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안보

Search Result 21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Cataract of the Rural Aged Population Using a Simplified Screening System (간편한 선별검사법에 의한 농촌 노인인구의 백내장에 대한 역학조사)

  • Park, Eun Kyoo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5 no.1
    • /
    • pp.165-17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cataracts in a rural area of Kyung-Buk province. Cataract is the main cause of blindness and visual impairment in the world. Recently, the number of age-related cataract surgeries has increased remarkably. In spite of suc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there are still many cataract patients with highly deteriorated visual function who have had no occasion to receive an ocular examination. In order to screen such patients the author assessed 636 individual(1272 eyes) aged 50 years or more who had wanted to be examined generally in two area. Chilgok and Munkyung, Kyung-Buk province using a simplified cataract screening system recently proposed by Sasaki et al. Kanazawa Medical University in Japan.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The number of visual impairment patients in this study group was 493(77.5%). They were screened by cataract screening system. Primary screening examination detected 448 subjects to be suspected of cataract while the subsequent secondary examination narrowed this number of subjects to 308(48.4%). Final number of subjects to be diagnosed of cataract was 421(66.2%). The rate of incidence, according to the age, was 27.5% in the 50 year-olds age group, 62.5% in the 60's age group, 86.1% in the 70's age group and 94.3% in the 80's age group and upwards. This results concluded that cataract is the main cause of blindness and visual impairment and is an important public eye health care problem of aged population in rural Korea. Methods of tackling the cataract problem(both backlog and incident), and other eye health needs are recommended. The need to extend eye health service to the rural areas is emphasized.

  • PDF

Climate Change-induced High Temperature Stress on Global Crop Production (기후변화로 인한 작물의 고온 스트레스 전망)

  • Lee, Kyoungmi;Kang, Hyun-Suk;Cho, Chun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5
    • /
    • pp.633-649
    • /
    • 2016
  • Exposure to high temperatures during the reproductive period of crops decreases their productivit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s (IPCC) fifth Assessment Report predicts that the frequency of high temperatures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resulting in significant impacts on the world's food supply. This study evaluate climate change-induced heat stress on four major agricultural crops (rice, maize, soybean, and wheat) at a global level, using the coupled atmosphere-ocean model of Hadley Centre Global Environmental Model version 2 (HadGEM2-AO) and FAO/IIASA Global Agro-Ecological Zone (GAEZ) model data. The maximum temperature rise ($1.8-3.5^{\circ}C$) during the thermal-sensitive period (TSP) from the baseline (1961-1990) to the future (2070-2090) is expected to be larger under a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8.5 climate scenario than under a RCP2.6 climate scenario, with substantial heat stress-related damage to productivity. In particular, heat stress is expected to cause severe damage to crop production regions located between 30 and $50^{\circ}N$ in the Northern Hemisphere. According to the RCP8.5 scenario, approximately 20% of the total cultivation area for all crops will experience unprecedented, extreme heat stress in the future. Adverse effects on the productivity of rice and soybean are expected to be particularly severe in North America. In Korea, grain demands are heavily dependent on imports, with the share of imports from the U.S. at a particularly high level today. Hence, it is necessary to conduct continuous prediction on food security level following the climate change, as well as to develop adaptation strategy and proper agricultural policy.

  • PDF

A Study on the Changing Functions of the PRC Marine Corps and Future Development (중국 해병대의 기능변화와 향후 발전전망 연구)

  • Lee, Pyo-Kyu;Lim, Gye-Hwa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7 no.5
    • /
    • pp.143-15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PRC Marine Corps by analyzing the changing functions via its historical development. The PRCMC is an elite regular military forces and was established by the Central Military Commission(China) in 1953 in order to project the national military power toward the enemy's territory by overcoming maritime obstacles such as seas and lakes. The PRCMC is relatively smaller personnel strength compared with the whole size of the PRC military forces. Thus its functions were limited in the areas of amphibious and land operations, island and land defense against Taiwan before the PRC pursues expanding policy toward outside. However, in the 2000s, China pursues its policy for obtaining absolute national interest so that its functions are rapidly enlarged into defense of the forward naval bases, and those for evolving its power toward outside according to not only the island territorial dispute with Japan, but also Xi Jinping's active expanding policy what we call 'the one belt and one road'. So its personnel strength is slowly increased. If the increasement of the PRC Navy and Marine Corps would develop into the level of which they can contain the status and influence of the US military power in Asia-Pacific area, it is possible that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North-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will be fluctuated. Consequently, the ROK also needs to reevaluate the functions and the size of the joint strength of the ROK Navy and Marine Corps considering the transition of the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Trends of Biorefinery as Systems for Bioenergy/Biochemicals Co-Products (바이오-에너지/케미컬 동시-생산 시스템 바이오리파이너리의 동향)

