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연구개발

Search Result 10,22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Social Networks of Rural Community Leaders;comparison study between more and less viable rural communities (농촌지역사회 지도자들의 사회적 네트웍;서비스 및 용역제공의 정도에 따른 지역사회간 비교 분석)

  • Lee, Sun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5 no.1
    • /
    • pp.61-70
    • /
    • 1998
  • 이 연구는 인구 4,000에서 6,000명 가량의 농촌 지역사회에서의 서비스 및 용역의 제공기능의 활성화 정도와 관련하여 지도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지역사회 지도자들간의 공식적이고 수평적인 연계와 지도자들과 지역사회 외부 조직들간의 연계를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성(性), 교육정도, 연령, 수입, 지역사회 출신 여부, 그리고 지역사회에서의 거주기간을 포함하는 농촌 지역사회 지도자들의 개인적 특성은 지역사회 서비스 및 용역의 제공기능과 관련이 없었다. 그러나, 농촌 지역사회의 서비스 및 용역의 제공기능 활성화 정도는 그 지역사회의 지도자들이 지역사회 외부의 사람들 및 조직들과 연계를 맺고 있는 정도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농촌 지도자들의 공식적인 지역사회 개발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능력이 지역사회 서비스 및 용역 제공기능의 활성화 정도와 정적으로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 PDF

에너지적합형 지역개발 모형연구

  • 김상현;전원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5.05a
    • /
    • pp.179-184
    • /
    • 1995
  • 본 연구는 도시기능의 주요 요소인 주거단지 및 공업단지를 중심으로 환경부담을 최소화 시키면서도 에너지효율을 제고 시킬수 있는 방향으로 에너지적합형 지역개발사업 모형을 개발.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의 토지이용계획에 시스템적 관점의 에너지 및 환경관리를 통합하기 위한 에너지통합계획의 기본개념,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ESSD)을 위한 국내외동향 및 기술목록 사례를 소개하고, 주거단지 및 공업단지를 중심으로 "에너지이용합리화법(법률 제4426호)"에 의거한 기존의 에너지사용계획서의 보완방안 및 사례연구를 통한 에너지적합형 개발모형을 소개하고자 한다.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Flood Risk Matrix in Urban Area (도시지역의 홍수위험 매트릭스 개발 및 활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 Choi, Youngje;Ahn, Jaehwang;Cha, Daeseong;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4-64
    • /
    • 2019
  • 도시지역은 인구 및 사회인프라시설 등이 밀집되어 있어 홍수 발생 시 타 지역에 비하여 큰 피해가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7년 부산 지역과 2018년 서울 지역에 시간당 최대 100 mm 이상의 강우가 발생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도시홍수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수방시설물의 유지관리 뿐만 아니라 한정적인 물자와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홍수예보 방안이 필요하며 정확도 높은 기상예보가 수반되어야 한다. 현재 지자체에서는 기상청의 기상특보를 활용하여 홍수대응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는 전국적으로 동일한 기준으로 각 지역의 홍수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정확도 높은 기상예측을 위해 다양한 기상 수치예보모델을 활용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기상상황을 정확히 예측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수치예보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영국에서는 강우 앙상블 자료를 활용한 영향예보 도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영향예보란 단순 기상상황 뿐만 아니라 기상현상이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수준과 그 위험수준이 발생할 확률을 함께 예보하는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지역을 대상으로 과거 피해 발생 강우량 및 지역의 확률강우량 등을 활용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총 4단계의 강우기준을 제시함과 더불어 기상현상의 발생확률을 조합한 홍수위험 매트릭스(Flood Risk Matrix)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홍수위험 매트릭스의 활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2016년, 2017년 기상청에서 산출한 국지규모 앙상블예측시스템(Local Ensemble Prediction System, LENS)의 강우 앙상블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짧게는 24시간 전, 길게는 72시간 전에 홍수피해 발생의 예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지역을 확대하여 각 지역에 적합한 홍수위험 매트릭스를 개발하고, LENS자료를 활용한 활용성 평가를 통해 실무에 적용 가능한 홍수예보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PDF

