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의 경제.사회적 환경

Search Result 75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esponse Rate and Community Context: Comparison of U.S. Census and the General Social Survey (사회조사 응답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경제.사회적 요인: 2000년 미국 센서스와 2002년 미국 종합사회조사 비교)

  • Kim, Ji-Bum;Oh, Mi-Hye;Kang, Jeong-Han
    • Survey Research
    • /
    • v.11 no.3
    • /
    • pp.1-18
    • /
    • 2010
  • How much do people living in different communities vary in their survey responses? A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 of the social environment on survey response. Making generalizations from these studies by looking at the effect of social environment on survey response is complicated due to differences in survey dimensions, including incentives, survey mode, types of response rates, and geographic levels. Using the 2000 Census Final Response Rates(CFRR) and the 2002 General Social Survey Response Rates(GSSRR) linked with the 2000 Census in the United States, we attempt to understand how community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survey cooperation vary between data sets. We found that people living in poor area are less likely to cooperate with the Census but more likely to cooperate with GSS, while people living in an area with more minors under 18 is more likely to cooperate with both Census and the GSS. By using two data sources with contrasting survey dimensions within the United States, our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survey field operations and hopefully will invigorate studies about response rates in a Korean context.

  • PDF

Imperatives for Geography in Area Studies (해외지역 연구에서 지리학의 소임)

  • Moran, Warre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2 no.4
    • /
    • pp.527-540
    • /
    • 1997
  • 이 글에서는 해외지역연구에 있어 세계와와 관련한 여건 변화, 지리하계의 동향, 그리고 21세기의 새로운 지역연구에 지리학의 역할이 어떠하여야 할 것인가를 살피고자 한다. 해외지역연구는 2차대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냉전기에 세계적 우위를 유지하고 국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외국 현지어 구사 능력을 포함한 해외 정보 수요가 늘어 지역연구의 발달을 보게 된 것이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지역연구는 개성기술적(ideographic)성격을 띠게 되었다. 요즘에는, 지역연구가 주로 초국적기업, 국제 경영대학원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새 지역연구는 해외시장정보 수집 등 경제적 동기로 이루어지고 있어, 경제적으로 편향되는 취약점이 있다. 세계화는 요즘 하계의 화두(話頭)로, 세계 경제와 사회에 일고 있는 이 변화를 바로 이해하는 것은 향후 지역연구의 방향을 정립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세계화는 세계 어디서나 똑같이 일어나는 동질적인 현상이 아니라, 매우 다양하고 여러 의미가 담긴 현상이다. 마치 동전에 양면이 있듯이, 세계화는 수렴과 분화를 동시에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국경을 개방하고 장애를 없애 하나의 동질적인 세계시장환경을 지향하는 신자유경제 논리에 바탕한 지역연구는 설득력이 약하다. 지리학이 지역연구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 첫째, 해외지역을 이해하려면 공간(space)과 장소(place)연구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둘째,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지리적 차이를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지리학은 이론정립 노력을 계속해야 하며, 넷째, 그 이론들은 해외지역의 현장답사와 정보수집을 통하여 검증되어야 한다. 지리학은 일찍부터 도시, 농촌 등 미시적 수준의 연구를 수행해왔기 때문에 경험적 연구에 강하다. 다섯째, 정부와 기업 등 조직에 대한 지리학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경제활동 분포에 대한 조직의 역할, 소유권에 대한 정부의 규제, 생산 조직의 환경 영향 등의 연구가 그 예이다. 여섯째, 지리학의 발달을 위하여 국가, 국제적 학술 기구를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국제지리학연합(IGU)에서 개발한 지리교육과정, 미국National Research Council에서 세계지리에 밝지 못한 국민을 대상으로 펴낸 지리서 등이 그 사례이다. 지역연구는 사회과학 이론과 문화연구가 서로 접목되도록 새롭게 방향이 설정되어야 하며, 지리학의 인간-환경 연구 전통이 여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리학의 역할이 효율적이기 위해서는 지리학 자체의 담론을 다시 확립해야 한다. 지리학계에서 지난 20여년간 추구해왔듯이 일반적 법칙을 지향(nomothetic)하는 접근법을 활용해야 하며, 여타 사회과학 및 환경과학과도 긴밀한 관련을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Housing related characteristics on Aging in place among Older adults (주거 특성이 지역사회 지속거주 의사에 미치는 영향)