  • Kim, Seong Ho;Kim, Kil-Hou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2 no.3
    • /
    • pp.250-261
    • /
    • 2013
  • In order to overcome the 21st century's challenges such as national energy supply security, global warming, and resource depletion, we are struggling to accelerate the paradigm shift in our life style from fossil fuel-based economy to biomass-based economy.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bioeconomy revitalization, we comprehensively review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biorefinery as a system for bioenergy/biochemicals co-products on the basis of the various categories according to six criteria.

Strategy of Water-Energy-Food Nexus to ensure Resources Security (자원안보 확보를 위한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추진 전략)

  • Lee, Eul Rae;Choi, Byung Man;Chae, Hyo Sok;Jung, Yo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6-136
    • /
    • 2016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지속적인 인구증가와 도시화 및 산업화 영향으로 물, 에너지, 식량의 수요증가와 공급부족이 예상되는 가운데, 급격한 기후변화와 자원고갈로 인해 이는 더욱 가속화되고 심화될 위기에 직면하였다. 특히 물의 수요는 증가하나 공급은 제한되어 있어 지속가능한 인류의 생존을 위하여 인간에게 꼭 필요한 에너지와 식량의 문제를 물을 중심으로 상관성을 찾고 효율적인 물활용 방법을 개발하고 정책화할 필요가 있다. 세계 물공급량 중 농업으로는 70%, 에너지로는 15%로 소비되고 있다. 또한 유럽과 미국은 발전용 냉각수로 각각 담수총량의 43%, 50%를 사용하고 있는 등, 세계는 물, 식량 그리고 에너지 수급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상호 위기가 증폭되고 있다. 향후 인간의 삶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세가지 자원이 복합적으로 연계되어 상호 위기가 증폭될 수 있는 실정이나, 우리나라는 개별자원에 대한 관리 및 운영기술은 상당한 수준이지만 아직까지 연계성을 고려하여 자원간의 효율성을 찾는 물-에너지-식량 연계(Water-Energy-Food Nexus, WEF Nexus)에 대한 관리 및 기술은 부족한 실정이다. 국제적으로 세자원의 연계상황이 선진국과 개도국간에 편차가 크고, 사막지대 등 자연조건이 열악한 지역에서 자원들간의 위기 연계성이 높은 상황이므로 우리나라도 물-에너지-식량의 연계위기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미래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방안 수립이 필요하나, 현재 국내 물관리에 있어 저수지나 수리시설 관리가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어 이를 방치할 경우 중장기적으로 식량 및 에너지생산에 있어 부족이 우려되고 있다. 또한 부처간의 행정적인 간격으로 물-에너지-식량의 연계성 연구 및 정책수립에 있어서 자료 등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빅데이터 기반의 DB구축 및 인벤토리 정의 등도 현재시점에서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WEF Nexus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각 자원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야 한다. 과거에는 개별적 자원의 확보를 추구했다면 이제부터는 각 자원간의 상생을 통한 연계성을 확보하여 서로간의 자원 확보를 고려하여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의 자원확보에 대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상호 연계를 통한 효율성을 확보하고 그 효율성이 각 자원에 영향을 주어 시너지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Filipendula (Rosaceae) (터리풀속(Filipendula)의 분자계통학적연구)