Theoretical Models and Research Trends of Border Region Research (접경지역연구의 이론적 모델과 연구동향)

  • 김상빈;이원호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7 no.2
    • /
    • pp.117-136
    • /
    • 2004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research on the border region, especially herein to consider theoretical models critically and then to gain the implication for appropriate analytical framework or rather theoretical model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rough the review of various literature,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the term of border or frontier was used in a rather ambiguous way. Second, the early models in the border region research have been developed to explain barrier effects, of which the border was considered to playa role. However, as border regions change from the closed regions to the opened ones, more adequate models have accordingly been developed. Third, there were several attempts to typify border regions and they tend to focus on the issue of regional development of the regions. Fourth, according to the case studies of the border region research, many border regions are not in isolation or peripheral position any more. Rather they are transformed into potentially prosperous regions through the support of authority as well as inter-regional cooperation.

  • PDF

풍력발전

  • 전홍석;박경호
    • 전기의세계
    • /
    • v.41 no.6
    • /
    • pp.25-33
    • /
    • 1992
  • 국내에서의 풍력발전 연구는 낙도나 여지와 같은 미전화지역에 적합한 신뢰성있는 풍력발전기를 개발하고 또한 보다 안정된 전력 공합을 위하여 태양광이나 디젤발전과의 복합발전기술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추진됨이 요구된다. 아울러 에너지 자립도를 높이고 환경오염을 가능한 한 줄일수 있도록 강풍지역과 풍력자원이 풍부한 지역을 발굴하고 이들 지역에 풍력발전원지를 건설 운용함이 바람직하다.

  • PDF

Evaluation of Streamflow using measured Slope and Slope length at Doam Dam Watershed (실측 경사도 및 경사장을 고려한 도암호 유역의 유출량 평가)

  • Park, Geonwoo;Lee, Seoro;Lee, Gwanjae;Choi, Yujin;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4-114
    • /
    • 2019
  • 최근 들어 집중호우 및 토지이용 변화로 인한 고탁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탁수 및 수질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환경부는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을 선정하였으며, Best Management Pratices(BMPs), Low Impact Development(LID) 등 다양한 저감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비점오염원의 발생원인과 발생위치를 정확하게 증명할 수 없으므로 유역 내 수문 및 수질을 모의할 수 있는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모델이 다양한 비점오염원 연구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SWAT 모델은 Hydrologic Response Unit(HRU)의 경사도와 경사장을 산정할 때 소유역 내 평균 경사도를 이용하여 토양유실량 및 유출특성을 모의에 필요한 매개변수들을 산정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SWAT 모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제 경작지를 기준으로 HRU를 생성하고, 실측 경사도와 경사장을 적용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술을 고탁수로 인해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도암호 유역에 적용하여 실측 경사도와 경사장을 적용하여 모의한 유출량과 기존의 SWAT 모델을 통해 모의한 유출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기존 모델의 결과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술을 적용하여 모의한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수문 컴포넌트 중 중간유출과 기저유출에 있어서 차이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도암호 유역에서 비교적 정확한 토양유실과 Suspended Solids(SS) 모의 결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도암호 유역만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다른 비점오염 관리지역에 확대 적용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

Effect of Resident Participation Intention on Project Performance in Rural Development Consulting (농어촌개발 컨설팅에서 주민참여의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Eunjeong;You, Yen Y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4
    • /
    • pp.261-268
    • /
    • 2022
  •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 of the intention of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regional capacity building project on the project performance. For the method, 238 samples were collected from villagers in Jeollanam-do,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SPSS22.0 and PROCESS macro 3.5 Model 4. The results showed, firs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awareness of participation intention. Second, participation intention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performanc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gional capacity building project was confirme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was that it was limited to the Jeonnam region. Quantitative measurement was not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performance. In the future, an activation plan through actual citizen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verification should be prepared.

