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Elderly Social Activity and Depression on Elderly Well Being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와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광주시와 전남지역 노인들을 중심으로-

  • 김남현 (납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정민숙 (납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2.15
  • Accepted : 2017.03.10
  • Published : 2017.03.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lderly well being,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ssue, or life satisfaction. When the elderly's life satisfaction get better, Our society can be integrated as we pursuit. The research aimed to find out whether elderly social activity affect on their well being including meditating effect of elderly depression. The result will guide the practical implication in the field. For the analysi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elders from Gwangju City.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social activity showed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but positive effect on the elderly well being. When the higher elderly social activity level, lower depression as well as higher well being level. Thus, this study strongly proposes for construction of elderly social activity programs in a social welfare field to achieve their successful elderly life well being.

본 논문은 노인들의 삶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삶의 질 또는 만족도를 살펴보는 것으로 노인들의 삶이 질이 높아야만 우리사회의 궁극적인 목적인 사회통합이 이루어 질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사회활동 참여를 투입변인으로 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는 지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들 사이에서 우울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살펴보고서 건강한 노인들의 삶을 영위하는데 실천적 도움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광주시와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 사회활동 참여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대한 매개효과는 삶의 질에 직 간접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가 높으면 우울이 감소되고 우울이 감소되면 삶의 질이 높아진다.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성공적 노화를 가져오기 위해 노인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우울의 심리상태를 극복하는 다양한 사회복지적 대책이 시급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노인복지 정책이 더욱 충실하게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UN, The aging of population and its economic and social implications. In aging in American's future(22-29), 1976.
  2. 권중돈,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2007.
  3. 이은희, 최신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2009.
  4. 한정란, 김수현, "농촌 남녀 노인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Vol.26, pp.91-118, 2004.
  5. 박광의, 한혜경,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연구, Vol.11, pp43-61, 2002.
  6. 이현기, "생산적 노화활동으로써 노인자원봉사활동," 노인복지연구, Vol.45, pp.317-346, 2009.
  7. 이현심, 남희수, "농촌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우울감, 자아존중감 및 사회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Vol.17, No.4, pp.957-984, 2010.
  8. 남기민, 박현주, "노인의 종교활동과 사회활동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Vol.49, pp.405-428, 2010.
  9. 최서규, 노인의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0.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한국판 세계보건기구의 삶의 질 간편형 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Vol.39, Vol.3, pp.571-579, 2000.
  11. 오영희, 석재은, 권중돈, 김정석, 박영란, 임정기,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12. E. C. Clipp, Quality of life in The encyclopedia of aging, Maddox(Ed), New York: Springier Publishing Co. pp.851-854, 2002.
  13. A. Bowling, "Let's ask therm: A national survey of definition quality of life and its enhancement among people aged 65 and over,"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cations, Newbury Park: Sdge publications, 2003.
  14. OECD, The OECD of Social Indicators, Paris, 1982.
  15. 이가옥, "노년기 삶의질 : 개념 및 지표구성," 세계노인의 날 기념 제6회 학술세미나, 성공회대학교, 2000.
  16. 한준, "한국인 삶의 질의 사회적 결정요인," 국정관리, 제19원, 제2호, pp.67-94, 2015.
  17. 김여진, 홍환, "중고령 전업주부와 취업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21, pp.93-110, 2009
  18. 장신재, 조자영,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일자리사업 참여만족, 경제상태만족, 자기가치감 변화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pp.123-13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3.123
  19. 한아름, 김여진, "결혼이주여성의 사회활동, 문화적응스트레스 그리고 우룰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3, pp.75-104, 2012.
  20. 최성재, 장인협, 노인복지학, 서울대학출판부, 2008.
  21. H. Maier and P. L. Klumb, "Social participation and survival at olde ages," European Journal of Ageing, Vol.2, No.10, pp.29-31, 2005.
