The probability of success in change detection is assessed to 97% on an average. In conclusion,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as a reliable, and efficient approach to change detection and thus the update of city model.

Accuracy Analysis on Geodetic Network in Jeju area using GPS (GPS에 의한 제주지역의 측지기준망 정확도 분석)

  • Kang, Sang-Gu;Jung, Young-Dong;Yang, Young-B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1 s.35
    • /
    • pp.65-74
    • /
    • 2006
  • A rapidly developed satellite technology is used in comprehensive fields such as spatial data aquisition and applications. Especially a GPS positioning is expected to reinvigorate at the national reference system changes to ITRF(International Terrain Reference Frame). Currentl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issues a triangulation point coordinate by separating old and new coordinates and in the year of 2007 it will be scheduled to be changed ITRF. The triangulation point coordinate in Cheju area causes some problems due to the difference original observation and re-observation. Thus in this study a GPS observation is conducted after re-organizing geodetic network based on 1st and 2nd order triangulation in order to check the current triangulation points in Cheju area. After the GPS observation data analysis, stable points were extracted, proposed a geodetic network and its application.

  • PDF

The Actu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Gaya Mountain National Park (가야산 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 및 녹지자연도)

  • 김준선;김갑태;임경빈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 no.1
    • /
    • pp.1-15
    • /
    • 1989
  • To investigate the actual vegetation and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DGN) in Gaya Mountain National Park, forest communities were classified by phytosocialogical analysis according to physiognomy and Braun-Blanquet methods. Major forest communities were as follows: 1. Pinus densiflora community 1) P. densiflora-Rhododendron mucronulatum subcommunity 2) P. densiflora-Lespedeza maximowiczii subcommunity 3) P. densiflora-Sasa borealis subcommunity 4) P. densiflora-Carex siderosticta subcommunity 2.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1) Q. mongolica-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 a) Typical subcommunity b) Vaccinium koreanum subcommunity 2) Q. mongolica-Sasa borealis community 3) Q. mongolica-Lespedeza maximowiczii community 3. Quercus serrata community 4. Carpinus laxiflora-Quercus serrata community 5. Rhododendron tschonoskii community 6. Lespedeza crytobotrya-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community The map of DGN was drawn according to the actual vegetaton map. The ratio of DGN 7 and 8 was 93.9% in Gaya Mountain National Park.

  • PDF

Efficient Construction of Large Scale Grade of Services Steiner Tree Using Space Locality and Polynomial-Time Approximation Scheme (공간 지역성과 PTAS를 활용한 대형 GOSST의 효과적 구성)

  • Kim, In-Bu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11
    • /
    • pp.153-161
    • /
    • 2011
  • As the problem of GOSST building belongs to NP compete domain, heuristics for the problem ask for immense amount execution time and computations in large scale input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mechanism for GOSST construction using space locality PTAS. For 40,000 input nodes with maximum weight 100, the proposed space locality PTAS GOSST with 16 unit areas can reduce about 4.00% of connection cost and 89.26% of execution time less than weighted minimum spanning tree method. Though the proposed method increases 0.03% of connection cost more, but cuts down 96.39% of execution time less than approximate GOSST method (SGOSST) without PTAS. Therefore the proposed space locality PTAS GOSST mechanism can work moderately well to many useful applications where a greate number of weighted inputs should be connected in short time with approximate minimum connection cost.

A Comparative Analysis on Emergency Management System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K. (한국과 영국의 재난관리 체제에 대한 비교 분석)

  • Yoon, Jong-Han;Park, Sung je;Ryu, Si 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80-580
    • /
    • 2016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전세계적으로 이상 기후 및 자연재해가 증가하면서 재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법체계 및 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난관리의 법과 제도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공학 및 기술적 연구에 비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재난관리에 대해 많은 경험을 축적해온 선진국가의 재난관리체제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국의 재난관리체제를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한국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영국의 재난관리 체제는 지방정부가 재난대응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중앙정부는 대응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지원 및 조정업무를 수행하는 분산적 재난대응체제라 할 수 있다. 중앙정부에는 재해를 전담하는 조직이 별도로 구성되어 있지 않고 지방행정조직이 지역특정에 맞게 위기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한다. 지역별로는 지방정부, 기업, 시민단체로 구성된 민관협력체인 위기관리포럼을 형성하여 재난에 대처한다. 반면 한국의 재난대응체제는 중앙집권적이며 국민안전처가 재해전담조직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영국과 같은 민관협력체는 발달하지 않았다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영국과 한국의 재난관리체제를 비교해 볼 때 다음과 같은 법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분산되어 있는 재난관리 기본법을 하나로 통폐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방정부의 재난대응권한을 강화해야 하며 특히 인력과 예산이 재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수준으로 조정되어야 한다. 세째, 지방수준에서 재난대응 관련 기관들간 조정 및 협력을 할 수 있는 체제가 강화되어야 한다. 네째, 민간단체를 재난대응체제에 조직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민단위의 방재조직이 공공부분과 효과적으로 협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이 필요하다. 다섯째, 재난대응단계 설정에 있어 예방에 앞서 지역의 특성에 따라 예방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진단하는 평가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 PDF

