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사회 거주 노인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3초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Factors of affecting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

  • 이명숙;한미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341-34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의 우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C도 농촌지역의 65세 이상 여성노인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1.0을 이용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평균나이는 76세로 42.9%가 우울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자의 우울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요인은 연령(p=.008, OR=1.146), 경제상태(p=.004, OR=.123), 동거 가족수(p=.013, OR=.020), 사회 활동수(p=.012, OR=.436), 진단 받은 질병수(p<.001, OR=3.847), 시력(p=.023, OR=3.867), 사회적 지지 하부영역 중 가족의 지지(p=.048, OR=.707)였으며, 설명력은 68.6%였다. 이상의 결과는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우울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근거 및 융복합적 중재 방안 개발에 기여할 수 있으며, 향후 농촌거주 여성노인의 시력장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노인의 노인복지서비스 이용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서울과 춘천 노인들을 중심으로 (Longitudin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Older Adults' Welfare Service Utilization)

  • 임연옥;윤현숙
    • 한국노년학
    • /
    • 제29권3호
    • /
    • pp.1063-1085
    • /
    • 2009
  • 본 연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노인들의 복지서비스 이용경험의 변화를 살펴보고, Andersen과 Newman(1973)의 행동주의 모델을 적용하여 서비스 이용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힘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수집된 한림고령자패널자료 중 60세 이상 노인을 분석대상으로 경로우대서비스, 여가서비스, 재가복지서비스 이용경험과 Andersen과 Newman(1973)의 모델에서 제시된 선행요인(성, 연령, 교육수준), 가능성요인(거주지역, 배우자유무, 월 용돈, 서비스 인지수준), 욕구요인(일상생활동작수행능력)에 해당하는 문항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귀회귀모형과 회귀분석을 결합한 모형을 만들고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시간이 흐름에 따라 노인들은 경로우대서비스를 점차 보편적으로 이용하게 되었지만 여가서비스와 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제한적이었다. 둘째, 경로우대서비스와 여가서비스에 대한 이용경험은 다음의 서비스 이용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서비스 이용경험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이 조사시점마다 달라졌지만, 경로우대서비스 이용에는 선행요인인 연령과 가능성요인인 거주지역, 여가서비스 이용에는 가능성요인인 거주지역과 배우자유무, 그리고 재가복지서비스 이용에는 선행요인인 교육수준과 가능성요인인 서비스 인지수준이 5년 동안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선행연구들에서 서비스 이용에 욕구요인이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되어온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가능성요인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노인 개인이나 가족의 특성보다는 서비스를 공급하는 지역의 복지환경이 노인의 서비스 이용에 더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노인복지서비스 이용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경로우대서비스와 여가서비스에 대한 복지자원과 재정에 있어서의 지역 간 격차를 줄이고 재가복지서비스에 대한 홍보를 체계화하는 노력이 요구되었다.

지역사회거주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문해력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Influence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Literacy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in Community)

  • 백경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01-107
    • /
    • 2017
  • 이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문해력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충북 제천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48명을 대상으로 단면조사를 실시하였다.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문해력 및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자가보고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6년 7월 3일부터 2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구강건강문해력, 동거인 유무, 치아 수, 교육수준 및 종교 등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들은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44.3% 설명했다. 따라서 건강관리 제공자는 노인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치아 상실을 예방하고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강문해력을 향상시키는 중재 프로그램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수도권 노인 주거.의료 서비스 시설과 그 이용자 생활의 공간적 특성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nd Medic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the Life of Those Using the Facilities of the Capital Region)

  • 송경언;박삼옥;김상빈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4-417
    • /
    • 2008
  • 한국 사회의 고령화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힘든 속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인구학적 변화는 공간적 변화가 수반되는 사회경제적, 문화적 변화를 가져온다. 이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을 대상으로 노인 주거 의료 서비스와 노인 생활의 공간적 특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도권 노인 주거 의료 서비스의 입지와 그 이용자의 생활은 노인의 이동성뿐만 아니라 서울로부터의 거리, 거주환경 등의 영향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노인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일차적으로 노인 주거 의료 서비스의 위치와 노인의 이동성이고, 이차적으로는 가족 거주지의 위치이다. 따라서 주거 의료 서비스의 위치가 대도시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PDF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광주시와 전남지역 노인들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Elderly Social Activity and Depression on Elderly Well Being)

