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Spatial Accessibility to Public Healthcare Services in Rural Areas

농촌지역 공공 보건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분석

  • Cho, Dae-He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Shin, Jung-Yeop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Kam-Young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Gun-Hak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wha Womans University)
  • 조대헌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 신정엽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김감영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학부 지리교육) ;
  • 이건학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생활학과)
  • Received : 2010.01.25
  • Accepted : 2010.03.15
  • Published : 2010.04.01

Abstract

The issue of spatial equity in public healthcare services is an important issue in rural areas with lower healthcare resources. This study investigates spatial accessibility to public healthcare services by public transport, focusing on bus travel in Yeoju-gun, Gyeonggi-do. We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spatial patterns of accessibility using the measures based on spatial interaction, and compared them with the accessibility patterns by car travel. As a result of analysis, the spatial disparity between the central part of Yeoju-gun (lower accessibility) and its peripheries (higher accessibility) was identified. More specifically, the area and population of lower accessibility areas are greater than those of higher accessibility areas, and the difference in the accessibility values between higher and lower accessible areas is considerably large. Moreover, the accessibility patterns appears somewhat different according to two different travel modes. In particular, about 20% of the entire area presented the opposite patterns between two travel modes. Interestingly, less populated peripheral areas are more included in higher accessible areas by car.

보건서비스의 공급이 충분하지 못한 농촌에서 공공 보건서비스의 공간적 형평성은 중요한 이슈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여주군을 사례로 버스 통행에 초점을 두어 공공 보건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공간 상호작용 기반의 측정 방법을 통해 접근성의 패턴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이를 승용차 통행에 의한 접근성 분포와 비교 분석하였다. 접근성의 분포 패턴을 분석한 결과 여주군의 중앙부(접근성 하위)와 주변지역(접근성 상위) 간에 공간적 변이가 상당히 뚜렷하게 나타났다. 접근성이 낮은 지역의 면적과 인구가 상위 지역에 비해 더 많았으며, 지수 값의 차이도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버스 통행 기반의 접근성 분포를 승용차 기반의 접근성 분포와 비교한 결과 두 수단 간에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접근성 상 하위 지역이 두 수단 간에 뒤바뀌는 지역이 전체의 약 20% 정도였는데, 승용차 통행에 의한 접근성 상위 지역에는 인구가 많지 않은 주변 지역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