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난방 시설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지역냉난방 시스템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40
    • /
    • pp.84-95
    • /
    • 1993
  • 지역난방은 한 곳에 집중된 대규모 열원시설에서 경제적으로 생산된 열을 일정한 지역내 아파트, 빌딩, 공공 시설 등에 난방 및 냉방용으로 공급하는 도시 기반시설이다. 또한 지역난방은 개별난방이나 중앙난방의 간헐 난방방식과는 달리 24 시간 연속난방을 하므로써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온도를 유지시켜 주며, 노후된 보일러 교체비 및 유지 보수가 들지 않고, 난방순환펌프 등 각종 부대시설의 축소로 동력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 보일러실을 주민복지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연료탱크와 보조난방기구 등이 필요 없어 재해 발생의 우려가 없다. 본지에서는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제공한 자료와 월간 설비기술에 게재된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게재한다.

  • PD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ubble As a Tamping for Greenhouse Keeping Warm (이중피복온실의 보온용 충전재로서 버블의 물리적 특성)

  • 윤남규;김학주;이시영;염성현;남윤일;최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355-359
    • /
    • 2003
  • 1970년대 백색혁명 이후 급속하게 확산되어온 국내 시설원예산업은 최근 들어 날로 증가하고 있는 난방비에 대한 부담으로 그 경영이 날로 위축되어 가고 있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2001년 우리나라 전체 시설원예 면적 52,135㏊ 중 난방을 하고 있는 시설원예 면적은 12,710㏊로서 약 24%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시설재배면적의 지역분포를 비교해 보면, 시설채소의 경우 중부 이북지역에 44%, 남부에 56%의 비율로 분포해 있으며, 시설화훼의 경우 중부 이북 58%, 남부 42%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국내 시설원예의 분포는 난방비가 많이 소요되는 지역이라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유통이나 지리적 면에서 유리한 지역에 시설재배면적이 많이 분포해 있는 소비지중심형 분포임을 알 수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principal cost of district heating transportation system related to low supply temperature (공급온도 저하에 따른 지역난방 배관망 기초비용에 관한 연구)

  • 김석순;정찬교;최기련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5.11a
    • /
    • pp.82-87
    • /
    • 1995
  • 국내 지역난방의 역사는 서구의 역사와 비교하여 짧기 때문에 아직 기술 도입의 의존도가 높고 설계에 있어서도 서구의 설계기준을 그대로 도입하여 지역난방 시스템을 운전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시스템설계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열원시설과 수용가 시설사이에서 열을 운송하는 열운송시설, 즉 배관망(이후 배관망으로 칭한다.)에서의 공급 및 회수온도가 유럽의 대류난방방식에 따라 설계되어 높게 설정되어 있다. 공급 및 회수온도가 높다는 것은 열운송시 열손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일정 배관망 모델을 선정하여 공급 및 회수온도를 낮추어 운전할 때 발생되는 비용변화를 기초로 공급 및 회수온도 저하운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배관망에서 공급 및 회수온도를 동일 구배로 낮추는 것이 년간 총 비용을 감소시키므로, 운전온도의 저하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Derivation of Standard Air Temperature Curve for Greenhouse Heating Design and its Application to Heating Degree Hour (온실의 난방설계를 위한 표준기온곡선 유도 및 난방 Degree Hour에의 적용)

  • 김문기;손정익;남상운;유인호;이동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2.12a
    • /
    • pp.21-22
    • /
    • 1992
  • 온실의 난방에 필요한 난방기기의 용량 및 연료소비량을 합리적으로 추정하기 위해서는 난방설계용 외기조건, 즉 표준기상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건물의 냉난방 설계를 위한 표준기상 자료가 대도시 지역의 일부에 대하여만 발표되어 있다. 이것은 농업시설에 대해서는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농업 시설 설계를 위한 개략적인 표준기상 데이터의 선정이 요망된다. (중략)

  • PDF

Heat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by the Component Ratio of District Heating Users (지역난방 사용자 구성비에 따른 열소비 패턴 분석)

  • Lee, Hoon;Lee, Min-Kyun;Kim, Lae Hyu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2 no.2
    • /
    • pp.211-225
    • /
    • 2013
  • To run an optimal operation of Integrated energy supply facilities, we need to analyze heat consumption patterns of District heating users and derive optimum and maximum load ratio of heat production facilities unit. This study selects three District heat production facilities. It also classifies District heating users into residential apartment buildings and eight non-residential buildings and analyzes heat consumption results for an year. Finally it carries out the analysis of how the ratio change of each type affects maximum load ratio, facility utilization ratio, heat supply range. According to this study, three different District heat facilities of residential apartment building show similar daily and annual heat consumption patterns. Annual average load ratio, maximum load ratio and annual heat demand increase as outdoor temperatures decrease. Non-residential buildings in urban District focused on apartment buildings display similar by the daily and annual heat consumption patterns. Yet their daily and annual maximum load ratio differ according to outdoor temperature, District, building types and their composition ratio. In the case of urban District focused on apartment buildings reach optimum and maximum load ratio when apartment buildings reaches 60-70% of the total. At that point heat supply range becomes maximized and the most economic efficiency is obtained.