  • Jung, Chanwoo;Han, Changkeun
    • 한국노년학
    • /
    • v.41 no.3
    • /
    • pp.373-396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housing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on the willingness to continue living in local communities in order to realize the Aging in place of the elderly in Korea. Considering that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s important for aging in place, both healthy and unhealthy cases were analyzed in the analyses. Housing characteristics include home ownership, housing cost burden, housing convenience, housing satisfactio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The study sample is 9,798 elderly people from the 2017 survey on the elderly.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6,704 older adults (68.4%) chose to continue living in the community, 3,094 (31.6%) of the elderly did not choose to live in the local community. Second, the elderly who chose to stay in the local community are likely to have more real estate assets and less burden of housing expenses than the elderly group who did not. Third, the results report that older adults with more real estate assets and lower the housing cost burden are likely to choose sustainable living in the local commun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ajority of the elderly actually preferred Aging in place. This study concludes with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realizing aging in place considering the elderly's needs.

Evaluation of Tourism Development Impacts -A Case Study in Ganhyun Area, Wonjoo, Korea- (관광개발의 영향 평가에 관한 연구 -원주시 간현지역을 중심으로-)

  • 유기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7 no.3
    • /
    • pp.268-275
    • /
    • 2003
  • The purpose underlying this study is to evaluate tourism development impacts from analyzing residents' and tourists' perceptions. Questionnaire surveys were carried on Kanhyun area in Kangwondo, Korea. Generally, residents in the area perceive positive economic impacts due to tourism development, however levels of employment and economic independence of the locality are perceived low. Sociocultural changes also bring negative aspects in life and residents' awareness of environmental impacts show far more negative. Tourists' satisfaction levels with the area and the management attributes are relatively high. Some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to help the area to be more successful as a tourist destination.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s needed for the future study.

A Case Study on the Community-based Elderly Care Services Provided by the Social Economy Network in Gwangjin-Gu, Seoul (사회적경제 조직의 지역사회 돌봄 네트워킹 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시 광진구 노인돌봄 클러스터 사례연구)

  • Kim, HyoungYong;Han, EunYoung
    • 한국노년학
    • /
    • v.38 no.4
    • /
    • pp.1057-1081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case of elderly care cluster in Gwangjin-gu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social economy as a provider of community-based social services. Community-based means the approach by which community organizations build a voluntary and collaborative network to enhance collec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Therefore, it is very likely that the social economy that emphasizes people, labor, community, and democratic principles can contribute to community-based social services. This study analyzed social economic network by using four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nomy suggested by OECD community economy and employment program as an analysis frame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social economy would hardly supply community-based social services through network cooperation because of a large variation in community identity, investment to new product, and labor protection. Second, community users are not the consumers of the social economy and the products of the social economy stay in market products only for the organizations in social economy. In order to create good services that meet the needs of residents, community development approaches are required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of community space where local residents and social economy meet is derived. Third, public support such as purchasing support has weakened the ecosystem of social economy by making the distinction between public economy and social economy more obscure. On the other hand, public investment in community infrastructure is an indirect aid to social economy to communicate with residents and to promote good supply and consumption. In the end, community-based social services need a platform where the social economy and the people meet. This type of public investment can create the ecosystem of the social economy.

