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에너지 정책

Search Result 25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Global Strategies of Tank Terminal Operators and Implications for Korea's Oil Hub Policy in Northeast Asia (탱크터미널 운영기업의 글로벌 전략과 우리나라의 동북아 석유물류허브 정책에 대한 시사점)

  • Lee, Choong-Bae;Park, Sun-Yo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5 no.1
    • /
    • pp.63-86
    • /
    • 2009
  • With increasing uncertainty of energy market in the world, the policies for the energy resource security have become crucial Several countries with poor energy resource like Netherlands and Singapore have pursued the policy for becoming an oil hub in the region. Singapore has been an oil hub in East Asia for a long time not only because it is well located with a large number of countries exporting and importing oil but it has also pursued strong policies to become an oil hub while establishing favourable institutional, regulatory and business environment for accommodating major refineries and petro-chemical companies. However with growing trading volume of petroleum products in Northeast Asia and a record high price of oil in these days, the necessities of another oil hub in the region are considered in order to reap benefits of the security of economical and stable oil. South Korea is situated astride the main North Pacific shipping route, with deep water ports and proximity to Chinese and Japanese industrial centres that make tank terminal operators Ideal choices for the oil hub in Northeast Asia although it has several disadvantages such as lack of independent storage facilities, underdeveloped oil trading market and unfavourable business friendly climates etc. This study is focused on examining the globalization strategies of tank terminal operators such as Vopak, Oiltanking and Odfjell in order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becoming an oil tub in Northeast Asia.

  • PDF

Formulation of "Supporting Policy of Energy Saving Facilities" for Rural Community (에너지 절약형 농촌 지역시설 보급 지원을 위한 정책 개발 연구)

  • Kim, Kang-Sub;Jeong, Jong-Sool;Lee, Sang-J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0 no.4
    • /
    • pp.57-64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the real condition and problems of rural communities, shift of social paradigm, and also discussed the results and efforts of existing energy supporting policy by literature review.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w supporting policy of energy saving facilities for rural communities, and to show its necessity, framework, promotion method, and connection plan with existing policy. Based on this study, mainly three results can be drawn as follows; first, this new policy is required that not only suggestive reason such as energy crisis and social atmosphere, but also, financial support and welfare service for resident of rural area. Second, the various rural facilities including residence must be planed sustainable energy saving system by this new policy. And the third, this policy should be simultaneously adopted with rural development policy, and must drive forward that is closely connected with a related policy.

  • PDF

New Middle Powers' ODA: Korean Aid Strategy for Economic Infrastructure and Production Sector Building (신흥 중견국가의 공적개발원조: 한국의 경제 시설 및 생산 분야 중점지원 전략)

  • Jang Ji-Hyang
    •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JIAS)
    • /
    • v.14 no.3
    • /
    • pp.421-440
    • /
    • 2010
  • This paper examines middle powers' ODA policy in the post cold war era and discusses its implication for Korean aid strategy. Middle powers' ODA has been more successful than that of super powers in promoting donors' positive images and in stimulating recipient countries' development. Middle powers tend to pursue multilateral solutions to international problems often by taking a mediator role, and their ODA policies set them apart from the great players in international politics. Middle powers' ODA is primarily aimed at reducing poverty and protecting human rights in least developed countries where humanitarian aid needs the most rather than promoting donors' interests. Also, middle powers have provided bilateral untied aid in the sectors of food aid and emergency relief and steadily devoted about 0.7% of their gross national income to ODA. Meanwhile, Korea as an emerging middle power and a new donor has been implementing its own aid strategy under the name of the Korean development model since the post cold war period. The Korean ODA was not successful in building donors' positive images by simply following the short term strategies of US and Japan. Yet, its ODA policy has been quite effective in sustaining local development by creating specific niches in which the country can specialize in. In specific, Korea has focused on developing the sector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ndustry energy in recipients' countries by maximizing its comparative advantage.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 of the Small Hydropower Development in Korea: A CGE Analysis (소수력 발전 확대의 경제.환경적 효과: 연산일반균형모형 분석)

