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기반 서비스

검색결과 1,310건 처리시간 0.029초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 시스템 (Intelligent Monitoring System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in Smart Mobile Environment)

  • 백선재;이대성;문미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77-680
    • /
    • 2010
  • 스마트폰의 빠른 보급으로 위치기반 서비스 (Location Based Service)가 새롭게 주목 받고 있다. 위치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 (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현재 위치기반 서비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증강현실,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 정보뿐만 아니라 복합 상황정보를 이용한 안전 및 사고예방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성과 이동성의 장점을 가진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통해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지능형 감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감시대상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GPS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고, 기울기 및 압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감시대상자의 상태정보를 획득 한다. 또한 이러한 위치 데이터와 센싱 데이터를 지도 OpenAPI, 날씨 OpenAPI, 안전/위험지역 설정 등의 기능과 결합하여 지능적 복합 상황정보로 표현한다. 이러한 기능들을 안드로이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함으로써 감시자 또한 모바일 환경에서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감시자는 이동하면서 원거리에 있는 감시대상자의 실시간 이동경로와 복합 상황정보를 확인하고 알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통해 아동 범죄, 노약자 보호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PDF

GIS 기반 가뭄분석을 위한 가뭄인벤토리 지도서비스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drought inventory map service module for GIS based drought analysis)

  • 이상민;신용현;양동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84-484
    • /
    • 2021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웹기반 가뭄아틀라스에 탑재되는 가뭄인벤토리 지도서비스 모듈은 GIS기반 가뭄상황관리를 위해 일정 수준의 가공이 필요한 다양한 GIS 가뭄분석정보를 제공하여 가뭄 대응 업무 담당자가 공간에 기반한 가뭄분석 업무에 사용함을 주목적으로 해당 서비스 모듈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지도서비스 모듈은 JAVA 언어로 개발되었으며, 오픈소스 기반의 Geosever와 Openlayer를 적용하여 167개 시군을 대상으로 가뭄 관련 분석지도를 제공하는 서비스 모듈이다. 지도 레이어별 가시화를 통한 중첩분석이 가능하며, 사용자 필요 시 해당 분석지도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개발을 진행하였다. 상세 제공 정보로는 가뭄 분석을 위한 면적정보와 통계정보로 이원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별 가뭄인벤토리 지도는 지역별 차트정보와 속성DB 테이블을 같이 지도화면에 표출한다. 주요기능으로는 가뭄인벤토리 지도서비스 창을 활성화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가뭄인벤토리 지도를 체크하면 가뭄아틀라스 지도화면에 가시화된다. 체크된 가뭄인벤토리 지도는 테이블정보 표출과 자료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한다. 해당 서비스 모듈의 관리 및 사용 방법으로는 가뭄인벤토리 지도데이터를 GIS 데이터셋화하여 Geoserver에 로딩하며, 로딩된 지도데이터는 WMS(web tilemap service) 포맷으로 변환한 뒤, 각각의 분석지도가 가지고 있는 속성DB정보를 고려해 지도 스타일을 적용하였다. 웹 브라우저 표출방법으로는 Openlayer 기반으로 GeoWebCache를 생성해 가뭄인벤토리 지도를 웹기반 가뭄아틀라스 상에 표출한다.

  • PDF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서비스 활성화 방안 (Strategies for Improving Cultural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 이소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43
    • /
    • 2004
  •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공공도서관 문화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우선 공공도서관의 사명과 문화서비스 제공의 의의를 검토하고 경기도 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문화서비스 제공현황을 살펴보았다. 개별 공공도서관의 문화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차별화와 특성화. 지역사회연구와 문화수요조사, 국가 및 지역 단위의 지원체계 확립, 실무자 역량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마케팅 기법을 적용한 서비스 기획의 다섯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산업단지 기반의 과학산업정보서비스시스템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Science and Industry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Industrial Complex)

  • 김상국;이명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3)
    • /
    • pp.290-292
    • /
    • 2000
  • 본 시스템은 1995년에 추진된 지역정보화 사업의 추진과제인 $\boxDr$공단중심의 지역정보시스템$\boxUl$을 확대 발전시키고 시스템 운영의 효율화를 도모하고자 DB를 통합하여 확대 재 구축함으로써 서비스 수준을 한 단계 높이고 인터넷을 통한 웹 정보 이용 활성화 차원에서 추진되었다. 기 구축되었던 $\boxDr$공단중심의 지역정보시스템$\boxUl$은 정보화를 통한 지역경제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고자 관. 산. 연이 참여한 지역정보화 사업이다. 이번에 확대 개발된 $\boxDr$과학산업정보서비스시스템$\boxUl$은 연구개발정보센터와 광주광역시, (주)광주광역정보센터가 매칭펀드에 의한 대응자금으로 구축한 시스템으로 크게 10개 산업단지 기본정보, 입주기업체정보, 기업지원정보, 전문인력정보, S/W패키지정보, 장비/설비정보, 기술개발결과정보, 지역소장 도서정보 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650여개 지역 기업체 홈페이지를 각각 개별적으로 특성 있게 구축하여 지역기업활동 지원 및 수출진흥을 도모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토록 하고자 한다.