Field Application of a Latent Heat Storage Tank for Load Shaving of Domestic Hot Water Supply in District Heating (지역난방 급탕공급 부하균등화를 위한 잠열축열조의 현장 적용)

  • Park, Sung Yong;Yoo, Hoseon
    • Plant Journal
    • /
    • v.17 no.2
    • /
    • pp.42-47
    • /
    • 2021
  • In terms of district heating operation, efficient production and supply of heat by alleviating the peak load at a specific time require an application technology that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difficulties of the supplier. In this study, a 78 ℃ class PCM heat storage tank suitable among the technologies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was manufactured and applied to the hot water supply facility for apartments in district heating user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is system, it was confirmed that the supply temperature was constant to the user compared to the existing supply metho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duction of the peak load due to load equalization reduced the heat supply margin of 10% in the existing heat supply facility.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new heat supply facility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heat users is decreased by 5% and 10%, respectively.

Development of Roll & Pull Screen System using Multi Layer Material (조합형 다겹보온자재를 이용한 수평예인권취식 커튼개폐장치 개발)

  • Lee, Si-Young;Kim, Hak-Ju;Jeon, Hee;Nam, Yooun-Il;Yeom, Sung-Hyun;Yoon, Nam-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3.04a
    • /
    • pp.199-202
    • /
    • 2003
  • 우리나라 전체 시설원예 면적 52,135ha(2001년) 중 난방을 하고 있는 시설원예 면적은 12,710ha로서 약 24%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시설재배면적의 지역분포를 비교해 보면, 시설채소의 경우 중부 이북지역에 44%, 남부에 56%의 비율로 분포해 있으며, 시설화훼의 경우 중부 이북 58%, 남부 42%로서 난방비가 많이 소요되는 지역이라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유통이나 지리적 면에서 유리한 지역에 시설재배면적이 많이 분포해 있다. (중략)

  • PDF

Riverbank Filtration Well Development for Water Source Heat Pumps (시설원예 히트펌프 냉난방용 강변여과수 개발)

  • Cho, Yong;Lee, Nam-Young;Park, Jin-Hoon;Moon, J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996-2000
    • /
    • 2010
  • 국내 시설원예 면적은 2005년 기준 52,022ha에 달하고 있으며 약 23%에 해당하는 12,000ha는 겨울철에 난방기를 가동하여 원예작물을 생산하고 있다. 농업용 난방기의 보급은 가온재배 면적의 증가와 더불어 급신장하고 있어 농업용 면세유 중 경유 공급액 약 9,260억원 중 62%에 해당하는 1,350,000톤이 시설원예 난방에 사용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지속적인 유가 상승으로 시설재배 농가의 경영이 악화되고 있어 최근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난방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시설원예 냉난방에 사용되는 히트펌프의 열원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강변에 위치하고 있는 시설원예단지의 경우 연 중 풍부한 유량과 안정적인 수온을 얻을 수 있는 강변여과수는 매우 매력적인 열원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범지역으로 남강댐 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진주지역의 시설원예단지와 낙동강 유역의 구미지역 시설원예단지의 두 곳에 대하여 1일 $1,000m^3$의 강변여과수 개발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육안 및 현장여건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고 인근 지하수 사용현황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진주지역의 경우 일부 농가에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었으나 1일 8~10시간 취수에 최대 취수량은 약 $120m^3$ 정도였다. 반면, 구미지역의 경우 1999년 구미첨단원예농단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양액재배에 농업용수를 공급할 목적으로 지하수 개발이 실시되었으며 최근 인근 국화축제를 개최하는 지역에서 신규로 지하수를 개발하여 사용 중이었다.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한 결과 진주지역은 지하 약 6~17m 지점에 대수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구미지역은 지하 약 10~20m 지점에 대수층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지하 20m 지점부터는 대수층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두 지역에 각각 두 공을 시추하여 조사한 결과, 구미지역의 경우 수면높이가 지하 약 10m이고 각각 2.5m와 4.6m의 모래자갈층을 형성하고 있어 $1,000m^3$/일의 취수량 개발이 원활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진주지역은 수면높이가 지하 약 3m이고 각각 3.5m와 6.5m의 모래자갈층을 형성하고 있어 $1,000m^3$/일의 취수량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장 시추조사 및 기존관정 조사결과, 구미지역에 비하여 진주지역이 지하수 물량 확보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신규 굴착 가능지점이 다수 분포하고 있어 연구지점으로 활용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진주지역에 여과수열원 확보를 위해 2곳의 양수관정을 설치하고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시설원예의 냉난방을 실시할 예정이다.

  • PDF

Accuracy Improvement in Demand Forecast of District Heating by Accounting for Heat Sales Information (열판매 정보를 고려한 지역난방 수요 예측의 정확도 향상)

  • Shin, Yong-Gyun;Yoo, Hoseon
    • Plant Journal
    • /
    • v.15 no.1
    • /
    • pp.31-37
    • /
    • 2019
  •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accuracy of forecast of heat demand in the district heating system, this study applied heat demand performance among the main factors of district heating demand forecast in Pankyo area as the heat sales information of the user facility instead of existing heat source facility heat supply information, and compared the existing method with the accuracy based on the actual valu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of the forecasts values of the existing and changed methods based on the performance values over the one week (2018.01.08 ~ 01.14) during the hot water peak, the relative error decreased from 7% to 3% The relative error between the existing and revised forecasts was 9% and 4%, respectively, for the five-month cumulative heat demand from February to February 2018, Also, in case of the weekend where the demand of heat is differentiated, the relative error of the forecasts value is consistently reduced from 10% to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