  • Kim, Jae-Joon;Park, Su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06-106
    • /
    • 2011
  • 소수력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친환경 청정에너지원이면서 지역의 분산전원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자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여건은 소수력발전 사업이 전력의 smart grid 구축 효과로 인해 가장 큰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소수력발전은 1500Mw의 부존량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계절적 편중으로 인한 가동률 부족, 경제성 부족 등으로 활발한 보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확대 전략에도 불구하고 지원금 등 경제적 인센티브 부족으로 인해 민간부문의 참여는 상당히 저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력에너지는 환경친화적이고 잠재성이 큰 신재생에너지로 온실가스 저감과 에너지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수력에너지는 민간투자의 어려움이 존재하므로 정부의 장기적인 기술개발투자 및 효율성 확대 정책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력 확대의 경제 환경적 효과를 평가해보기 위해 연산일반균형모형 (CG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을 구축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첫째, 수력발전부문과 수도사업을 구분하고 사회회계행렬을 작성하였으며, 전력부문에서 수력발전을 포함한 다단계 생산구조를 가정하였다. 둘째, 일반균형모형 방정식 체계를 작성하고 모형의 파라미터 추정 등 보정(Calibration) 작업을 수행하였다. 셋째, 국가 중기 온실가스저감 시나리오를 적용한 전망을 수행하고 소수력 확대(투자지원) 시나리오를 구축한다. 본 연구는 저감수단으로 탄소세를 부과하였다. 끝으로, 소수력 발전 보급 확대의 경제적, 환경적 파급효과를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소수력 발전 잠재 성장을 반영한 수력에너지 비중은 약 2020년에 약 4.5% 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온실가스 저감 기여분은 약 3%에 이르는 것으로 계산 되었다. 또한 수도사업과 비에너지 제조업의 산업비중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수력 발전 확대가 화석연료 대체를 통한 지속가능한 에너지 수요에 기여하고 지역개발과 물산업 발전 등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한 소수력 기술 개발은 에너지 대체 촉진으로 인한 온실가스 저감과 녹색성장에 기여할 것이다.

  • PDF

The study on solar policy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leading countries. (선도국가의 수상태양광 정책 분석 및 시사점 도출)

  • Jang, SeokWon;Kim, ShangMoon;Suh, JinSuh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72-72
    • /
    • 2020
  • 전 세계 태양광 발전용량은 2010년 초 25GW에서 2019년 말 617.9GW로, 지난 10년 동안 25배 이상 증가하였다(2019년 전세계 태양광 발전(PV)의 추가량은 거의 133GW 추정). 2020년에도 세계 태양광시장은 120~150GW를 형성해 전년대비 10% 내외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에도 성장률은 다소 낮아지겠지만 2030년 태양광 수요피크 200GW까지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한편 우리나라 수상태양광은 높은 잠재력(저수면적의 7%를 활용할 경우 5,304MW 규모의 수상태양광 개발이 가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신(新)정부 국정과제 3020 신재생 확산정책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확산이 전망되는 가운데, K-water의 중장기('17~'26) 전략경영계획에 따르면 수상태양광은 2026년까지 2,758MW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수상태양광은 경제성과 환경적 측면에서의 불확실성을 포함하여 시설물의 안정성 검증, 사회적 수용성 등 극복해야 할 정책과제들을 안고 있다. ① REC 가격의 안정화, 경제성 제고 문제(높은 운영 및 관리 비용), ② 난개발, 환경·경관·안전 문제에 대한 주민들의 우려 : 주민 수용성 제고, ③ 투자 사기와 유착·비리, 편법개발, 난개발에 대한 규제방안, ④ 지역사회와의 거버넌스 및 갈등관리 문제, 공용 전력망 부족과 계통연계 문제 등. 이에 본 연구는 태양광 선도국가의 정책 사례 분석을 통해 수상태양광 관련 명확한 규제 및 지원정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는 첫째, 주요 국가에서 시행 중인 수상태양광에 대한 금융지원 및 정책 지원을 국내 사례와 비교·분석하였으며 둘째, 경제적·생태적 관점에서 수상태양광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지역사회가 수용할 수 있도록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21세기 대비 교육정책의 방향