  • Ahn, Bowoo;Kim, Ki-Joo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35-35
    • /
    • 2018
  • 터리풀속(Filipendula)은 장미과(Rosaceae), 장미아과(Rosoid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며, 북반구 온대지역의 산지지역에 서식하며 15-20여 종이 보고되어 있고, 이 중 10여종이 한국, 중국, 일본, 타이완 등의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DNA 염기서열 자료를 이용하여 터리풀속(Filipendula)내 종들간의 계통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11종 29개체의 터리풀속(Filipendula)샘플과 외군인 산딸기나무속(Rubus)에 속하는 3종 5개체의 샘플을 이용하였다. 추가로 Genbank에서 3속 10종 18개의 염기서열을 다운받아 비교분석에 이용하였다. 계통연구를 위하여 엽록체에 존재하는 atpF-atpH, psbK-psbI, psbA-trnH, matK, rbcL, 5개 마커와 핵에 존재하는 ITS, 총 6개 마커의 염기서열을 생산하였다. 총 52개의 샘플에 대하여 엽록체유전체 5개 마커지역은 염기서열 길이가 3,485bp였고 핵 ITS지역은 631bp였으며, 이들을 합한 염기서열 길이는 4,116bp였다. 계통분석결과, 터리풀속(Filipendula)은 단계통군을 이루었다. F. occidentalis와 F. vulgaris가 기저분류군을 이루었고 이들은 각각의 아속에 해당한다. 그리고 나머지 종들은 모두 하나의 단계통군을 이루었다. 위의 결과들은 1961년 시미즈가 본 속을 Hypogyna아속, Filipendula아속, Ulmaria아속으로 나눈 분류시스템과 일치한다. 나아가 분자계통수에서 Ulmaria아속은 크게 4개의 subclade로 구분되었다. 먼저 subclade I에는 F. vestita, F. kiraishiensis, F. tsuguwoi, F. multijiuga, F. purpurea 등 5개 종으로 구성되었다. Subclade II는 F. ulmaria 한 종으로만 구성되었다. Subclade III에는 F. glaberrima, F. koreana, F. formosa, F.camtschatica 로 구성되었으며 subclade III에는 한국에 서식하는 3종이 포함되었다. Subclade IV에는 F. rubra, F. angustiloba, F. palmata, F. intermedia 4종으로 구성되었다. 이번연구에서는 Ulmaria아속내에 4개의 subclade가 존재함이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 PDF

Study on development of constructed wetland for resolve water dispute the region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낙동강 하류 지역간 물갈등 해결을 위한 인공습지 개발 연구)

  • Oh, Jun Oh;Jun, Sang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9-469
    • /
    • 2021
  • 낙동강을 취수원으로 사용하고 있는 국민들은 과거부터 꾸준히 발생해온 수질사고로 인하여 낙동강 수질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이에 낙동강 본류를 취수원으로 이용하고 있는 중·하류 지방자치단체들은 낙동강 유역 내 댐이나 상류로의 취수원 이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들은 지역·지방간의 갈등이 유발되었으며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부산광역시의 취수원 이전 문제이다. 부산광역시는 낙동강 본류 수질 악화와 녹조발생으로 인한 원수에 대한 시민들의 불신, 수질 악화로 인한 정수비용 증가 등의 문제를 제기하였고 이를 해결하고자 남강 상류 또는 낙동강 지류로 취수원 이전하여 시민들에게 상수 공급하기를 원하고 있다. 하지만 타 지방자치단체와의 이해, 경제성 등의 문제로 마찰을 빚고 있다. 지역간의 갈등을 최소화하면서 적정 수량 확보가 가능한 대체 수자원 확보를 위해 강변여과수, 지하수저류지, 인공함양, 인공습지, 해수담수화 같은 방법들이 논의 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중·하류에 인공습지 적용이 가능한 지점들을 선정하고 목표 유량 및 수질 확보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기 연구된 경남, 부산권 광역상수도 사업 타당성 조사(2011, 국토교통부)에 의하면 낙동강 하류지역에 안전한 상수원 확보를 위한 원수 대체 필요량은 전체 약 1,330,000 m3/day 이다. 이를 확보하기 위해 강정고령보 상류 ~ 창녕함안보 하류구간 내 21개의 인공습지 후보지를 선정하고 유량확보 가능량, 수질, 오염부하량, 조류, 공간확보 항목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21개 후보지에 대해 유량확보, 수질, 조류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오염부하량과 공간확보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가 인공습지 후보지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향후 낙동강 중·하류에 인공습지를 활용한 취수원 개발을 위해서는 낙동강 본류와 지류에 대한 정확한 수질 조사와 인공습지 후보지에 대한 면적조사, 경제성 평가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On the New Prospect of Gangwon Border Area as a Peace Zone and its Sustainable Development (강원도 접경지역이 평화지역으로 가기위한 새로운 지평과 지속가능발전)