  22. 권중돈, 조주연,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Vol.20, No.3, pp.61-76, 2000.
  23. J. Rowe and R. Kahn, "Successful aging," 4erontologist, Vol.38, No.2, pp.433-440, 1998.
  24. 윤종율, 제6회 고령사회포럼발표집, 한국노인과학학술단 연합회, pp.3-33, 2005.
  25. C. N. Bull, "Voluntary Association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Replication Note," Journal of gerontology, Vol.30, No.1, pp.73-76, 1975. https://doi.org/10.1093/geronj/30.1.73
  26. M. Knapp, "Predicting the dimension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31, No.5, pp.595-604, 1979. https://doi.org/10.1093/geronj/31.5.595
  27. 홍순혜, 활동이론에 따른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28. 강지애,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9. H. A. Tinsley, et al, "A system pf Classification Leisure Activities on Terms of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participation Reported by Older," Journal of Gerontology, Vol.40, No.2, 1985.
  30. L. Y. Steinitz, "Religiosity, Well-Being and Weltanschauung among the Elderly," Journal for SSR, Vol.19, No.1, pp.60-67, 1980.
  31. 손동선, 노인자원봉사 프로그램 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성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2. 최순남, 현대노인복지론, 한신대학교, 1995.
  33. 김재중,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4. 전명수, "농촌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9, 2014.
  35. 배진희, "고령노인의 일상샐활기능 저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Vol.26, No.1, pp.353-368, 2009.
  36. 정인과, 곽동일, 신동균, 이민수, 이현수, 김진영, "노인 우울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Vol.36, No.1, pp.103-112, 1997.
  37. 이승환, 정영조, "노인우울증," 인제의학, Vol.23, No.2, pp.379-385, 2002.
  38. 김미혜, 이금룡, 정순동, "노년기 우울중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노년학, Vol.20, No.3, pp.211-226, 2000.
  39. N. Kondo, M. Kazama, K. Suzuki, and Z. yamagata, "Impact of mental health in daily living activities of Japanese elderly," Preventive Medicine, Vol.46, No.5, pp.457-462, 2008. https://doi.org/10.1016/j.ypmed.2007.12.007
  40. 박장근, 최덕묵, 임란희, "노인 여가활동 유형과 고독감 및 우울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1, pp.577-588, 2007.
  41. 이지연, 전정자,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고신대학교 의학과 논문집, 제10권, 제1호, pp.29-40, 1994.
  42. 강의숙, 김근조, "일부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련성," 대구보건협회학술지, 제26권, 제4호, pp.451-459, 2000.
  43. 노병일, 모선희, "사회적지지의 수준과 차원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27권, No.1, pp.53-69, 2007.
  44. 김현순, 김병석,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경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Vol.19, No.3, pp.801-808, 2007.
  45. 윤진, "건강한 가족관계를 위한 심리학적 접근," 인문과학, 제50집, 1983.
  46. J. Smith, "Optimism in Age Improve Quality if Life," Aging Beings at 30, 1998.
  47. 이은령, 강지혁, 정재필, "노인 우울에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7호, pp.290-300,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290
  48. 김귀분 외, "시설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에 대한 음악 요법 효과," 노인가정학회지, 제2권, pp.213-223, 1999.
  49. 이영자, 김태현, "단독가구 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감," 한국노년학, 제19권, 제3호, pp.79-93, 1999.
  50. 윤정선, 노인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51. 박용두, 노인의 생산 활동 및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2. B. L. Neugarten, R. J. Havighurt, and S. S.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No.2, pp.134-143, 1961. https://doi.org/10.1093/geronj/16.2.134
  53. J. F. Hair, Jr., W. E. Black, B. J. Babin, and R. E. Anderson, and R. L.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Prentice-Hall International, 2006.
  54. M. W. Brown and R. Cudeck, Alternar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and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lif.: Sage., 2001
  55. 배명렬,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청람, 2011.
  56.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아카데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