  • 신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7-7
    • /
    • 1998
  • 새로운 밀레니엄을 불과 몇 년 앞둔 지금 우리는 정치.경제.사회.문화.과학기술 등 전 분야에 걸쳐 전개되고 있는 역동적인 변화를 몸소 체험하고 있다. 냉전시대의 종식 이후 세계의 정치 구도는 경제패권을 둘러싼 지역화.블럭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플랜트와 하드웨어 중심의 규모의 경제가 기술중심의 소규모화 된 현장중심의 범인의 경제로 전환되는 와중에 있다. 사회.문화적 측면에도 오늘날 우리는 국제화, 다원화, 지방화의 무드 속에서 조직구조의 변화는 물론 이에 따른 인간의 가치관과 생활양식의 변화를 때로는 능동적으로 혹은 피동적으로 체험하고 있다. 한편, 과학 기술 분야의 변화는 거대 에너지와 물자를 활용하는 ‘힘-중심적’ 방향에서 새 사고와 아이디어를 요구하는 ‘지식-중심적’ 방향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과학과 기술에 있어서도 에너지, 재료, 기계 등 대대적으로 활용하는 거시적 과학과 기술로부터 지식, 정보, 통신을 중심에 두는 정밀과학, 정밀기술 쪽으로의 변화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의 변화와 관련된 교육적 대응의 원리는 두 가지 형태로 집약될 수 있다. 교육은 본질적으로 순응(accommodation)과 적응(adaptation)이라는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순응의 원리는 교육의 탄생이래 교육목적의 본질에 해당되는 것으로 기존 사회질서의 유지와 체제 존속을 위해 교육은 과거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의미 있는 문화내용을 엄선하여 미성숙한 학생들에게 전수하고 그들로 하여금 문화와 전통을 계승하도록 하는 사회화에 그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순응의 원리를 강조하는 교육은 과거 지향적이며 외부의 변화에 대해 수동적인 자세를 견지한다. 한편, 적응의 원리에 입각한 교육은 문화와 전통에 대한 피동적 전승을 넘어서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체제와 내용을 바꾸는 등 적극적으로 변화에 대응하고, 이러한 변화를 주도할 인간육성에 힘을 기울이는 교육방식을 취한다. 시대적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교육은 이제 기왕의 많은 교육적 신화들을 타파하고 뉴 밀레니엄을 준비해야할 기로에 서 있다. 현재의 변화를 슬기롭게 대처하고 미래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인간을 육성하기 위한 오늘날 교육의 사명은 우선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을 수립하는 일이다. 교육정책은 국가의 교육방침으로서 현실 교육문제의 해결도 중요하지만 미래의 발전을 기약할 수 있는 장기적인 비젼과 목표 속에서 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의도하에 본 연구는 21세기를 대비한 교육정책의 방향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고는 \circled1 과거 우리 나라의 교육정책을 반성적으로 회고하고, \circled2 미래사회에 대한 전망과 교육적 시사점을 분석하며, \circled3 마지막으로 21세기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내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Small Hydro Power Sites Using Diversion Weirs for Agricultural Purpose (농업용 취수보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시설 특성 분석)

  • Lee, Chul-Hyung;Park, Wan-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9-219
    • /
    • 2011
  •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농업용 취수보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에 관심을 가지고 지자체내의 유휴자원인 하천유수를 이용하여 소수력발전을 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에너지를 생산하여 석유 등 에너지 수입대체 효과와 전력수요 급증시의 부하평준화에 기여하고자 하고 있다. 이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의 에너지정책"에 부응하는 것이며, 또한 하천에 소규모 인공호수를 조성함으로써 소수력발전소 인근지역의 경관개선과 관광자원화에 기여함은 물론 농업용수 공급과 하천유지수를 조정하여 안전한 하천으로서 그 기능을 하도록 계획한 것이다. 이와 병행하여 소수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무공해 청정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 노력에 동참함으로써 선진형 기후변화 대응체계에 적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취수보를 대상으로 소수력 발전시설의 성능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소수력발전시설적용 타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림 1은 농업용 취수보인 북평보의 유역면적도를 나타내고, 그림 2는 북평보에 소수력발전시설을 적용할 경우의 부하특성을 나타낸다.