A Preliminary Study for Identifying Soil Management Area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Development Projects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시 토양중점관리지역 선정을 위한 예비연구)

  • Kim, Jong Sung;Kim, Choong Ki;Yoo, Keunje;Hwang, Sang-Il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6
    • /
    • pp.457-469
    • /
    • 2017
  • In order to conserve soil functions to the highest degree in development project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manage specific area (so called soil management area) including soils with good or excellent functions. Therefore, in this work, we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how to identify soil management area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development projects. To do this, quantitative evaluation was carried out on two example projects, using InVEST model considering a couple of soil functions, i.e., erosion control and carbon sequestration functions. Then, soil management area was identified through overlay analysis. The methodology developed in this study is able to be used widely for more detailed analysis with high resolution and furthermore overlay anaysis with other assessment items. For more perfect assessment, other soil fuctions needed to be taken into account into our methodology.

Establishment of New Rural Development Policy System Based on the Unit of a Community Organizations (주민조직 기반형 농촌지역개발정책시스템 구축에 관한 시론)

  • Yoon, Won Keu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0 no.4
    • /
    • pp.871-90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new rural development policy system based on the unit of a community organizations. This study is to complement or replace the existing rural development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unit of rural villages. The communalism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traditional rural villages has been weakened or destroyed. Especially, economic, social and spatial communalism of a rural villages has been weakened rapidly in the process of industralization and urbanization for the last 50 years. This means that strong communalism inside rural villages and neighborhood independence from each others among rural villages are already weakened. Rural villages no longer represent rural area, unlikely the hypothesis policy makers have been used to set up rural development policies. Advanced countries like EU and Japan are well known to have a rural development policy based on the units of social organizations in the rural area. These policies have been on the main stream in the era of local decentralization. Rural resident's organization made rural site's development plan using local assets and submitted to the public sector. Then the public sector examine its value and possibilities as a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public sector finalize the decision on subsidy grant. These policy patterns are already introduced partly in the field of urban development programme as well as rural development programme. It is time to apply those policies more widely and to examine more systematically.

Development of Cloud Motion Vector for Rainfall Forecasting System using Geostationary Satellite Data (홍수 예·경보를 위한 위성 구름이동벡터 개발)

  • Park, Kyung Won;Shin, Yong Chul;Yoon, Sun Kwon;Jang,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97-597
    • /
    • 2015
  •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위험도 증가와 태풍 및 집중호우의 증가는 도시지역의 홍수로 인한 피해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최근 10년간 홍수로 인한 재산피해 및 인명피해는 해마다 늘고 있다. 이러한 홍수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도시지역 초단기 강우 예보 시스템 개발은 필수적이다. 그동안 기상레이더를 이용한 강우예측 모형은 국내외적으로 많이 개발이 되어 있지만, 위성을 이용한 단기간 강우예보모형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국내 최초 기상위성의 발사로 위성을 이용한 강수관측 및 초단기 예보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초단기 강우 예보 시스템의 기본예측모형인 구름이동벡터를 개발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COMS 위성자료를 이용하였다. COMS 위성은 2011년 4월에 발사되어 현재 운영 중에 있다. COMS 위성 자료는 현재 일본 정지궤도 위성 MTSAT 위성자료와 달리 한반도 영역을 대상으로 적외채널 자료들을 8-15분 간격으로 수집 가능하여 집중호우 예보에 매우 유리하다. COMS 위성의 연속되는 위성 구름의 교차상관을 통해서 이동벡터를 산출하여 예측 모형을 산출하였다. 교차상관 기법은 연속되는 구름 자료에 대해서 두 윈도우 사의 상관계수의 최대치를 찾아냄으로써 구름의 이동방향과 이동속도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기 개발된 예측모형을 이용하여 한반도 지역의 이동벡터를 산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산출된 구름이동벡터는 도시지역의 갑자기 발생하는 집중호우나 태풍의 초단기 예측의 기본 모형으로 탑재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