Evaluation of Water Supply Vulnerability under Climate Change (물 공급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 Choi, Si Jung;Kang, Seong Kyu;Lee, Dong Ryul;Kim, Hyun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00-400
    • /
    • 2019
  • 국내에서는 향후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수자원 분야에 있어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 예측하고 있으며 특히 미래 물 공급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라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해서는 기후변화 적응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많은 수자원시설물이 건설되어 운영 중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뭄 등으로 인해 물 공급의 어려움을 겪는 지역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현재 물 공급 시스템의 공급능력 및 취약성에 대해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최근 들어 기후변화가 국내 수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는 있으나 물 공급 관련 연구는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다. 이는 미래에 대한 예측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정량적인 결과를 도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감지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미래에 발생가능한 다양한 상황에 대한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후변화, 사회 경제조건 변화 등에 대해 현재의 기술로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미래 시나리오 경로로 구성하고 각 경로별 물 수급 전망을 수행함으로써 미래 물 공급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구성된 미래 시나리오 경로별 물 수급 전망분석 결과를 통해 4대 권역(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및 영산강)에 대한 물 공급 취약지역을 선정하였으며 미래 발생할 수 있는 물 부족 발생가능량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선정된 물 공급 취약지역에 대해서는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한 대책 마련이 절실할 것으로 판단되며 연구결과는 지역 수자원계획 수립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unoff simulation from paddy field using three-dimensional CFD and law of similarity (3차원 CFD와 상사법칙을 이용한 논에서의 유출 모의)

  • Shin, Sat-Byeol;Jun, Sang Min;Choi, Won;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2-292
    • /
    • 2016
  • 논의 배수특성 분석은 물꼬 크기 및 개소수, 배수로 구성, 규모, 경사, 재질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 인자들의 영향으로 인해 일반적인 유역의 홍수량 산정을 위해 사용되는 수문학적 홍수추적 방법의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논에서의 유출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수리학적 홍수추적 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며,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1차원과 2차원의 수치 해석 기법으로 논의 유출 특성을 분석해왔다. 3차원 수치 해석 기법을 적용할 경우 1차원과 2차원에서 볼 수 없는 유동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유출 모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3차원 해석은 비교적 구조가 단순한 논에 적용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사법칙은 주로 실험의 스케일을 줄이기 위해 적용되어 왔다. 정확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진다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3차원 모델링에 상사법칙을 적용할 경우, 모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 해석 모형인 FLOW-3D를 이용하여 논에서의 유출을 모의하고,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상사법칙을 이용하여 모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의 대상으로 40m x 100m의 논 포장을 구성하였으며, 강우 및 관개에 따른 유출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는 실측치 및 기존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수리학적 상사법칙을 적용하여 조건을 변화시켜가며 유출을 모의하였고, 모의 조건 및 모의 시간 변화에 따른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논에서의 유출 모의의 정확성을 향상 시켜, 홍수 발생 시 농경지의 침수 대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in East Asia and Its Economic Effects: A CGE Approach (CGE모형을 이용한 동아시아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경제적 영향 분석)

  • Ko, Jong-Hwa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7 no.4
    • /
    • pp.1-21
    • /
    • 2013
  • This study aims at conducting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potential economic effects of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consisting of 10 Member States of the ASEAN, Australia, China, India, Japan, Korea and New Zealand using a multi-region, multi-sector CGE model. Three different policy scenarios are carried out based on baseline scenarios: China-Japan-Korea FTA (Scenario 1); ASEAN+3 FTA (Scenario 2); and the RCEP (Scenario 3). The impacts of three scenarios are described in terms of real GDP, Equivalent Variation as a measure of welfare, export and import volumes, trade balance, and terms of trade. This study finds that the RCEP is to lead to an increase in real GDP of all members of the RCEP, with Korea as a winner with a highest additional economic growth of 2.43 percent, which implies that Korea is in a better position to play a leading role in promoting the RCEP.

The Roles of the Exchange Rate and Labor Skill Composition on Vietnam's Trade Balance Vis-à-Vis Main Trading Partners (베트남 무역수지에서 환율 및 노동숙련도 간의 상관관계분석: 주요 무역 상대국 중심으로)

  • Tan, Yan;Uprasen, Utai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22 no.3
    • /
    • pp.85-119
    • /
    • 2018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xchange rate and labor skill composition on Vietnam's trade balance with her twenty main trading partners. Using balanced panel data from 2000 to 2016, the authors analyze Vietnam's total trade balance and the trade balance which is disaggregated based on labor skill sophistication. Three main findings are presented. Firstly, exchange rate has a positive effect on Vietnam's trade balance, but the small value of estimated coefficient indicates that its effect is limited. Secondly, Vietnam's trade balance of the high labor-skill produced and medium-skill white collar labor-produced goods is worsened when VND (Vietnamese Dong) depreciates. Thirdly, moving up the labor skill ladder and promoting the none-price competitiveness of the high labor-skill produced and medium-skilled white collar labor-produced goods can improve Vietnam's total trade balance, while promoting the low-skill labor-produced and medium-skill blue collar-labor produced goods can no longer contribute to Vietnam's total trade bal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