  • PDF

Load Analysis and Economical Estimation of Hot Water Driven Absorption Chiller (온수구동 흡수식 냉동기 부하분석과 경제성 평가)

  • Kim, Gi-Soo;Chung, Bong-Chul;Shin, Jeong-Kwan;Cheon, Ho-Jun
    •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
    • /
    • 2008.06a
    • /
    • pp.115-119
    • /
    • 2008
  • 지구 자원고갈과 환경오염으로 인한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은 최근 국제유가 상승에 의해서 국가의 사활을 건 정책으로 반영되고 있다. 하루 중 부하변동이 심하지 않으면서 각실 제어가 필요하지 않은 조건을 갖춘 공간에는 지역난방공사로부터 온수를 공급받아 건물을 냉방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다. 최근 에너지의 유효이용 측면에서 온수 온도차를 늘려 냉방 에너지 보급용량의 확대 및 설비비용을 절감하려는 움직임이 진행되고 있다.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접근하여 볼 때 효율을 상승시키는 방법과 이용열원의 극대화가 동시에 검토되어야 하며 각각의 장점이 있는 현장에 맞추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n Energy-Efficient Broadcast Method based on Nack Mechanism for Bluetooth Low Energy Environment (Bluetooth Low Energy 환경에서 에너지 효율을 위한 Nack 기반 Broadcast 전송 기법 연구)

  • Jung, Yeon-Seung;Son, Bong-Ki;Lee, J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457-459
    • /
    • 2015
  • Bluetooth Low Energy 기술은 IoT 환경의 개인 영역 통신 시스템의 발달과 함께 저전력 근거리 통신 기술의 대표되는 기술로써 현재까지 에너지 효율을 우선시하여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홈 네트워크 환경이나 공공지역에서 서비스되는 음성안내 등의 환경에서 Bluetooth Low Energy 기술이 적용될 경우 Broadcast 형태의 음성 데이터 전달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Bluetooth Low Energy를 포함한 대부분의 저전력 근거리 통신 기술에서는 Duty Cycle 등의 에너지 고효율 정책으로 인하여 Broadcast 데이터 수신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되기 힘들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n-repetition 방식의 데이터 전달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n-repetition 방식의 데이터 전달에 대한 중복 송신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소모를 개선시키고자 Nack 기반의 선택적 재전송 형태의 새로운 Broadcast 기법을 제안하며, 실험을 통하여 이에 대한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Detailed Prototypical Apartment Building Energy Models for Estimation of Green Remodeling Feasibility (그린리모델링 효과평가를 위한 표준공동주택 정밀에너지해석모델 보정과 검증)

  • Donghyun Seo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5 no.2
    • /
    • pp.9-17
    • /
    • 2024
  • The prototypical building energy model is very useful in building energy policies,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A prototypical apartment model for detailed energy analysis was proposed by Seo et al. in 2014, but sufficient verification was not possible due to the lack of reliable measurement data in predicting the model's energy consumption. However, verification is now possible thanks to a recent study that analyzed the Household Energy Panel Survey (HEPS) data that is released annually by the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KEEI) and published apartment complex benchmark data. The data was used to calibrate the prototypical apartment energy model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and constructed between 1990 and 1999. The calibrated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other apartment building groups with respect to region and year of completion. Meteorological data for five representative cities each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were used for the simulation. A majority of the 18 groups produced results that satisfied the MBE and cv(RMSE) cri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