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용도

Search Result 71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Optimal Water Allocation by Dynamic Programming (동적계획법에 의한 물 배분)

  • 이순탁;이진우
    • Water for future
    • /
    • v.18 no.2
    • /
    • pp.163-174
    • /
    • 1985
  • This study aims at the development of a technique for the optimal water allocation by applying Dynamic Programming Model for the effective usage and rational allocation of water resources, in case of which limited water resources in river basin should be used in several stages. In analytical procedure the possible allocable area was firstly zoned into the four areas: Pohang area ($C_1$), Yeungcheon area ($C_2$), Gyeungsan area ($C_3$), Daegu area ($C_4$), which are located between the Yeongcheon dam and the confluence of the lower Kumho river and the main course of the Nakdong river. Secondly, a return function wa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P in each area and the amount of water used to it. A DP Model, finally, was applied to the allocation of the water resources according to both their usage and the areas. As a result, the fact has been found that when allocating by the area, $C_1$ could be possibly supplied only with the water resources avaiable from the Yeungchon dam, and the maximum units supplied to $C_1$ should be 240 units ($1unit=10^3㎥$ per day), beyond which we ought to develop an alternative water resources. Also, the return from the allocation by the usage exceeded the one from it by the area. At the same time it was more profitable to limit the water supply to $C_1$ into 217 units. In the allocation by the area 240 units and 80 units, if only the water resources available from the Yeungcheon dam used, and 360 units and 80 units if the Doil dam used additionally, could be supplied to $C_1$ and the lower region respectively. In the allocation by the usage 103 units for industrial water with 33 units for both domestic and commercial water and 183 units, if only the water resources available from the Yeungcheon dam used, and 103 units with 33 units and 304 units, if the Doil dam taken into consideration additionally, could be supplied to $C_1$ and the lower region respectively. Therefore, much more water could be allocated to the region of lower Kumho river if the method of water allocation by the usage.

  • PDF

Landuse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and Landuse Pattern (토지이용정보체계구축 및 토지이용유형화에 관한 연구)

  • 이근상;임승현;조기성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7 no.1
    • /
    • pp.1-10
    • /
    • 1999
  • Landuse information is base data being applied as common database in the process of executing urban project service and is very available. But, the progress of business on landuse information building is deficient yet. In this study, we'd like to deal with landuse information projet that is the base of urban project, many landuse information building and the method of extraction of efficient second-information. Also, we built system to apply actively landuse information for urban projectors. And, we'd like to present the model on urban landuse classification system that wouldn't be standard yet by studying the method of urban landuse pattern using landuse in-formation being built. Also, we can evaluate if the model of urban landuse pattern comes up to present landuse. We can expect it is a base data by extracting unsuitable area from present landuse efficiently when we construct landuse project.

  • PDF

Development of Flood Depth-Damage Functions (침수피해시 공공건물에 대한 손상함수 개발)

  • Lee, Chang Hee;Kim, Sang Ho;Hwang, Shin 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40-440
    • /
    • 2018
  • 홍수피해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발생 시기가 불규칙해짐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홍수위험관리가 요구되며, 최적의 홍수피해저감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홍수피해저감 대책들에 대해서 비용대비 피해저감효과 분석이 필요하다(FLOODsite, 2007). 홍수피해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리 수문학적 분석을 통한 피해범위와 침수심 등 피해규모를 분석함과 함께 피해규모에 따른 홍수피해액 추정이 가능해야 하며, 이를 통해 홍수피해저감 대책에 대한 비용대비 효과분석 수행이 가능하다(Kim et al., 2014). 국내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는 다차원법은 침수편입율을 산정하고 건물에 대해서 손상률에 해당하는 피해율이 제시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과 내용물에 대해 피해액을 추정할 수 있다(Choi et al., 2006a; Choi et al., 2006b; Yi et al., 2010). 그러나,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주택 등 주택 이외 다른 용도의 건물에 대해서는 손상함수가 없어 우리나라 여건에 맞는 공공건물에 대한 손상함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피해지역의 자료들을 토대로 공공건물 용도별 침수심별 손상함수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공공건물에 대한 손상함수 개발을 위해서는 많은 피해자료의 수집이 필요하나, 실제 공공건물의 경우 다양한 건물유형으로 인하여 유형별 침수사례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로 인하여 현장조사에 의한 침수현황 조사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험가입자에게 사고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했을 때 그 손해액을 결정하고 보험금을 산정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손해사정사들을 통해 여러 가지 공공건물을 대상으로 침수심별 손상률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공공건물에 대한 손상함수의 개발절차, 침수심별 손상함수의 개발결과, 보완과정 그리고 손상함수의 적용결과에 대한 국내외 기법과의 비교 결과를 제시하였다. 적용결과 본 연구에서 현장 조사 기반으로 개발한 손상률을 적용한 경우 국내 실제 피해액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다만 동일 건물용도(예컨대 공공업무시설)일지라도 바닥재 등 마감재 재질이 건물마다 다르며, 건물별로 공간 활용 여건이 다양하여 동일한 침수심에 대해서 피해액의 변동폭이 크게 발생 되어 동일한 침수심에 대한 피해내용이 달라져 변동폭이 크게 발생되는 한계가 발생하였다. 향후 보다 많은 피해사례를 지속적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손상함수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Case Study o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r Declined Industrial Districts in Downtown Area (도심 노후산업지구 도시재생사업 사례연구)