  • Kim, Jong-H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6
    • /
    • pp.638-651
    • /
    • 2022
  • Last year, a new perception of the right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as adopted: DMZ Yanggu Peace Declaration 2021. The Declaration reflects that there is a raising of necessity for a new perception and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DMZ-related laws, sustainable ecological environment and security. Gangwon is making considerable efforts to make the border area in DMZ as an area of peace by continuously enhancing publicit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eace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a paradigm shift towards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korean border region that it should function as a passage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rather than a dam. For, to be renewed as a sustainably developing region through newly constructed flow of communication, the wall of hostility must preliminarily fall dawn. Then a question arises about how Gangwon is, out of other border region, most eligible for the reconsideration of its significance as a border area. The answer relies on the newly established agenda and understandings towards the right to peace in the perspective of founding the policy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the conservation of DMZ ecological environment through enlistment of UNESCO Biosphere Reserve should go hand in hand with the ultimate value of global agenda of the conservation and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The study insists that the peace zone is a prerequisite for the adaption of the era of future-oriented glocalization featur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p to this date, the border area was an area of pain and agony. It is time for Gangwon to be reborn as an area of peace and coexisten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oint a direction for Gangwon to become a sustainably developing region by illuminating the value of the Gangwon border area as a new area of peac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Military Remains during the Korean War - Focused on the Central Border of DMZ(Yeoncheon, Cheorwon, and Hwacheon-gun) - (한국 전쟁 군사유적의 보호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중부접경지역(연천군, 철원군, 화천군)을 중심으로 -)

  • Cho, Tae-Hwan;Kim, Ta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20 no.3
    • /
    • pp.47-56
    • /
    • 2018
  •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ilitary remains of Korean War(1950~53) focused on Yeonchen, Cheorwon, and Hwacheon-gun in the central border of DMZ. The Yeoncheon-gun is installing 'Yeolsoe' and 'Taepung' observatory in the frontline battlefield adjacent to Southern Limit Line(SLL), and not only protects many military remains including war memorial and crematory facilities of UN troops, but also utilizes them as active educational places. The Cheorwon-gun is actively making known 'Baengmagoji memorial, 'Labor party office' and other buildings adjacent to 'Tourist security DMZ', but needs to set up many monuments around battlefields of 'Gimhwa' and 'Daeseongsan' adjacent to 'Eco-peace park DMZ'. With the battlefield of 'Paroho' as the center, which our troops made brilliant military gains during the war, the Hwacheon-gun protects and informs military remains such as '643 and 490 battlefields', 'Kkeomeok and Guman bridge'. Developing a network for military remains in connection with the annual local festivals, the experience tour and security will be available at these plac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lgae Occurrence in Lower Watershed of Nam River Dam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남강댐 하류지역의 조류발생 특성 연구)

  • Jung, Woo Suk;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26-126
    • /
    • 2016
  • 남강은 낙동강 주요 지류인 동시에 낙동강 하류지역의 유지용수, 생활, 공업, 농업용수 공급 등에 중요 역할을 하고 있어 오염원 및 수질관리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최근 남강댐 하류 및 남강합류 후 낙동강 본류인 창녕함안보 지점에서의 녹조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녹조현상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 호소의 녹조관리는 '조류경보제'에 의해서 관리되고 있지만 4대강 16개의 보 건설 이후 '수질예보제'와 같이 녹조관리를 위한 제도 및 정책이 시행되면서 조류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많은 문헌들을 참고하여 조류의 영향인자를 파악하였으며, 남강유역의 물관리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구축된 데이터 기반의 각 항목별 주요항목 영향인자 분석을 위한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여 영향인자별 상관관계 우선순위를 선정하여 입력변수로 이용하였다. 그에 따른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조류 발생특성을 고려하여 예측 모형인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구현하였다. 회귀분석 과정에서 다중공선성이 발생하는 변수에 대해서는 모형에서 제거하였으며, 잔차분석을 통해 이상치와 영향치를 검토하여 고려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