체계동태기법을 이용한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 전략 평가모형의 정립과 적용 - 담양군 대나무 신산업 육성전략의 파급효과 분석

  • Jeong, Hoe-Seong;Jeon, Dae-Uk;Kim, Byeo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ystem Dynamics Society
    • /
    • 2006.04a
    • /
    • pp.79-100
    • /
    • 2006
  • 지역개발과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의 수립을 위해 지역의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통합한 지속가능발전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지속가능발전 전략의 모색과 관련정책의 파급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러한 통합모델의 개발과 적용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높은 환경질을 유지하고 대나무와 같은 생태자원을 육성함으로써 생태관광과 대나무신산업 등의 새로운 지역개발 정책을 수행하는 전라남도 담양군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 체계동태모형을 구축한다. 담양군 사례분석의 결과는 죽림육성 정책과 대나무신산업과 같은 지역특화산업에 대한 기술개발 및 각종 재원의 병행이 인구유입과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매우 효과적임을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지역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시스템적 사고를 통해 지역개발에 있어서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살린 생태자원의 육성과 적절한 산업정책을 병행하는 생태발전 전략이 지역의 지속가능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oad to local economy (도로성장과 지역경제에 관한 고찰)

  • Lee Yong-Su;Shin Ho-Nam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5 no.3 s.19
    • /
    • pp.114-119
    • /
    • 2004
  • A road is an infrastructure that helps boost up growth of local economy, connections among local communities and living conditions. For South Korea the increase in infrastructures like roads now concentrates on specific regions, which causes regional imbalance. also, some areas are faced with the overall weakness of local economy such as decrease in local tax revenues, slowdown in industrial and economic growth of regions, and the low independence of local finances because lack of roads, a basis of local economic growth, make big and smaller business reluctant to invest in localities. In addition, even though the power-centralized age turns to a decentralized age, the preference of development policies by the existing economic size rather than those of nationwide balanced development gets the economic gap of localities deeply-rooted; moreover, disparity of local wealth has a tendency to even differentiate the overall quality of living. The paper intends to analyze relations between road development and local economy focused on road construction, one of requisites to balance national development and accelerate local economy.

The Local Drought Risk Assessment Framework Using Vulnerability and Hazard Index (가뭄 취약성 및 노출성 지표를 활용한 지역 가뭄 위험도 평가 방안)

  • Yu, Jisoo;Kim, Jieun;Lee, Joo-Heon;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5-5
    • /
    • 2020
  • 가뭄은 일반적으로 기상학적, 수문학적, 농업적 및 사회·경제적 가뭄으로 분류된다. 그 중 강수량 부족으로 인해 야기되는 기상학적 가뭄은 지역 사회에 직접적인 피해를 유발하는 도화선이 된다. 그러나 강우량 부족이 경제적, 사회적 피해로 전파되는 과정은 단순하지 않으며, 정량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가뭄 위험도는 수문기상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자연재해에 대한 지역의 취약성의 맥락에서 파악되어야하므로, 가뭄 위험도 평가 방안은 위험도와 지역사회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과정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뭄 취약성(vulnerability)과 노출성(hazard)을 정량화하여 나타내는 지표를 적용한 가뭄 위험도 분석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취약성 개념은 개인 또는 그룹이 자연재해의 영향에 대처하고 이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노출성은 자연적 또는 인간이 유발할 수 있는 물리적 사건의 가능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취약성은 지역의 문화적, 사회적 및 경제적 인자를 이용하여 정의된다. 반면 노출성은 주어진 시간 또는 영역 내에서의 특정 현상의 발생 확률에 따라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 취약성 지수 (Drought Vulnerability Index, DVI)와 가뭄 노출성 지수(Drought Hazard Index, DHI)를 이용하여 지역 가뭄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취약성 및 노출성 지수를 활용한 선행연구에서의 주요 쟁점은 연구자의 주관성을 배제하고 지역의 상황을 반영할 수 있도록 (1)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변수의 선택과 (2) 각 인자들의 관계를 규정하는 가중치 정의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확률론적 접근방법을 적용한 위험도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VI를 산정 시 지역에서 지배적인 사회경제적 인자를 선택하기 위해 주성분분석(PCA)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DHI는 이변량 가뭄 빈도 분석에 의해 산정된 특정 가뭄사상의 발생 확률로 정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뭄 위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충청북도 및 충청남도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지역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가장 가뭄 위험도가 높은 지역은 충청북도에서는 청주시, 충청남도에서는 공주시로 분석되었다. 특히 청주시는 DVI가 매우 높지만 DHI는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으며, 반면 공주시는 DHI와 DVI가 지역 내에서 가장 높게 산정되었다.