  • PDF

개방형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위한 유비쿼터스 지역서비스 자동구성 (Autonomic Service Composition of Localized Ubiquitous Services for Open Service Gateways)

  • 노지훈;윤원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9호
    • /
    • pp.17-26
    • /
    • 2011
  • 무선 네트워크 기술 및 모바일 컴퓨팅 기기의 발전과 함께 웹 서비스 기술이 발전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새로운 서비스가 출현하게 되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홈, 사무실, 공항, 전시장 등과 같은 위치 환경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위치환경에 따라 차별화된다. 사용자의 환경정보에 따라 다양한 지역서비스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사용자의 기기에 동적으로 전달되어지고, 지역에 따라 분산된 다양한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해 주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편리하게 서비스 선택을 할 수 있으며 유용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자동 서비스 구성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지역 서비스 존에 들어가게 되면 모바일 기기에 자동으로 지역서비스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지역서비스를 제공하여 준다. 또한 본 시스템은 분산된 지역서비스를 원격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원격 관리자, 서비스 게이트웨이, 모바일 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시스템을 802.11b 무선 네트워크와 OSGi 프레임워크 기반으로 구현하였다.

상황인식 기반의 유헬스 환경정보 서비스 (Context-aware based U-health Environment Information Service)

  • 류중경;김종훈;김재권;이정현;정경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1-29
    • /
    • 2011
  • 건강증진과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효과적인 문제 해결 방안으로 유헬스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현재의 유헬스 서비스는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되고 서비스되고 있지만, 더 근본적인 질병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건강과 관련된 환경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인식 정보를 반영하는 유헬스 환경정보 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서비스는 사용자 지역의 기상 및 보건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도출하고 건강관리에 이용하여 유헬스 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킨다. 상황인식 기반의 유헬스 환경정보 서비스에서는 건강 및 생활 날씨 지수 기반의 식단, 운동 서비스뿐만 아니라 사용자 위치기반의 위험지역에 대한 경고메시지와 원격 응급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상황인식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유헬스 서비스의 만족도와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차세대 위성 개인 이동 통신 기술 동향 (Research on the Next-Generation Satellite Mobile Communications)

  • 강연수;안도섭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1권4호통권100호
    • /
    • pp.97-106
    • /
    • 2006
  • 이동통신과 인터넷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는 집이나 회사 등 도심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그 사용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지상망의 제한된 서비스 영역은 그 한계를 가진다. 이에 반해 위성은 광역 서비스가 가능하여 이런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좋은 장점을 가진다. 이런 특징에 기반하여 유럽에서는 현재 열차, 항공기 및 선박에 이동 인터넷 서비스 지원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동시에 지상망이 미치지 않는 외각지역에 대해 위성을 이용한 3G 서비스와 함께 MBMS 제공을 위한 연구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농촌지역 공공 보건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분석 (An Analysis of Spatial Accessibility to Public Healthcare Services in Rural Areas)

  • 조대헌;신정엽;김감영;이건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7-153
    • /
    • 2010
  • 보건서비스의 공급이 충분하지 못한 농촌에서 공공 보건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은 중요한 이슈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여주군을 사례로 버스 통행에 초점을 두어 공공 보건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공간 상호작용 기반의 측정 방법을 통해 접근성의 패턴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이를 승용차 통행에 의한 접근성 분포와 비교 분석하였다. 접근성의 분포 패턴을 분석한 결과 여주군의 중앙부(접근성 하위)와 주변지역(접근성 상위) 간에 공간적 변이가 상당히 뚜렷하게 나타났다. 접근성이 낮은 지역의 면적과 인구가 상위 지역에 비해 더 많았으며, 지수 값의 차이도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버스 통행 기반의 접근성 분포를 승용차 기반의 접근성 분포와 비교한 결과 두 수단 간에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접근성 상 하위 지역이 두 수단 간에 뒤바뀌는 지역이 전체의 약 20% 정도였는데, 승용차 통행에 의한 접근성 상위 지역에는 인구가 많지 않은 주변 지역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 PDF

디지털 미디어 시대 지역방송 서비스 개선 방안: KBS를 중심으로 (Improvement of Local Broadcasting Service in the Age of Digital Media: Focusing on KBS)

  • 도기태;정회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81-38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지역시청자들의 지역성 인식과 그들이 원하는 지역방송 서비스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앞으로 지향해야 할 지역방송의 서비스 정책 방향과 구체적인 서비스 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방법은 KBS가 실시한 3차례(2013, 2015, 2018년)의 지역시청자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 자료들을 활용한 2차 분석(Secondary Analysis)이다. 지역시청자들에게 지역성 개념은 실제 자신이 거주하는 시/군/구를 중심으로 좁아지고 있으며, 중요하게 인식하는 정보 역시 실제 생활권역에서 발생하는 지역정보들이다. 지역방송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지역방송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첫째, 지역 메가 플랫폼으로 기능과 역할을 확장해야 한다. 둘째, 지역현안에 대한 심층취재나 토론 등 지역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지역시청자와의 소통을 위해, 지역방송 구성원들의 시청자 분석능력, 소통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민들이 지역방송의 생산자로 참여하는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