  • 김남현;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96-506
    • /
    • 2017
  • 본 논문은 노인들의 삶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삶의 질 또는 만족도를 살펴보는 것으로 노인들의 삶이 질이 높아야만 우리사회의 궁극적인 목적인 사회통합이 이루어 질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를 투입변인으로 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지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들 사이에서 우울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고서 건강한 노인들의 삶을 영위하는데 실천적 도움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광주시와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 사회활동 참여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대한 매개효과는 삶의 질에 직 간접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가 높으면 우울이 감소되고 우울이 감소되면 삶의 질이 높아진다.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성공적 노화를 가져오기 위해 노인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우울의 심리상태를 극복하는 다양한 사회복지적 대책이 시급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노인복지 정책이 더욱 충실하게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의 자살 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uicide Attempt of the Elderly)

  • 배진희;엄기욱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427-144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자살에 대한 생각, 계획, 시도 경험 정도가 어떠한지 살펴보고, 자살 완료와 가장 가까운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자살 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라북도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재가 노인 1,11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 면접법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대상 노인 중 20.2%가 자살을 생각해 보았다고 응답했고, 5.7%가 자살을 계획한 적이 있다고 하였고, 3.6%는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하였다. 자살 시도 영향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동거형태, 일역할 상실, 정서적 학대와 방임 피해 정도가 자살 시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노년기 부모자녀 결속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도시 농촌 간 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Types of Solidari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Life Satisfaction of Old Adults: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 김명일;김순은
    • 한국노년학
    • /
    • 제39권1호
    • /
    • pp.145-167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부모자녀 결속 관계 유형과 그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고, 하위 집단별 유형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대학교 SSK 고령사회 연구단에서 실시한 '노인의 건강한 노화 및 웰다잉에 관한 연구'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총 2,072명의 자료를 도시와 농촌 지역의 노인 집단으로 구분 후 부모자녀 결속의 유형 분석을 위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과, 각 하위 집단의 유형 계층이 노인의 삶의 만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시 노인과 농촌 노인의 부모자녀 결속 유형은 각각 3가지, 2가지 유형으로 유형화되었다. 각 부모자녀 결속 유형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우에만 부모 자녀 결속 유형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농촌 거주 노인의 경우 부모 자녀의 결속 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녀와의 결속 관계보다는 지역사회 사회응집력과 같은 이웃 및 지역 공동체의 접촉 및 친밀감과 관련한 요인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하여 비혈연중심의 관계 형성의 영향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안녕과 만족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 및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한국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양관련 요인이 사망위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utrition Related Factors on Mortality Risk among Community-residing Older Adults in Korea)

  • 이시은;이에리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343-35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영양상태가 사망위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참여자 8,532명의 자료와 2011년 사망자 자료를 분석하였다. 콕스 회귀 분석 결과, 남성(Hazard Ratio [HR], 2.03; 95% Confidence Interval [CI], 1.74~2.37), 당뇨 (HR, 1.35; 95% CI, 1.12~1.64), 저체중 (HR, 2.68; 95% CI, 2.16~3.31), 연하곤란 (HR, 1.23; 95% CI, 1.02~1.47), 씹기 능력 (HR, 1.33; 95% CI, 1.11~1.59), 영양불량 (HR, 1.47; 95% CI, 1.23~1.75)이 사망위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노인의 사망위험을 줄이기 위해 체계적인 영양 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노인의 수분섭취정도와 구강건조증, 구취, 구강미생물과의 관계에 대한 융합적 연구 (지역사회 거주 노인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f Water intake on relationship between Xerostomia, Halitosis, Oral microorganisms in the Elderly)

  • 정혜영;최연임;최혜정;정인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09-316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 50명을 대상으로 수분섭취 정도와 구강건조증, 구취, 구강미생물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발적인 수분섭취강화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7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변수와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S. mutans와 P. intermedia 검출에 공통으로 영향을 주는 변인은 칫솔질 횟수와 치과 방문 경험이었으며, 수분섭취량이 다른 세 그룹을 비교한 결과 P. intermedia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분섭취강화프로그램을 개발 적용 후 구강건강 개선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in Community-dwelling Old Adults)

  • 김희량;고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20-529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Methods: This is secondary analysis of data from an intervention study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 to September 30, 2017 at a senior center. Data of 131 older adults were included for this secondary analysis, and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is 65.08 out of a possible range of 0-100.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among old adults include 'more than 85 years old', 'waist circumference', 'depressive symptoms', 'activity restriction due to fear of falling', and 'self-rated health' which explained 52.8%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psychologic factors as well as physical condi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interventions to increase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