  • Choi, Kang-Rim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10
    • /
    • pp.129-142
    • /
    • 2019
  • It is needed to regenerate declined industrial districts in downtown area through to invite new industry and to improve urban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make suggestions on the urban regeneration for the districts. I have taken a literature research and a site analysis with cases of 'the South Lake Union' in Seattle and 'Pearl District' in Portland, USA. The result of the analysis was as follows: (1) The land use was changed to mixed use of business-commerce-recreation. The building use was changed to facilities for work, play and live. (2) Infrastructures were improved for user oriented facilities such as pedestrian friendly street, public parks & open spaces,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and life supporting facilities. (3) The place identity was enhanced through the preservation of urban structure-tissues, renovation of existing buildings, and preservation of historical heritages.

국가계약관련 회계예규 개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no.12 s.221
    • /
    • pp.39-43
    • /
    • 2008
  • 기획재정부는 최근 중소건설업계의 경영환경 악화에 따른 경영애로를 완화하고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국가 계약관련 회계예규를 개정하고 지난 11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개정된 회계예규는 원자재 가격급등시 계약금액의 10% 범위 내에서 선금을 추가지급하게 해 이 돈을 자재확보 용도로 우선 사용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원자재 가격급등으로 인한 계약금액의 조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기준도 신설했다. 물가변동이 5% 이상물품구매는 10% 이상 상승하는 등 원자재 가격급등시에는 계약일로부터 90일 이내라도 계약금액을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현행 원자재 가격급등으로 인한 계약금액 조정은 일반적으로 계약일로부터 90일이 경과하고 물가변동이 3% 증감한 경우 기능하게 돼 있다. 대한설비건설협회는 자재가 급등으로 설비건설업계기 어려움에 처하자 자재가격 급등에 따른 계약금액을 변동시켜 줄 수 있도록 관련법 개정을 요청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기획재정부기 회계예규 개정에 대한설비건설협회의 의견을 수용, 반영한 것이다. 개정된 회계예규는 또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간 겸업제한 폐지 및 실적인정에 따른 영업기간 인성 규정을 마련, 새로 등록한 업종으로 공공공사 입찰에 참여할 수 있게 해 종합 전문건설업간 상호 진출에 기여토록 했다. 지역중소업체 입찰참여가 쉽도록 1천억원 이상 대형공사(턴키 등) 에서 공동수급체 구성원수를 10 인 이내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300억원 미만의 적격심사낙찰제 대상공사 입찰시에 기업의 경영상태 평가는 원칙적으로 1년 이내 기업신용평가등급으로 평가하기로 했다. 이밖에 공동수급체 대표자 또는 수급인이 선금을 수령하고도 정당한 이유없이 공동수급체 구성원 또는 하수급인에게 배분하지 않는 사례를 막기 위해 계약담당공무원이 선금 배분여부를 확인하도록 하고 선금 사용 용도도 명시적으로 규정했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Utilization after converting of Residential District in a New Development Area - Focused on Dunsan of Daejeon City - (신개발지 일반주거지역의 용도전환시 공간변용 특성에 관한 연구 - 대전 둔산 신시가지를 중심으로 -)

  • Park, Jung-A;Kang, In-Ho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21 no.1
    • /
    • pp.123-13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utilization and the problems that follows after converting in a new developmental residential area. This study used the content-analysis method and analysis was made on the floor plans for 95 different conversion cases. Above all, 190 unit plans (the unit plans for conversion before and after)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8 types of conversion according to such usages as residential, commercial and residential-commercial buildings. 2) In the case of conversions, from residential to commercial, there was a tendency each floor was integrated to exclusive use for commercial or commercial with small portions of residential usage. And in the case of conversions from commercial to residential, there was a tendency that all space of each floor were changed to exclusive usages for residential purposes. 3) In case of usage conversion from commercial to residential, there were constraints for balcony installation, because of its original lot-structure and building equipments. Also, when the basement was converted for residential purpose, there was no possibility for an extra lighting or ways to ventilate the area.

An update technology trend in iron oxide (산화철산업(酸化鐵産業)의 개발동향(開發動向))

  • Sohn, Jin-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Conference
    • /
    • 2005.11a
    • /
    • pp.47-58
    • /
    • 2005
  • From the world wide globalization of iron oxide industy, the global trade in iron oxide is changed rapidly and the production of iron oxide is increasing in China, currently. Iron oxide have a broad range of applications from construction materials to medical area.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nanoparticulate iron oxides have many applications, too. There is a series of interesting applications are introduced, but in entirely different fields as they are known from conventional iron oxide.