  • PDF

A Study on Plan for Utilizing Historical-Cultural Contents in the River Basin (하천유역에서의 역사·문화 콘텐츠 활용방안)

  • Ho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7-417
    • /
    • 2019
  • 하천의 기능은 공학적 관점에서의 이수, 치수, 환경 기능 외에도 사회적 관점에서 역사 문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우효섭, 2009). 1990년대 말부터 하천복원사업이 본격화 되면서 최근에는 하천환경 기능 외에도 친수를 포함한 역사 문화 기능이 하천관리의 주요 축으로 고려되거나 포함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하천의 역사 문화 기능을 주문하는 요구가 증가한 이유로는 하천복원사업의 지역적 획일화, 친수(심미) 요구 증대, 지역 경제성 제고, 환경(생태, 문화 등) 가치 증대 등 사회경제적 정책적 환경 변화가 기인한 부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하천의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관리와 보전을 위한 방안으로 하천의 역사 문화적 요소를 사회 경제적, 생태 환경적 요소와 연계하는 접근방식은 유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역공동체가 형성해온 물 문화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하천유역의 역사 문화적 소재 및 자원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조사 수집된 다양한 역사 문화적 소재 및 자원은 하천사업 및 관리의 주요 콘텐츠로 활용되기 위한 창출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사회 경제적, 생태 환경적 요소와 연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역을 대상으로 문헌조사 기반의 사전조사와 심도 있는 현장조사(탐문조사 등) 수행결과를 토대로 향후 하천복원사업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역사 문화적 소재와 자원 등에 관한 콘텐츠를 도출하였다. 또한 콘텐츠 활용방안은 하천 역사 문화 자원의 세부적인 콘텐츠를 아우를 수 있는 테마설정을 통하여 대상지 및 지역특성(치수 안전, 지역요구, 물 문화 가치 등) 등을 고려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친수 측면에서 현재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방문자수, 목적(산책, 스포츠, 낚시, 물놀이, 레저 등) 등에 대한 패턴과 지역 인구 현황, 접근 인프라(교통, 이동로, 편의시설 등), 주민 요구도 등 잠재적 친수도는 물 문화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주요한 고려사항이라 할 수 있다.

  • PDF

The Reclamation of Tidal Land and the Making-Group of Landscape in Naepo Area, Korea" - Centering around the Garorim Bay from the $19^{th}C$ to 1960s - (내포지역 해만개척의 전개와 경관변화의 사회적 주체 -조선후기~1960년대 가로림만 일대를 중심으로 -)

  • 전종한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2
    • /
    • pp.206-223
    • /
    • 2003
  • Bays and caps represen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Naepo area in Korea. And reclamation of tidal land presents a clue toward the understanding of regional identities and landscape changes in this area. Reclamation of tidal land in the Garorim bay that is representative of the physical geographies of Naepo area had trended toward 'the diffusion of salt ponds' during Joseon dynasty. Hereafter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reclamation had tumed to 'the reclamation of arable lands' by drainage. But, at the same time the land use of salt pond that had been the most appropriate strategy of adaptation for the ecological environments of this area has showed a sort of the geographical long-term durability. And the great landlords that had emerged during Japanese imperialism were the Yeom-han(鹽漢, laborers who engaged in salt production) in former times. They as a new local elites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reclamation of tidal land and the making of regional landsc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