  • PDF

Assessment of Soil Loss Risk based on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of 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GIS (GIS를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토지이용특성에 따른 토양손실 위험성 평가)

  • Jeong, Won-Jun;Kwon, Yong-Sung;Ji, Un;Yeo, Woon-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4-338
    • /
    • 2011
  • 일반적으로 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양손실은 붕괴사면과 표면침식, 토사류 붕괴에 의한 운반, 하상의 침식등 자연적인 요인과 도로건설, 산림의 벌채, 단지개발 등 인위적인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토양손실의 발생은 농업생산성을 떨어뜨리고 목초지를 손상시키며,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홍수위 상승, 저수지의 저수용량 감소, 고탁수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 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우선 토양손실 발생의 위험지역을 선정하고 그 지역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적절한 관리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유역 전체를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토양손실 발생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소중 도시화나 농경지 확장 등 인간의 인위적인 개발로 인해 쉽게 변경될 수 있는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토지이용도를 구성하고 있는 총 8가지의 토지이용항목 중 다른 항목들에 비해 분포면적이 매우 작은 녹지, 습지, 나지를 제외한 5가지의 항목(시가화, 논, 밭, 산림, 수역)의 분포면적을 통해 토지 이용특성에 따른 유사발생의 연관성을 파악하였으며 유역별 유사발생 위험순위를 평가하였다. 유사발생 위험순위 평가결과, 전체 낙동강유역내 유사발생 위험성이 높은 표준유역들로 구성되어있는 중권역은 내성천, 위천합류점, 합천댐유역, 안동댐유역으로 모두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내성천유역, 위천합류점 유역, 합천댐유역은 구성하고 있는 표준유역의 절반 이상이 높은 순위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동댐유역은 구성하고 있는 소수의 표준유역이 유역내 최상위 순위를 차지하였다.

  • PDF

Estimation of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rate in Jincheon (진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률 산정)

  • Chung, Il-Moon;Kim, Nam-Won;Kim, Ji-Tae;Na, Han-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7-237
    • /
    • 2011
  •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률의 정량적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지하수 연동해석이 가능하며 토지이용 특성과 국내 토양특성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한국형 장기 유출 모형 SWAT-K를 이용하여 진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행정경계와 수자원단위지도에서 제시하는 표준단위유역을 기준으로 하여 진천군을 포함하는 미호천유역을 SWAT-K 구동을 위한 모델영역으로 설정하여 주하도를 따라 34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SWAT-K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상 및 수문자료를 구축해야 하는데 강우량을 비롯하여 기온, 풍속, 일사량, 상대습도 등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 내에 위치한 청주, 충주, 대전, 이천, 보은, 천안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계산시간, 모형결과의 정확도 등을 판단하여 30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DEM을 300m 공간 해상도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토지이용도는 모의시 다양한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중분류(1:25,000) 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토양도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토양도 전산화 사업을 통해 구축된 1:25,000 축척의 정밀토양도를 사용하였다. SWAT-K를 이용하여 진천군을 포함한 미호천 전체유역에 대해 지표수-지하수 통합 물수지 분석 결과(2004년~2009년) 연평균 강수량 대비 유출률은 66.6%, 증발산률은 34.6%, 함양률은 20.8%로 나타났다. 지표수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산정한 소유역별 연간 함양량 결과를 산정하였고, 총 34개의 소유역별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SWAT-K 모형을 이용한 모델 영역중 진천군에 속하는 행정구역별, 표준권역별 연평균 함양량을 산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진천군 평균 함양률은 20.5%로 산정되었다.

  • PDF

Evaluation of Sidewalk Level of Service Considering Land Use Patterns (용도지역 특성을 고려한 보도 설계 서비스수준 평가방안)

  • Kim, Yong-Seok;Choe, Jae-S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2 s.95
    • /
    • pp.83-93
    • /
    • 2007
  • Pedestrians and vehicle users should be treated with equal importance in urban street design. However, current street design suggests that the design criteria for sidewalks is based on the functional hierarchy of the vehic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idewalk design standards that give more weight to pedestrians rather than vehicles. For thi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level of service of pedestrian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designing sidewalks. Currently, level of service (LOS) criteria for pedestrians in the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are based on pedestrian volume, but the volume of pedestrians is seldomly estimated in practice. So, the current LOS criteria has limitations in terms of practical use. Also, the study assumes that the pedestrian flow rate is hardly the dominant factor that could affect the LOS of pedestrians at most urban sidewalks. In this context, the study considers a new LOS for sidewalk design based on the comfort of pedestrians while passing pedestrians coming from the opposite direction. Then the study attempts to link the new LOS criteria to the land use patterns using data of pedestrian traffic characteristics acquired from the field. In addition to this, the scope in which the suggested criteria can be applied i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